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전후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4 no.7, 2004년, pp.1334 - 1342  

여정희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nd difference of quality of life in a postmenopausal group compared to premenopausal women.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213 women from 40 to 64 years ol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 2003 to June 31, 2004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성의 폐경이라는 현상을 중심으로 전후 군으로 분류하여 삶의 질 차이와 이에 미치는 영향 변인을 파악하고 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03년 6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설문지를 배부하여 40세 이상에서 64세 이하 여성 213명을 최종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폐경 전후 여성의 삶의 질 차이를 파악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는 상관관계 연구이다.
  • 폐경을 전후하여 나타나는 증상으로 난소의 기능쇠퇴 및 기능소실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내분비학적 변화와 신체적, 생리적, 정신적, 심리적, 사회적 증상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Song과 Chung(1998)이 개발하고 Song(2001)이 수정한 도 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폐경 전후 군으로 분류하여 삶의 질을 파악하고, 두군 간의 차이 유무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변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여 폐경 후 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 폐경이라는 생리적 사건을 중심으로 주요변인과 특성에 따른 폐경전후간의 차이와 의미 있는 결과를 논하고자 한다. 우선 두 군간 대상자 특성에서 연령은 폐경 전군 4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vis, N. E., & McKinlay, S. M. (1991). A longitudinal analysis of women's attitudes toward the menopause : Results from the Massachusetts Women's Health Study. Maturitas, 13. 65-79 

  2. Avis, N. E., Assmann, S. F., Kravitz, H. M., Ganz, P. A., & Ory, M. (2004). Quality of life in diverse groups of midlife women: Assessing the influence of menopause, health status and psychosocial and demographic factors. Quality of Life Research, 13, 933-946 

  3. Choi, K. R.(1993). A study on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dual-earner couples. J of Kor Home Eco Acad Society, 31(1), 61-84 

  4. Deeks, A. A., & McCabe, M. P. (2004). Well-being and menopause An investigation of purpose in life, self-acceptance and social role In premenopausal,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Quality ofLife Research. 13. 389-398 

  5. Dennerstein, L. (1988). The menopause. New York: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6. Fuh, J. L., Wang, S. J., Lee, S. J., Lu, S. R., & Juang, K. D. (2003). Quality of life and menopausal transition for middle-aged women on Kinmen island. Quality of Life Research, 12, 53-61 

  7. Goh, J. J.(1998). The influence of dual-earner couples's job related variable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J of Kor Home Eco Acad Society, 36(4), 163-178 

  8. Han, K. S. (2000). A study of stress reaction, symptoms of stress,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immigrant middle aged women. J Korean Acad Nurs, 30(3), 606-618 

  9. Jokinen, K., Rautava, P., Makinen, J., Objanlatva, A., Sundell, J., & Helenius, H. (2003). Experience of climacteric symptoms among 42-46 and 52-56-year-old women. Maturitas, 46, 199-205 

  10. Jun, C. A. (1994). The effect of couple's differentiation self and family-of-origin emotional health on marital stability.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1. Kim, Y. H., Ha, E. H., & Shin, S. J. (2003).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J Korean Acad Nurs, 33(5), 601-608 

  12. Ledesert, B., Ringa, V., & Breast, G. (1994). Menopaus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the women of French GAZEL cohort. Maturitas, 20, 113-120 

  13. Lee, K. H., & Chang, C. J. (1992). Korea urban women's experience of menopause: Newlife. Korean Parent-Child Health J, 2(1), 70-86 

  14. Lee, S. S. (1998). A study on sex-role attitude and marital adjustment among elderly women. J of Kor Home Eco Acad Society, 1(2), 48-60 

  15. Lee, S. S., & Lee, K. J.(1999). A study of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sex-role attitude for the elderly man. J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9(2), 1-13 

  16. Mansfield, P. K., & Voda, A. M.(1993). From Edith Bunker to the 6:00 News : How and what midlife women learn about menopause. Women Ther, 14(1-2), 89-104 

  17. McDowell, I., & Newell, C. (l996).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8. McMaster, J., Pitts, M., & Poyah, G. (1997). The menopausal experiences of women in a developing country : 'There is a time for everything : To be a teenager, a mother and a granny'. Women Health, 26(4), 1-13 

  19. Moon, Y. P. (1989). A study of sex-role attitude, role-expectations and role-performance among urban married couples.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 Noh, Y. J. (1988). An analytical study on middle-aged adults' quality of lift in seoul area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1. Oldenhave, A., Jaszmann, L., Haspels, A., & Everaerd, W. (1993). Impact of climacteric on well-being. Am J obstet Gynecol, 168, 772-780 

  22. Osmond, M. W., & Martin, P. Y. (1975). Sex and sexism: A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sex-role attitude. J of Marrige and the Family, 37, 744-758 

  23. Sea, I. S., & Oh, H. E.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s sex-role attitudes and depression of post hysterectomy patients. J Kor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4(1), 103-115 

  24. Shin, H. Y., & Cho, B. E. (1999). The conjugal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 couples with retired husbands, J. Kor Gerontological Society, 19(1), 31-44 

  25. Song, A. R. (2000). A study of relationship with quality of lif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the climacteric women. J Kor Acad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6(2), 262-274 

  26. Song, A. R. (2001).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cteric symptoms and management of menopause in middle-aged women. J Kor Acad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7(2), 308-322 

  27. Song, A. R., & Chung, E. S. (199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nopause symptom scale. Kor Society of Menopause, 4(1), 72-85 

  28. Wilbur, J., Miller, A., & Montgomery, A. (1998).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nopausal status, and symptoms on women's attitudes toward menopause. Women and Health, 23, 19 

  29. Woods, N. F., & Mitchel, E. S. (1997). Pathways to depressed mood for midlife women: observations from the Seattle Midlife Women's Health Study.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2), 119-129 

  30. Yun, K. J. (1997). The impact of gender role attitudes on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s and wives. J of Home Management, 15(4), 221-23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