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E 적용에 의한 지하 골조공사 개선연구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nderground Building Works through the VE 원문보기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5 no.3 = no.19, 2004년, pp.106 - 113  

홍재욱 (대립산업(주)) ,  김선국 (경희대 토목건축대학) ,  이종국 (서울대 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서는 계획적인 원가절감에 의한 방법과 기능의 향상에 의한 방법 및 효율적인 추가 원가투입에 의하여 더 높은 기능 향상을 실현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법을 추구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건축공사에서 골조공사는 전체 공정 및 원가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주요 공정으로서 철저한 공사관리 계획과 관리가 요구되는 부분으로서 생산 활동 및 공사 방식 선정의 효과를 크게 볼 수 있는 항목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도심지 공사에서 날로 증가하고 있는 지하공사의 비율을 감안하여 지하골조 공사의 성능개선에 초점을 두었다. 건축물의 지하골조공사에 있어 효과적인 공기 및 원가절감을 위하여 VE 기법을 검토하여 VE 프로세스와 분석차원을 모델링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 사례연구를 통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물 지하골조공사의 VE 활용모델로서 기술대안 선정방식 수립의 기초적인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should focus on the reasonable cost-down with same quality and function-enhancement with same cost for the value-added construction project delivery in construction industry. Especially, a building structure constru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sses to a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축물의 지하골조 공사는 전체 공사의 원가 및 공기에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공사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州 사례를 통하여 건설공사의 품질 및 안전의 확보, 공기단축, 원가절감, 시공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본 연구는 문헌 조사와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건축공사의 지하골조공사에 대한 VE 모델을 정의하고, 이를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그 활용성을 검토하여 실제적인 활용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하골조공사의 VE 모델정의와 이 모델의 실제 건설업무에 적용하는 사례연구를 본 연구의 범위로 한다.
  • 이때 중요한 것이 초기 단계의 대상선정과 선정된 대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이를 검토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咨의 대상을 선정하기 위한 모델이나 프레임웍(framework)을 설정하는 것이 그 기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모델을 정의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를 참조하여 각 단계별 모델을 정의하여 제시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공사계획 단계 및 공사 초기 단계에서 건축물의 지하 골조공사에 대하여 현장의 여건에 맞도록 VE (Value Engineering) 기법을 이용하여 공기단축. 원가절감, 시공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모델을 도출하고 이를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도록 한다.
  • 그러나 무량판구조는 크게 플랫 슬래브 구조와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 구조의 두 가지로 대별된다. 이중, 플랫 슬래브 구조는 주두를 형성하여 무량판 구조 의 구조적 취약점을 극복할 수 있어 본 연구에서 그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김선국. 김문한, 최적화거푸집공사를 위한 EXPERT SYSTEM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9(1) 1989. 4 

  2. 김용일 외, 건축구조물의 기초형식 선정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아파트건축물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4(1), 1994.4 

  3. 대림산업, 지식발표집(건축부문), 2003 

  4. 오승준, 흙막이공사 공법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5. 주영규. 천성철, 지하구조물의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보 접합부의 구조성능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2), 2003.2 

  6. 전재열, 건축 설계초기단계에서 VE대상선정방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2), 2003.2 

  7. 차희성 이현수, 초기 공정계획 단계에서 시간과 성능을 고려한 최적 시공 대한 선정 방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3(12), 1997.12 

  8. Angela Palmer, John Kelly, and Steven Male, Holistic Appraisal of Value Engineering in Construction in United States, J. Constr. Engrg. and Mgmt. 122, 324- 328, 1996 

  9. Hyundai E&C, Value Engineering Study Report, 2000 

  10. Matthew J. Liberatore, Bruce Pollack-Johnson, and Colleen A. Smith, Project Management in Construction: Software Use and Research Directions, J. Constr. Engrg. and Mgmt. 127, 101-107, 200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