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약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1 no.3, 2004년, pp.388 - 393  

나경민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한호석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예수향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김현구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약재의 용매별 추출액에 대한 생리활성 측정 결과 총폴리페놀 함량은 모든 생약재가 50$\%$ ethanol 추출액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생약재 별로는 감초의 50$\%$ ethanol 추출액이 2.2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 작용은 감초 water 추출액이 81.81$\%$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감초, 건강는 water 추출액이 두충, 건마늘, 인삼은 50$\%$ ethanol 추출액에서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나타내었다.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은 감초의 10$\%$ ethanol추출액이 42.75$\%$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고, 전마늘, 건강은 50$\%$ ethanol 추출액이 감초, 두충, 인삼은 water 추출액이 다른 용매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소거작용은 pH가 증가할 수록 소거율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용매별 소거능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water 추출액이 다른 두 용매 추출액에 비해 소거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CE 저해작용은 건강을 제외한 생약재 추출물에서 50$\%$ ethanol 추출물이 다른 용매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건마늘의 50$\%$ ethanol 추출물이 37.16$\%$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용매별 효과는 50$\%$ ethanol 추출액이 다른 용매에 비해 ACE저해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약재의 종류에 따라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기능성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5 kind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were examined. Total polyphenol contents showed the highest value in 50 $\%$ ethanol extracts. Electron donating ability showed the highest value in 50 $\%$ ethanol extracts of Glycyrrhiza uralensis. SOD-like 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약재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 활성을 검색하여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생약재의 종류에 따라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기능성 효과를 확인함으 로써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손은수 (2003) 한약재를 이용한 기능성식품의 개발 동향. 기술동향분석보고서 

  2. Jung, S.J., Lee, j.H., Song, H.N., Soong, N.S., Lee, S.E. and Baek,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 Soc. Appl. Bio. Chem., 47, 135-140 

  3. Kim, S.M, Cho, Y.S. and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4. Lee, S.E., Bang, J.K., Song, J., Sung, N.S., Park, H.W., Chung, H.G., Kim, G.S. and An, T.J. (2004)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of Korean medicinal herb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73-78 

  5. Devy, C. and Gautier, R. (1990) New perspectives on the biochemistry of superoxide anion and the efficiency of superoxide dismutase. Biochem. Parmacol., 39, 399405 

  6. Kuramoto, T. (199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ood materials from plant extract such as SOD. Upto date Food Processing, 27, 22-23 

  7. Rorald, W. (1975) Naturally occurring nitrite in food. J. Japan Soc. Food Agric., 26, 1735-1742 

  8. Peter, F.S. (1975) The toxicology of nitrate and N-nitroso compounds. J. Sci. Food Agric., 26, 1761~1770 

  9. Ganten, D and Gross, F. (1977)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Handbook of experimental pharmacology. p.571-522 

  10. Yokoyama, K., Chiba, H. and Yoshikawa, M (1992) Peptide inhibitors for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from thermolysin digest of dried Bonito. Biotech Biochem., 56, 1541-1545 

  11. Folin, O.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I. Chem., 12, 239-249 

  12. Kang, Y.H., Park, Y.K. and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3. Kim, S.M., Cho, Y.S. and Sung, S.K. (1996)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14. Gray, J.I. and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o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15. Cushman, D.W. and Ch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16. Park, M.H. (1998)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persimmon leaves(Diospyros kaki folium) on immunofunctional and biological activity. Yeungnam University. Ph. D. Thesis 

  17. Nihal, A., Sanjay, G. and Hasan, M. (2000)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3-gallate differentially modulates nuclear factor kB in cancer cells versus normal cells. Arch. Biochem. Biophys, 376, 38-346 

  18. Lee, J.W., Lee, S.K., Do, J.H. and Yang, J.W. (2000) Detremination of total phenolic compounds from Korean red ginseng and their extraction condition. J. Ginseng Res., 24, 64-67 

  19. Kim, Y.S., Lim, Y.H., Wang, S.G., Yun, S.J. and Park, C.R. (1999)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pdation effect of samul chol-py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90-996 

  20. Cha, H.S., Park, M.S. and Park KM. (2001)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09-4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