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환자의 불확실성, 희망 및 삶의 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Uncertainty, Hop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4 no.7, 2004년, pp.1184 - 1193  

조계화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간호학과) ,  손보경 (대구가톨릭대학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uncertainty, hop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3 breast cancer patients treated at 3 university hospitals in Daegu and Busan from June 1 to September 30, 2003. Unce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암환자의 불확실성, 희망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유방암환자의 불확실성과 관련하여 희망과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关로:7.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시와 부산시에 소재 한 3개 대학병원에서 유방암 진단을 받고 통원치료 중인 환자 113명을 대상으로 구 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하였으며, 기간은 2003년 6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약 4개월이었다.
  • (Cho, 1999).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 희망, 삶의 질의 관련 성을 살펴봄으로써 유방암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의 불확실성, 희망, 삶의 질과 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 유방암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희망, 삶의 질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 그러나 지금까지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불확실성(Mast, 1998; Cho, 1999), 삶의 질(Ferrell, et al, 1998; Dirksen, 2000), 희망 (Penson, 2000), 희망과 삶의 질의 관계(Tae, 1996)등의 선행 연구가 있었으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불확실성, 희망 및 삶의 질 세 가지 개념의 관계를 밝힌 연구는 미미하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유방암 환자가 경험하는 불확실성, 희망 및 삶 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 불확실성과 희망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대상자의 희망과 삶의 질을 높 이고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 모색에 기 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arpenter, J. S., Brockopp, D. Y, & Andrykowski, M. A. (1999). Self-transformation as a factor in the self-esteem and well-being of breast cancer survivors. J Adv Nurs, 29(6), 1402-1411 

  2. Cho, O. H. (1999). Uncertainty, anxiety and coping with mastectomy for breast cancer. School of Nursing,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3. Choi, S. S. (1990). Correlation study among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health status of an adult residents in regio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Younsei University 

  4. Dirksen, S. R. (2000). Predicting well-being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J Adv Nurs, 32(4), 937-943 

  5. Davies, H. (1993). Hope as a coping strategy for the spinal cord injured individual. Axone. 15(2), 40-46 

  6. Duggleby, W. (2000). Enduring suffering: a grounded theory analysis of the pain experience of elderly hospice patients with cancer. Oncol Nurs Forum. 27(5), 825-831 

  7. Ebright, P. R., & Lyon, B. (2002). Understanding hope and factors that enhance hop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Oncol Nurs Forum. 29(3), 561-568 

  8. Ferrell, B. R., Grant, M. M., Funk, B., Otis-Green, S., & Garcia, N. (1997).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as identified by focus groups. Psychooncology. 6(1), 13-23 

  9. Ferrell, B. R., Grant, M. M., Funk, B. M., Otis-Green, S. A., & Garcia, N. J. (1998).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upport services. Oncol Nurs Forum, 25(5), 887-895 

  10. Gill, K. M., Mishel, M., Belyea, M., Germino, B., Germino, L. S., Porter, L., LaNey, I. C., & Stewart, J. (2004). Triggers of uncertainty about recurrence and long-term treatment side effects in older African American and Caucasian breast cancer survivors. Oncol Nurs Forum, 31(3), 633-639 

  11. Jalowiec, A., & Powers, M. J. (1981). Stress and coping in hypertension and emergency room patients. Nursing Research, 30, 10-15 

  12. Kim, J. H. (1987). Relation of perceived stress, cognitive set and coping behaviors to depression: a focus on freshmen's stress experiences. Department of psychology,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Kylma, J. (1998). The dynamics of hope described by elderly people aged 70 and over living at home. Hoitotiede, 10(2), 63-77 

  14. Lev, E. L., Daley, K. M., Conner, N. E., Reith, M., Fernandez, C., & Owen, S. V. (2001). An intervention to increase quality of life and self-care self-efficacy and decrease symptoms in breast cancer patients. Sch Inq Nurs Pract, 15(3), 277-294 

  15. Mast, M. E. (1998). Survivors of breast cancer: illness uncertainty, positive reappraisal and emotional distress. Oncol Nurs Forum, 25, 555-562 

  16. Mishel, M. H. (1981). The measurement of uncertainty In illness. Nursing Research, 30, 258-263 

  17. Mishel, M.H. (1984). Perceived Uncertainty and Stress in Illnes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7, 163-171 

  18. Northouse, L. L., Mood, D., Kershaw, T., Schafenacker, A., Mellon, S., Walker, J., Galvin, E., Decker, V. (2002).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recurrent breast cancer and their family members. J Clin Oncol, 20(19), 4050-4064 

  19. Nowotny, M. L. (1989). Assessment of hope in patient with cancer: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Oncol Nurs Forum, 16(1), 57-61 

  20. Park, M. Y. (2003). Cognitive casual structure model about anger of women with breast cancer. School of Nursing, Graduate school, Chung Nam University 

  21. Pelusi, J. (1997). The lived experience of surviving breast cancer. Oncol Nurs Forum, 24(8), 1343-1353 

  22. Penson, J. (2000). A hope is not a promise: fostering hope within palliative care. Int J Palliat Nurs, 6(2), 94-98 

  23. Ritz, L. J., Nissen, M. J., Swenson, K. K., Farrell, J. B., Sperduto, P. W., Sladek, M. L., Lally, R. M., & Schroeder, L. M. (2000). Effects of advanced nursing care on quality of life and cost outcomes of wom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Oncol Nurs Forum, 27(6), 923-932 

  24. Ro, Y. J. (1988). An analytical study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in Seoul.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Younsei University 

  25. So, H. S. (1995). Changes on the uncertainty, ways of coping and depression for patients with uterine cervical cancer during the early adaptation process: a longitudinal study. Yonsei university. Seoul 

  26. Tae, Y. S. (1994).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perceived by cancer patient. Ewha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27. Tae, Y. S (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8(1), 81-88 

  28. Yu, Y. S. (1991).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body image and support of spouse for mastectomy patients. Study book of Catholic University, 44, 939-947 

  29. Vrkljan, B. H., & Miller, P. J. (2001). Meaning of occupational engagement in life-threatening illness: a qualitative pilot project. Can J Occup Ther, 68(4), 237-246 

  30. Williams, A. F., Moffatt, C. J., & Franks, P. J. (2004).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lived experiences of people with lymphoedema. Int J Palliat Nurs, 10(6), 279-2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