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산 녹차와 후발효차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페놀 성분 및 몇 가지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녹차 추출물$(413.3\;{\mu}g/g)$과 후발효차 추출물$(405.7\;{\mu}g/g)$ 이 비슷하게 함유하였으며, 총 페놀 함량은 후발효차 추출물 $(23.5\;{\mu}g/g)$보다 녹차 추출물$(46.8\;{\mu}g/g)$이 더 높게 포함되었다. 녹차 추출물의 catechin류에서는 EGC, GC, catechin, catechol 및 EGCG가 검출되었는데, 이 중 EGCG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후발효차의 열수 추출물에서는 EGCG가 검출되지 않았다.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적으로 그 활성이 증가하였다. Hydroxyl radical의 소거능은 각 추출물의 $3000\;{\mu}g/ml$농도에서 $60\%$ 이상을 나타내었고, $\beta-carotene-linoleate\;system$에서는 L-ascorbic acid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후발효차 추출물보다 녹차 추출물에서 효과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eneficial effects of green and fermented tea are generally attributed to some antioxidant activities including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bility and scavenging activity originated from their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Content of total flavonoid of green tea $(413.3\;{\mu}g/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 상징액에 증류수를 가하여 50 ml로 정용하였다. 그리고 Sep-pak Cig cartridge에 통과시켜 HPLC로 분석하였다. 용매는 1% phosphoric acid 로 25% tetrahydrofuran (THF)을 분당 1 ml로 용출하였으며 UV detector로 210 nM에서 측정하였다.
  • 3 ml씩 첨가하여 37°C 에서 반응시킨 후 60분간 incubation시켰다. 다시 thiobarbituric acid (TBA)와 trichloroacetaic acid (TCA)를 첨가하여 끓는 물에서 20분간 반응한 다음 신속하게 냉각시켜 532 nM에서 spectrophotometer (Shimadzu UV-1601, Japan)< 이용하여 홉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조구는 butylated hydroxyanisole (BHA)를 사용하였다.
  • 우리나라의 차에 관한 연구는 녹차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이며, 대엽종으로 제조되는 후발효차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주로 수입된 발효차의 일부 연구가 있을 뿐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녹차와 미생 물 효소에 의하여 제조되는 후발효차 추출물 중에 존재하는 총 flavonoid, 총 phenol 및 catechin 함량을 조사하였고, 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활성, 하이드록시 라디칼 소거능와 8-camtene-linoleate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와 금속이온을 환원시키는 환원력을 측정하여 항산화력과 자유라디칼 소거작용을 조사하였다.
  • 상기 녹차(100g)와 후발효차(100g)에 각각 20배의 증류수 를 가하여 6(rc 에서 8시간 환류냉각하여 3회 추출 한 후 여 과하였으며, 이것을 회전증발기에 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은 다시 동결건조한 후 포장하여 -20°C에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 용하였다.
  • 잔류 emulsion에 3차 증류수 750 ml를 첨가하여 강하게 진탕한 다음 용기에 넣어 둔다. 시험관에 emulsion용액 2.5 ml에 추출물 0.3 ml에 동일한 것 을 두 개 만들어 하나는 그대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55°C 에 서 105분 동안 암실 에 서 incubation시 킨 다음 492 nN에 서 spectrophotometer (Shimadzu UV-1601, Japan)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구는 L-ascorbic acid를 사용 하였다.
  • 01 g에 Folin-Denis 시약 5 ml를 넣어 혼합한 후, 증류수 로 100 ml 정용한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하여 760 nM에 서 홉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quercetin (Sigma Co., USA) 의 농도를 0〜0.5 mg범위가 되도록 제조하여 검량선으로부 터 시료 추출물의 페놀 함량을 계산하였다.
  • 75 ml를 혼합 하여 420 nM에서 홉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곡선은 quercetin (Sigma Co., USA)의 농도를 0〜0.5 mg 범위가 되 도록 제조하였으며, 검량선으로부터 시료 추출물의 플라보 노이드 함량을 계산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 에 사용된 녹차는 볶음차이 며, 후발효차는 자연 유 래의 미생물 발효차로서 경남 사천시 곤명면 영봉다원에서 생산되는 친환경 유기농 차엽(6월 초순)으로 제조되는 수제 품으로 차광성과 밀폐성이 강한 필름에 포장되어 1년간 실온 에서 저장된 실험용 시료를 각각 사용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주요 시약으로 (+)-catechin, (-)-gallocatechin gallate, (-)-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e, catechol, quercetin, caffeic acid, L-ascorbic acid, pyrogallol, butylated hydroxytoluene, potassium ferricyanide, 2-thiobarbituric acid, P-carotene 등은 Sigma사(USA)제품을 이용하였으며, 용매 및 기타 시약은 특급 또는 1급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Catechin 분석은 Wang 등[26]의 방법에 준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즉, 시료 0.
  • Hydroxyl radical (OH .) 소거 효과의 측정은 Halliwell과 Gutteridge 등[8]의 방법에 따라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disodium salt (EDTA)가 포함된 Fenton 반응계에서 분 석하였다. 1 mM FeCl3, 1 mM EDTA, 20 mM H2O2, 1 mM ascorbic acid, 30 mM 2-deoxy-2-ribose 를 28 mM KH2PO4 - K2HPO4 buffer (pH 7.
  • SOD 유사활성은 알칼리 상태에서 pyrogallol의 자동산화 에 의한 발색원리를 이용한 Markhind와 Marklund[16]의 방 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 시료 0.
  • 시료의 항산화력은 p-carotene-linoleate model system으 로 측정하였다[6]. 즉 chloroform과 0-carotene용액에 linoleic acid 0.
  • 총 페놀의 정량은 Folin-Denis방법[기에 따라 시험관에 시 료 0.01 g에 Folin-Denis 시약 5 ml를 넣어 혼합한 후, 증류수 로 100 ml 정용한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하여 760 nM에 서 홉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quercetin (Sigma Co.
  • 총 플라보노이드의 정량은 Davis 변법[11]을 이용하였으 며 녹차와 후발효차 추출물의 분말 0.01 g에 증류수 60ml를 가한 후 9010에서 30분간 추출한 다음, 다시 여과하여 100 ml로 정용하였다. 그리고 여과액을 일정량 취하여 시험관에 옮긴 후 90% diethylene glycol과 IN NaOH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an, T., H. Takayanagi, K. Ikegaya and M. Nakagawa. 1981. Changes of sugar compounds of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and alanine during heating of green tea. Nippon Nogeikaguku Kaishi 28, 578-582 

