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사업관리에 대한 발주자 업무기능 역량평가
Evaluation of the Owners' CM Functions 원문보기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5 no.3 = no.19, 2004년, pp.128 - 136  

정영수 (명지대학교 건축학과) ,  우성권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지호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대학원) ,  강승희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대학원) ,  이영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  이복남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내 CM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CM의 성공적인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발주자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발주자 조직의 내부 CM 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발전적 인 건설사업관리 방식의 전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발주자 조직 CM 역량 진단표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역량 진단표를 바탕으로 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발주조직 유형에 따라 상대적으로 중요한 업무, 현재 역량이 부족한 업무, 그리고 그에 대한 대응방안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획, 설계, 견적, 그리고 정보화의 경우 모든 발주자 조직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업무기능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기획과 설계 업무기능은 현재 역량이 필요 역량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우선적 보완이 요구되는 분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Construction Management(CM)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 construction industry, the efforts for acceleration of CM adaption have been continued. The fact that an owner organization has the essential key to successful application of CM delivery method is true, but there has been no study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사업관리 방식의 도입과 활용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인 발주자 조직의 건설사업관리 내부 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발전적 CM 전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네 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하여표 1과 같이 발주자의 사업관리 업무기능을 고찰할 수 있는 발주자 CM 역량 진단 방법을 제시하였다.
  • 우선, 건설업무기능(표 1의 ①)은 Jung & Gibson (1999)의 14가지 분류를 적용함으로써 포괄적인 분석과 동시에 상세 결과 차이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14가지 업무기능 대분류의 상세 업무 내용에는 2001년 발표된 건설교통부 "건설사업관리 시행지침서'' 의 업무 내용과 기타 참고문헌의 업무 내용 중에서 발주자의 기본 업무 사항을 정리함으로써 국내 발주자 조직의 현실을 반영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발주자 조직의 CM 역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네 가지 발주자 유형을 정의하였고, 각 발주자 유형별 건설관리 (CM) 수요도를 고찰하였다. 수요도 파악을 위하여 건설사업관리 업무기능을 중심으로 발주자 역량 진단표를 제시하였으며, 설문에 의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실제 국내 발주자 조직의 사업관리 역량 수준을 평가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발주자 조직의 유형을 정의하는 요소로서 발주 빈도 와 '시설유형을 제안하였으며, 그림 1과 같이 발주조직 유형을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를 유형별 발주자 특징과 CM 기술 요건을 사례를 조사하며 또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기본 틀로서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II, (1990), Assessment of Construction Contractor Project Management Practices and Performance, A Special Publica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CII),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 Jung, Y. and Gibson, G. E. (1999). 'Planning For 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13(4). p.217-225 

  3. PMBOK, (1996), A Guide to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Upper Darby, PA,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4. 건교부. (1999). 건설기술백서, 건설교통부 

  5. 기준호, 김창덕, 김예상. (2000). 건설사업관리 대가 산출모델의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지 1권 4호, p.91-97 

  6. 김광인, 서용칠, 현창택. (2001). 국내 대형 공공공사의 발주방식 선정절차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 논문집 17권 3호, p.51-58 

  7. 김경래. (1999) 공공사업의 건설사업관리 발주모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정책연구 99-06 

  8. 김선규, 양용철, 김재준. (1998). 국내건설사업 CM발주 사례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4권 8호, p.93-102 

  9. 김예상. (1996). CM 표준계약서 분석을 통한 CM계약체계와 CM 역할의 비교분석-CMAA CM표준계약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2권 11호 

  10. 김예상. (1996). CM 제도 도입에 대비한 CM 계약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미국AIA CM 표준계약체계와 국내 책임감리 계약체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2권 12호 

  11. 김예상. (1998). 국내대형건설업체의 건설사업관리 사업추진 현황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 논문집 14권 4호, p.277-285 

  12. 김지현, 김한수. (2001). 'CM 방식의 국내 건설사업 활용에 따른 저해요인 기초연구: 공급자 측면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구조계), 21권 1호 

  13. 김한수. (2001). 건설사업관리방식 유형에 따른 계약적 책임의 특성 및 시사점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 논문집 17권 7호, p.77-84 

  14. 나광태, 유붕열, 강병희.. (2001). CM 용역발주공사의 업무단게별 실무지침(안)에 관한 연구 - 건설 사업관리자가 발주자의 대행인인 경우를 중심으로. 대한 건축학회 논문집 17권 3호, 2001.3, p.67-74 

  15. 박찬식, 김준채, 최석인. (1997). 국내감리업체의 CM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3권 4호 

  16. 이복남, 정영수. (1999) 건설 사업관리의 업무기능과 역할분담: 국내 사업관리의 현안 문제와 개선 방안. 한국건설 산업연구원 정책연구 99-05 

  17. 이복남, 김대호, 우성권, 정영수. (2001)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공공건설사업의 건설사업관리 대가 산정(안)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1권5호, p.725-735 

  18. 이상호. (2000). 건설산업기본법 개정안과 CM의 제도적 쟁점. 한국건설관리학회지 1권 4호, p.46-49 

  19. 이찬식, 진영섭. (1996) 우리나라 건설공사 감리기능 정립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2권 7호 

  20. 정영수, 우성권, 강승희, 이복남. (2002). 건설사업관리(CM) 제도의 기술적 파급효과,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2권 3호, p.483-495 

  21. 조재윤, 김예상. (2001). 건설회사의 건설사업관리(CM)기능 전문화 방향에 관한 연구 - 현장 조직구성, 교육 및 경력관리를 중심으로. 대한 건축학회 논문집 17권 4호, p.87-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