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폐경증상과 삶의 질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3 no.5, 2003년, pp.601 - 608  

김영혜 (이화여자대학교) ,  하은화 (서울대학교 병원 건강검진센터) ,  신수진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Quality of Life(QOL) according to menopausal symptoms in middle aged women.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578 women( 45-60 years old) residing in urban area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March 15 to May 30, 2002. The data wer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계속 연장되어 인구의 노령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할 때, 폐경이후의 삶이 전 생애의 1/3이상이므로 여성에게 나타나는 폐경 증상을 파악하고 개개인이 지각하는 주관적 삶의 질 정도를 측정하고, 여성들이 정서적인 문제없이 폐경과정을 받아들임으로써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간호중재를 마련하는데 있어 기초가 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년여성에게 나타나는 폐경증상을 파악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중년 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폐경증상 중재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45-60세 사이의 중년여성 578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2년 3월 15일부터 2002년 5월 30일까지였으며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폐경증상을 파악하고 삶의 질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년여성에게 나타나는 폐경 증상을 파악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폐경증상 관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k, S. S. (1998).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menopausal symptoms of midlife women between urban area and rural area. Korean J Women Health Nurs, 4(3), 332-347 

  2. Bark, N. J. (1989). Self concept and self reported climacteric symptom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of Korea, Seoul 

  3. Berry, R. E., & William, F. L. (1987).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marital and income satisfaction: a path analytic approach. J Marriage Fam, 49(1), 107-116 

  4. Brosworth, H. B., Bastian, L. A., Kuchibhatla, M. N., Steffens, D. C., McBride, C. M., Sugg Skinner, C., Rimer, B. K., & Siegler, I. C. (2001). Depressive symptoms, menopausal status, and climacteric symptoms in women at midlife. Psychosom Med, 63(4), 603-608 

  5. Ferrans, C. E., Powers, M. J. (1992).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dex. Res Nurs Health, 15(1), 29-38 

  6. Guthrie, J. R., Dennerstein, L., Hopper, J. L., & Burger, H. G. (1996). Hot flushes, menstrual status, and hormone levels in a population-based sample of midlife women. Obstet Gynecol, 88, 437-442 

  7. Ha, E. H.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festyle and health status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women with married.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of Korea, Seoul 

  8. Ha, J. Y. (2002).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of Korea, Seoul 

  9. Hvas, L. (2001) Positive aspects of menopause: a qualitative study. Maturitas. 39(1), 11-17 

  10. Jang, H. S., Kim, Y. H., Suh, Y. S., Kim, H. S., Moon, M. H., & Ok, R. (2000). A Correlation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Self-efficacy, Family function, and Menopausal symptoms of Climacteric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6(4), 606-617 

  11. Kim, M. S., Sung, E. H., & Kim, H. W. (1999). Five factors of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married women. J Korean Psychology Assoc, 4(1), 41-55 

  12. Kwon, S. H., Kim, Y. J., Moon, G. N., Kim, I. S., Park, G. J., Park, C. H., Bai, J. Y., Song, A. R., Yoe, J. H., Chung, E. S., & Jung, H. M. (1996).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al symptoms and depressio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2), 235-245 

  13. Mayer, D. K., & Linscott, E. (1995). Information for women: management of menopausal symptoms. Oncol Nurs Forum, 22(10), 1567-1570 

  14. Lee, K. Y., & Park, T. J. (1999). The quality of life in the menopausal women. J Korean Acad Fam Med, 20(7), 894-905 

  15. Lee, M. L. (1994). Adaptation process to menopause. J Korean Acad Nurs, 24(4), 623-634 

  16. Lichtman, R. (1991). Perimenopausal hormone replacement therapy. Review of the literature. J Nurse Midwifery, 36(1), 30-48 

  17. McKinlay, S. M., Brambilla, D. J., & Posner, J. G. (1992). The normal menopause transition. Maturitas, 14(2), 103-15 

  18. Mitchell, E. S., & Woods, N. F. (1996). Symptom experiences of midlife women: observations from the Seattle Midlife Women's Health Study. Maturitas, 25(1), 1-10 

  19. Pearson, L. (1982). Climacteric. Am J Nurs, 82(7), 1098-1102 

  20. Rhee, J. A., Shin, J. H., Chung, E. K., Shin, M. H., & Kim, S. Y. (2001). Relation of lifestyle factors to menopausal symptoms and management of middle-aged women in rural area. J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5(1), 83-96 

  21. Song, A. R. (2001).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cteric symptoms and management of menopause in middle-aged women. J. of Korean Acad. Nursing Education, 7(2), 308-322 

  22. Steams, V., & Hayes, D. F. (2002). Approach to menopausal system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Curr Treat Options Oncol, 3(2), 179-190 

  23. Stoker, M. J., Dunbar, G. C., & Beaumont, G. (1992).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a validation and reliability study in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 Qual Life Res, 1(6), 385-95 

  24. Vanwesenbeeck, I., Vennix, P., & van de Wiel, H. (2001). Menopausal symptoms: associations with menopausal status and psychosocial factors. J Psychosom Obstet Gynaecol, 22(3), 149-158 

  25. Yoon, J. S., Kook, S. H., & Lee, M. S. (1998). A preliminary study on Korean version of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KvSBQOL).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7(2), 280-29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