  2. Barry. H., I. A. Okezie and H. Ellis. 1993. DNA and Free Radical. Ellis Horwood, West Sussex, England, 1 

  3. Cha, J. Y. and Y. S. Cho. 2001. Biofunctional activities of Citrus flavonoid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122-128 

  4. Cheng S. J. 1986. The preliminary study of inhibitory effects of green tea antioxidant on mutation. Acia Experimen. Biology 9, 328-334 

  5. Chung, H. J. 1999.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ic extracts of some tea materials on red pepper seed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16-1320 

  6. Dapkevicius, A., T. A. Van Beek, J. P. H. Linssen and R. Venkutonis. 1998. Rapid spectroscopic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in sage, thyme and oregano isolates with the β-carotene-linoleic acid model system. In Natural Product Analysis : Schreier P., Herderich M., Humpf H. V., Schwabw, V., p. 235-237 

  7. Folin, O. and Denis, W. 1915. A w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enols (phenol derivatives) in urine. J. Biol. Chem., 22, 305-308 

  8. Halliwell, B., J. M. C. Gutterige and O. I. Aruoma. 1987. The deoxyribose method : a simple 'test tube' assay for determination of rate constants for reaction of hydroxyl radicals. Analytical Biochemistry 165, 215-219 

  9. Hayashi E, M Hayashi and H Yamazoe. 1990. Pharmacological action of tea extract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mice. Oyo Yakuri 40(3), 351-356 

  10. John, H. 1995. Beneficial effects of tea in chronic disease prevention.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green tea. Korean Soc. Food Sci. Technol. p. 1-12 

  11. A. O. A. 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2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p. 127-130 

  12. Kim, M. J. and S. J. Rhee. 1994. Effects of Korean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beverage on the removal of cadmium in rat. J. Korean Soc. Food Nutr, 23, 784-791 

  13. Kim S. K., H. J. Lee and M. K. Kim. 2001. Effect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and green tea different conditions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12-month-old rats.. Korean Nutrition Society 34, 499-512 

  14. Kim, S. M., Y. S. Cho and S. K. Sung.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15. Marklund, S. and G. Marklund.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16. Muramatsu K., M. Fukuyo and Y. Hara. 1986. Effect of green tea catechins on plasma cholesterol level in cholesterol fed rats. J. Nutr Sci Vitaminol. 32, 613-622 

  17. Na, H. W., S. O. Baek, S. V. Han and J. Y. Bok. 1992. Improve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catechins in green tea. J. Korean Agric. Chem. Soc. 35, 276-280 

  18. Park, J. H., H. K. Choi and K. H. Park. 1998. Chemical components of various green teas on market. J. Kor. Tea Soc. 4, 83-92 

  19. Park, J. H., K. S. Kim and H. K. Choi. 1997. Studies on free amino acid, organic acid and fatty acid content of Korean tea plants. J. Kor. Tea Soc. 3, 73-87 

  20. Park, J. H., K. S. Kim, J. H. Kim, H. K. Choi and S. W. Kim. 1997.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free amino acid, theanine, catechin contents in domestic tea shoots. J. Kor. Tea Soc. 2, 197-207 

  21. Plaa, G. L. and H. Witschi. 1976. Chemicals, drugs and lipid peroxidation. Annu. Rev. Pharmacol. Toxicol. 16, 125-131 

  22. Sakanka S., M. Kim, M. Taniguchi and T. Yamamoto. 1989. Antibacterial substance in japanese green tea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 cariognic bacterium. Argic. Biol. Chem. 53, 2307-2311 

  23. Sakanka S., N. Shimura, M. Aizawa, M. Kim and T. Yamamoto. 1992. Preventive effect of green tea polyphenols against dental caries in conventional rats. Biosci. Biotech. Biochem. 56, 592-594 

  24. Cheng, S. J. 1986. The preliminary study of inhibitory effects of green tea antioxidant on mutation. Asia Experimen. Biol., 9, 328-334 

  25. Wang, H., G. J. Provan and K. Helliwell., 2003. HPLC determination of catechins in tea leaves and tea extracts using relative response factors. Food Chemistry 81, 307-312 

  26. Yamamoto, M., M. Sano, N. Matsuda, T. Miyase, K. Kawamoto, N. Suzuki and K. Hakamata. 2001. The change of epigallocatechin -3-O-(3-O-methyl) gallate content in tea of different varieties, tea of crop and processing method. Nippon Shokuhin Kagaku Kaishi 48, 64-68 

  27. Yeo, S. G., C. W. Ahn, Y. W. Lee and T. G. Lee, 1995. Antioxidative effect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299-304 

  28. Zeng, X. and Z. Wang. 1991. Study on the aroma of roasted green tea. Proceedings of ISTS, Shizuoka, Japan. p. 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