$\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학교 과학실험수업의 탐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strument for Assessing Inquiry Level in Secondary School Science Laboratory Classroom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5 no.7, 2004년, pp.507 - 518  

이근준 (전의중학교) ,  정진우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에서의 실험수업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이다. Dana(2001)가 개발한 상황적 실험활동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실험수업의 탐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만들었다.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들과 여러 차례의 협의를 거쳤으며, 15명의 과학교육 전공 대학원생들에게 의뢰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구자와 평가자 2인이 3개의 전사된 수업을 읽고 난 후, 함께 녹화된 실험 수업을 보여 수준을 달리 하였을 때 도구의 내용을 수정하는 방법으로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평가도구를 4명의 중학교 초임과학교사의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평가도구는 중등학교의 실험수업 탐구수준을 결정하는데 좋은 도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중학교 초임과학교사의 탐구수준은 확인수준과 구조화된 탐구주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for analysing secondary school science laboratory classroom. Three classroom of novice teachers were observed and administered Dana's (2001) situated laboratory activity instrument. Dana's situated laboratory activity instrument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2003년도 졸업한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한 것은 교사경험이 짧을수록 교사의 수업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앞으로 계속적으로 참여 교사의 과학(실험)수업의 변화를 살펴볼 목적으로 선택하였다. 수업관찰은 2003년 9월부터 20皿년 5월까지 24회의 수업을 관찰하였으며 실험수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실험수업 전체를 관찰하여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만들어 실제로 교사들이 어떤 수준의 탐구를 하는지를 알아보려는 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답하려고 하는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 앞에서 문제개발, 탐구과정의 설계, 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대하여 언급하였으므로 결과 설명을 위한 과학 개념의 적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개발하였다. 이 도구의 특징은 과학교육자들에게 상황적 실험활동의 탐구수준을 기술하고 분석하며, 정확하고 일관되게 분류하기 위한 도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계되어졌다. 더욱이, SLAI(The Situated Laboratory Activity Instrument)는 상황적 실험 활동의 8가지 탐구 영역사이에 강하고 약한 부분을 확인하는데 교사를 도울 수 있다.
  • 이 연구는 실험수업을 일관되게 볼 수 있는 탐구수준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중학교 초임교사의 수업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영신, 2003, 예비 과학 교사가 탐구 점수표에 따라 분석한 현장 과학 수업.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5), 561-573 

  2. 송용의, 2002, 효율적인 교사의 발문기법. 배영사, 서울, 160 p 

  3. Bate, G.C., 1978, The role of the laboratory in secondary school science programs. In M.Budd Rowe (ed.),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55-82 p 

  4. Colburn, A., 1997, How to make lab activities more open ended. CSTA Journal, Fall 1997, 4-6 

  5. Dana, L., 2001, The effects of the level of inquiry of situated secondary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the nature of science, ability to use process skills and attitudes toward problem solv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 204 p 

  6. Germann, P.J., Haskins, S., and Auls, S., 1996,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als: promoting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5), 475-99 

  7. Herron, 1971,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School Review, 68 (1), 17-29 

  8. Lawson, A.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Belmont, 206-208 p 

  9. Luft, J.A., 1999, Assessing science teachers as they implement inquiry lessons: the extended inquiry observational rubric. Science educator, 8 (1), 9-18 

  10. McComas, W.F., 1997, The nature of the laboratory experience: a guide for describing, classifying and enhancing hands-on activities. CSTA Journal, 6-9 

  11. McIntosh, T.C., 1995, Problem-solving practice. The Science Teacher, 62 (6), 48-50 

  12.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 p 

  13. Pella, M., 1961, The laboratory and science thinking. The science Teacher, 28 (5), 29-31 

  14. Pizzini, E,L., Shepardson, D.P., and Abell, S.K., 1991, The inquiry level of junior high activities: Implications to scienc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 (2), 111-121 

  15. Priestely, W.J., Priestley, H.D., Schumuckler, J.S., Hiosky, A., Sutman, F., and Wang, M., 1997, Science laboratory instruction: Summary of findings and implications from four companion studi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Chicago, IL 

  16. Schwab, J.J.., 1962, TIle teaching of science as inquiry, In J.J.. Schwab & P.F. Brandwein, TIle teaching of scienc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7. Shepardson, D.P., 1997, The nature of student thinking in life science laboratori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7 (l), 37-44 

  18. Tafoya, E., Sunal, D.W., and Knecht, P., 1980, Assessing inquiry potential: A tool for curriculum decision make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9 (1), 43-48 

  19. Welch, W., Klopfer, L., Aikenhead, G. and Robinson, J., 1981, The role of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Science Education, 65, 33-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