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폐경여성의 호르몬요법에 따른 폐경증상과 삶의 질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Rural Postmenopausal Women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6 no.1, 2013년, pp.18 - 26  

김영지 (중앙대학교 간호대학) ,  김금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김정식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QOL) according to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in rural menopausal women. Methods: Menopausal symptoms and QOL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s. A total of 50 participants in HRT group had received hormone re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폐경 여성들을 대상으로 호르몬요법을 적용한 이후, 호르몬요법을 받는 군과 호르몬요법을 받지 않는 군의 폐경 증상 및 삶의 질을 비교하고, 폐경 증상과 삶의 질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폐경 여성들의 증상완화와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돕기 위해 실시되었다. 농촌지역 폐경 여성들의 폐경증상은 관리여부를 떠나 모두 중등도에 해당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였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호르몬요법을 받는 군과 받지 않는 군의 폐경 증상 및 삶의 질을 비교하여 호르몬요법이 폐경증상을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지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호르몬요법을 받은 군과 호르몬요법을 받지 않은 군의 폐경 증상과 삶의 질을 비교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실험설계였다.
  •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에 해당하는 농촌지역의 폐경여성 들의 호르몬요법에 따른 폐경증상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폐경 증상과 삶의 질의 관계를 조사하여 대상자들의 증상완화를 위한 간호중재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의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요법에 따른 폐경증상과 삶의 질을 조사한 것으로,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경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또한, 폐경 여성들은 폐경증상을 경험하는 횟수가 많고, 정도가 심할수록, 그리고 폐경 증상이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에 삶의 질이 더 저하된다고 한다. 폐경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폐경 유무, 폐경 증상 및 불편감, 스트레스, 심리적 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호르몬요법으로 알려져 있다 (Mayer & Linscott, 1995). 이중 호르몬요법은 여성의 혈관 운동증상을 포함하여 폐경증상을 치료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고 한다(Paik, 1997).
폐경이란 무엇인가? 폐경은 난소의 기능중단으로 인해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되어 월경이 없어지는 현상이다. 한국여성의 평균 폐경연령은 49.
폐경의 신체적 증상, 심리적 증상은 무엇인가? 폐경 증상은 정상적인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신체적 증상, 심리적 증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흔히 호소하는 신체적 증상은 열이 가슴에서 화끈하게 달아오르는 열감, 손발이 차고 저림, 발한, 질과 외음부의 위축, 거친 피부, 변비, 관절통, 심계 항진, 가슴이 두근거림, 현기증, 요통, 피로, 두통이고, 심리적 증상은 신체적 변화와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한 갈등이 스트레스가 되어 발생한 불면, 두려움, 우울, 신경과민, 집중력 결핍, 질식감, 초조와 불안정, 눈물 흘림 등이 있다 (Park & Lee, 2000). 전국의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연폐경을 경험한 여성 중 89%가 폐경증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경험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들 증상 중 안면홍조를 가장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k, S. S. (1998).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menopausal symptoms of midlife women between urban area and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4 (3), 332-347. 

  2. Choi, H., Lee, H. G., & Park, H. M. (2003). Results of Korean gallup epidemiologic survey on menopause and HRT: The Korean menopausal women's attitudes and awareness on menopaus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9 (1), 36-43 . 

  3. Choi, J. A., & Choe, M. A. (1999). Effect of dance movement training on menopausal discomforts, blood lipids level, and quality of life in menopausal women.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3 (2), 221-242. 

  4. Choi, K. S., Oh, H. E., & Shim, C. S.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cteric symptom, depression and coping among middle-aged women.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3 (3), 335-345. http://dx.doi.org/10.5393/JAMCH.2008.33.3.335 

  5. Chung, Y. J., Kim, M. R., Jeong, H. W., Yoon, B. K., Lee, B. S., Kang, B. M., et al. (2012). Changing Korean menopausal women's awareness on hormone therapy: 7-years after women's health initiative Stud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18 (2), 94-99. http://dx.doi.org/10.6118/jksm.2012.18.2.94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Academic Press. 

