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능이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Properties of Sarcodon aspratus Extracts by Ethanol Concentr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5, 2014년, pp.656 - 660  

이혜진 (한국식품연구원) ,  도정룡 (한국식품연구원) ,  정성근 (한국식품연구원) ,  김현구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능이버섯의 추출용매 및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생리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능이버섯 분말과 추출용매의 비율을 1:50으로 하고 물, 30%, 60% 및 9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다. 수율 측정 결과, 추출용매에 따라 각각 52.10%, 46.90%, 41.50% 및 32.20%로 에탄올 농도가 낮을수록 추출 수율이 높았다. 능이버섯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60% 에탄올 추출물이 4 mg/mL일 때 40.40%의 활성으로 가장 높았고,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DPPH 라디칼 소거능과 같이 6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많았고, 1 mg/mL에서 16.23 mg/g으로 측정되었다. SOD 유사활성에서는 능이버섯 1, 2, 4 mg/mL 농도가 56.30~77.05%의 활성으로 표준물질인 ascorbic acid 10 mg/mL의 56.19%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 측정 결과, 산성조건인 pH 3.0에서 높은 소거능을 보였고 추출용매에 따라 30% 에탄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CE 저해 활성에서는 모든 추출물이 52.67%~89.52%로 높은 활성을 나타냄에 따라 능이버섯의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능이버섯에서 유래한 천연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나아가 능이버섯의 최적 추출조건 확립 등의 연구를 통해 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ological properties of Sarcodon aspratus extracts were investigated. Yields of water, 30, 60, and 90% ethanolic extracts were 52.10, 46.90, 41.50, and 32.20%, respectively.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60% ethanolic extract was 40.40% at a concentration of 4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ngiotensin II는 혈압강하 작용을 갖는 bradykinin을 분해함으로써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물질로 폐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22). 이에 ACE 저해 활성 측정을 통해 능이버섯의 혈압강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능이버섯의 ACE 저해 활성은 Fig.
  • Lee 등(3)에 의해 능이버섯의 각종 비타민과 유리당, 아미노산 등의 영양성분 연구가 이루어졌고, 능이버섯의 세포독성 효과 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4,5). 이에 본 연구에서는 능이버섯을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법으로 다양한 추출조건에서 추출한 능이버섯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유효성분의 활성을 측정하여 능이버섯의 천연기능성 식품으로써의 이용 가능성 및 최적 추출조건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능이버섯은 무엇인가? 버섯은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꾸준히 이용되어 왔으며 능이버섯 또한 국내 자생버섯으로써 식용과 약리작용에 뛰어난 버섯으로 알려져 있다. 능이버섯은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는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의 굴뚝버섯과(Thelphoraceae) 노루털버섯속 담자균류로 향기가 진하여 향버섯이라 불리기도 하며 균근성 버섯으로 가을에 활엽수림인 참나무 및 박달나무 등에 공생한다(1). 건조 시 향이 더욱 강해지며 생으로 먹으면 독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익혀 먹어야 한다.
능이버섯을 익혀 먹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능이버섯은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는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의 굴뚝버섯과(Thelphoraceae) 노루털버섯속 담자균류로 향기가 진하여 향버섯이라 불리기도 하며 균근성 버섯으로 가을에 활엽수림인 참나무 및 박달나무 등에 공생한다(1). 건조 시 향이 더욱 강해지며 생으로 먹으면 독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익혀 먹어야 한다.
능이버섯의 주요성분은 무엇인가? 능이버섯의 주요성분은 단백질과 다당류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고 lentian, enltedenine의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암 예방 및 고혈압, 동맥 경화 등에 효과가 있다. 능이 버섯의 주요 향기 성분은 1-octen-3-ol이며 1-octen-3- one, 3-octanone, 2-octen-1-ol 등의 C8 화합물과 benzeneacetaldehyde 등으로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ang HC, Yun BS, Yu SH, Yoo IC. 2000. Chemical structure of th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mushroom Sarcodon asparatu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298-302. 

  2. Jeong OJ, Yoon HS, Min YK. 2001. Aroma characteristics of Neungee (Sarcodon aspra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07-312. 

  3. Lee SH, Kim NW, Shin SR. 2003.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mushroom (Sarcodon aspratus). Korean J Food Preserv 10: 65-69. 

  4. Song JH, Lee HS, Hwang JK, Han JW, Ro JG, Keum DH, Park KM. 2003. Physiological activity of Sarcodon aspratus extrac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172-179. 

  5. Joo OS. 2008.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itvities of Neungee mushroom (Sarcodon aspratus). Korean J Food Preserv 15: 864-871. 

  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120. 

  7.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8.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opean J Biochem 47: 469-474. 

  9.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10.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11. Ancerewicz J, Migliavacca E, Carrupt PA, Testa B, Bree F, Zini R, Tillement JP, Labidalle S, Guyot D, Chauvet-Monges AM, Crevat A, Le Ridant A. 1998.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of trimetazidine derivatives and model compounds as potential antioxidants. Free Radic Biol Med 25: 113-120. 

  12. Yoon KY, Lee SH, Shin SR. 2006.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arcodon aspr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67-972. 

  13. Kim DH, Park SR, Debnath T, Hasnat MDA, Pervin MP, Lim BO. 2013.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Hericium erinaceus water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1: 112-117. 

  14. Kang HW. 2012.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Curtis) Sing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072-1078. 

  15. Madsen HL, Andersen CM, Jorgensen LV, Skibsted LH. 2000. Radical scavenging by dietary flavonoids. Eur Food Res Technol 211: 240-246. 

  16. Boo HO, Lee HH, Lee JW, Hwang SJ, Park SU. 2009. Differe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L. according to cultivar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15-20. 

  17. Lim HW, Yoon JH, Kim YS, Lee MW, Park SY, Choi HK. 2007. Free radical-scavenging and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by four grades of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Sing.). Food Chem 103: 1337-1342. 

  18.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19. Ha JH, Jeong MH, Seo YC, Yong CW, Kim JS, Kim HH, Ahn JH, Lee HY. 2010.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k of Berberis koreana Palibin by lactic acid fermentation.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 421-428. 

  20. Jun DH, Kim HY, Han SI, Kim YH, Kim SG, Lee JT. 2013. Studies on antioxidant effect of mushroom complex. J Life Sci 23: 377-382. 

  21. Ma SJ. 2000. Inhibitory effect of onion seasoning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95-400. 

  22. Kim JS, Kim MJ, Park MH, Ryu BM, Moon GS. 2008.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nd antihypertensive effects of Phyllostachys pubescens culm extract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7-34. 

  23. Kang MG, Bolormaa Z, Lee JS, Seo GS, Lee JS. 2011. Antihypertensive activity and anti-gout activity of mushroom Sarcodon aspratus. Kor J Mycol 39: 53-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