  7. Greendale, G. A., Lee, N. P., & Arriola, E. R. (1999). The menopause. Lancet, 353 (9152), 571-580. http://dx.doi.org/10.1016/S0140-6736(98)05352-5 

  8. Joo, J. K., Jung, I. K., Kim, K. H., & Lee, K. S. (2012).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dd-back therapy during GnRH agonist treatment in endometrio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5 (6), 371-377. http://dx.doi.org/10.5468/KJOG.2012.55.6.371 

  9. Ju, H. O., Seo, J. M., Hwang, J. H., Park, H. S., Lee, E. N., & Hwang, S. K. (2005). Comparative study on climacteric symptoms, knowledge of menopause and menopausal management of middle aged wome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 (1), 27-37. 

  10. Kang, N. Y. (2001). The effects of a program promoting efficacy expectation on self-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for rural middle 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1. Kim, C. G. (1995).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self-efficacy,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The Journal of Catholic Medical College, 48 (4), 1201-1214. 

  12. Kim, Y. H., Ha, E. H., & Shin, S. J. (2003).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601-608. 

  13. Koh, H. J., Oh, M. O., & Kim, H. Y. (2000).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risis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6 (4), 619-631. 

  14.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enecology. (2007). Gynecology.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15. Lee, J. Y., & Yun, S. N. (2005).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affecting factors of aged women in urban and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6 (1), 13-22. 

  16. Lee, Y. W. (2002). A study of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4), 539-549. 

  17. Limouzine-Lamothe, M. A., Mairon, N., Joyce, C. R. B., & Le Gal M. (1994). Quality of life after the menopause: Influence of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70 (2), 618-624. 

  18. Mayer, D. K., & Linscott, E. (1995). Information for women: Management of menopausal symptoms. Oncology Nursing Forum, 22 (10), 1567-70. 

  19. Neugarten, B. L., & Kraines, R. J. (1965). Menopausal symptoms in women of various ages. Psychosomatic Medicine, 27, 266-273. 

  20. Paik, S. H. (1997). Hormone replacement therapy for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18 (1), 4-12. 

  21. Park, B. H., & Lee, Y. S.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and climacteric symptoms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6 (3), 383-397. 

  22. Park, O. I., Kim, J. S., & Chung, Y. H. (2004).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among middle aged women in rural area.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6 (4), 89-99. 

  23. Rhee, J. A., Shin, J. H., Chung, E. K., Shin, M. H., & Kim, S. Y. (2001). Relation of lifestyle factors to menopausal symptoms and management of middle-aged women i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5 (1), 83-96. 

  24. Ro, Y. J. (1988). An analytical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in Seoul.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5. Song, A. R. (2001).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cteric symptoms and management of menopause in middle-aged wom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7 (2), 308-322. 

  26. Strickler, R., Stovall, D. W., Merritt, D., Shen, W., Wong, M., & Silfen, S. L. (2000). Raloxifene and estrogen effects on quality of life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A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Obstetrics & Gynecology, 96 (3), 359-365. http://dx.doi.org/10.1016/S0029-7844(00)00937-6 

  27. Utian, W. H. (1989). Menopause, hormone therapy, and quality of life. Progress in Clinical and Biological Research, 320, 193-209. 

  28. Wiklund, I., Karlberg, J., & Mattsson, L. A. (1993). Quality of life of postmenopausal women on a regimen of transdermal estradiol therapy: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68 (3), 824-830. http://dx.doi.org/10.1016/S0002-9378 (12)90828-5 

  29. Yu, M. K., & Chi, S. A. (1986).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s attitudes toward middle adulthood developmental changes, their self-reported climacteric symptom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The Chung-Ang Journal of Medicine, 11 (4), 411-4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