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딸나무(Cornus kousa) 열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ornus kousa Fruit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8 no.4, 2015년, pp.317 - 323  

이은호 (School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  이선호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조영제 (School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딸나무 열매로부터 phenolic compounds를 추출 후 생리활성을 검정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산딸나무 열매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은 물과 4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각각 7.04, 4.47 mg/g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를 $50-200{\mu}g/mL$로 조절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 $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84, 86%였고,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decolorization은 $100{\mu}g/mL$ phenolics 농도의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84%, 95%였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1.93와 1.82 PF로 측정되었으며, TBARs값$1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69%, ethanol 추출물에서 89%를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34, 60%로 측정되었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능은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29, 87%의 높은 효능을 보였다. Tyrosinase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에서만 19%의 효능을 나타내었다. Collagenase 저해능 측정 결과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이 각각 53, 77%의 높은 저해력을 나타내어 주름개선효과가 높았다. 염증억제효과로서 hyaluronida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200{\mu}g/mL$ phenolic 농도의 물 추출물에서 34%의 염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산딸나무 열매추출물은 항산화, 통풍억제, 당분해 억제, 주름개선효과, 염증억제 등의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tracted phenolic compounds from Cornus kousa fruit for biological activities as functional resources were examined. The phenolic compounds which were extracted with water and 40% ethanol from Cornus kousa fruit were $7.04{\pm}0.27$ and $4.47{\pm}0.18mg/g$, respectively.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딸나무 열매로부터 phenolic compound를 추출하여 항산화 효과, 건강 기능성 식품 및 미용식품 활성을 검정하여,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딸나무란 무엇인가? 산딸나무(Cornus kousa)는 산여지 또는 야여지 등으로 불리며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자생하는 층층나무과 식물로 잎은 넓은 난형이나 넓은 타원형이며, 10월에 열리는 산딸나무의 열매는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Lee, 2003). 한방에서는 산딸나무꽃과 열매를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소창, 지사효과 및 외상 출혈, 이질 등의 치료 효과가 있다고 보고 되어있다(So, 1994).
산딸나무 열매추출물의 collagenase 저해 효과는 추출물 농도에 따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64%의 높은 collagenase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시중에 주름개선 화장료로 이용되고 있는 EGCG와 비슷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산딸나무 열매추출물은 collagenase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작용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산딸나무 열매추출물이 가지는 collagenase 억제활성에 의해 진피층의 뼈대를 구성하는 collagen의 분해를 막아 주름개선을 위한 기능성 미용식품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방에서 알려진 산딸나무 꽃과 열매의 치료효과는? 산딸나무(Cornus kousa)는 산여지 또는 야여지 등으로 불리며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자생하는 층층나무과 식물로 잎은 넓은 난형이나 넓은 타원형이며, 10월에 열리는 산딸나무의 열매는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Lee, 2003). 한방에서는 산딸나무꽃과 열매를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소창, 지사효과 및 외상 출혈, 이질 등의 치료 효과가 있다고 보고 되어있다(So, 1994). 산딸나무의 주요 성분으로는 gall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등의 유기산과 isoquercitrin이 분리, 보고된 바 있으며(Nakaoki와 Morita, 1958), 잎에서 pentaacetyl quercetin, isoquercitrin, gallic acid, tannin 등의 페놀화합물 등이 보고된 바 있다(Ryu과 Yook, 197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ndarwulan N and Shetty K (1999) Phenolic content in differentiated tissue cultures of untransformed and Agrobacterium-transformed roots of anise (Pimpinella anisum L.). J Agric Food Chem 47, 1776-80. 

  2. Aoshima H, Tsumoue H, Koda H, and Kiso Y (2004) Aging of whiskey increases 1,1- 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 Agric Food Chem 52, 5240-4. 

  3. Barrantes E and Guinea M (2003) Inhibition of collagenase and metalloproteinases by aloins and aloe gel. Life Sci 72, 843-50. 

  4.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200. 

  5. Buege JA and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 Enzymol 105, 302-10. 

  6. Cho YJ and AN BJ (2008)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Cheongmoknosang (Morus alba L.) in Lipopolysaccharide stimulated Raw cells. J Kor Soc Appl Biol Chem 51, 44-8. 

  7. Cho YJ, Ju IS, Chun SS, An BJ, Kim JH, Kim MW et al. (2008)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76-81. 

  8. Choi HS, Kim MG, Shin JJ, Pack JM, and Lee JS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 Soc Food Sci Nutr 32, 723-7. 

  9. Choi WH, Park WY, Hwang BY, Oh GJ, Kang SJ, Lee KS et al. (1998) Phenolic compounds from the stem bark of Cornus walteri Wnager. Kor J Pharmacogn 29, 217-23. 

  10. El-Domyati M, Attia S, Saleh F, Brown D, Birk DE, Gasparro F et al. (2002) Intrinsic aging vs. photoaging: a comparative histopath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ltrastructural study of skin. Exp Dermatol 11, 398-405. 

  11. Folin O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c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49. 

  12. Ghosh P (1994) The role of hyaluronic acid (hyaluronan) in health and disease: interactions with cells, cartilage and components of synovial fluid. Clin Exp Rheumatol 12, 75-82. 

  13. Grant NH and Alburn HE (1959) Studies on the collagenases of Clostridium histolyticum. Arch Biochem Biophys 82, 245-55. 

  14. Ishimaru K, Arakawa H, and Neera S (1993) Polyphenol production in cell cultures of Cornus Kousa. Phytochemistry 32, 1193-7. 

  15. Jeroma SP, Gabrielle L, and Raul F (1998) Identification of collagen fibrils in scleroderma skin. J Invest Dermatol 90, 48-54. 

  16. Kim JS, Oh CH, Jeon H, Lee KS, and Ma SY (2002) Immuno-regulatory property of fruit-extracts of Cornus kousa Burg.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 327-32. 

  17. Kim KB, Jo BS, Park HJ, Park KT, An BJ, Ahn DH et al. (2012) Healthy functional food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Ulmus pumila. Korean J Food Preserv 19, 909-18. 

  18. Kim MR, Hwang JH, Yun JK, Han KH, Do EJ, Lee JS et al. (2011) Antioxidation and anti-aging effect of mixed extract from Korean medicinal herbs. Kor J Herbology 26, 111-7. 

  19. Kim SS, Kim SY, and Lee WJ (1998) Microwave vacuum drying of germinated brown rice a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enzyme 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107-13. 

  20. Laskin JD and Piccinini LA (1986) Tyrosinase isozyme heterogeneity in differentiating B-16/C3 melanoma. J Biol Chem 261, 16626-35. 

  21. Lee CB (2003) In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Korea. 

  22. Lee DY, Song MC, Yoo JS, Kim SH, Chung IS, Kim DK et al. (2006)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1ant sources. XVII. Isolation of stero1s from the fruits of Cornus kousa Burg. Han'guk Eungyong Sangmyong Hwahakhoeji 49, 82-5. 

  23. Lee NY (2013) Antioxidant effect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eaweeds ethanol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42, 1893-8. 

  24. Lee TW, Kim SN, Jee UK, and Hwang SJ (2004a) Anti-wrinkle effect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hydrogel patches containing Ulmi cortex extract. J Kor Pharm Sci 34, 193-9. 

  25. Lee WY, Ahn JK, Park YK, and Rhee HI (2004b) Inhibitory effects of proanthocynidin extracted from distylium racemosum of a-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activities. Kor J Pharmacogn 35, 271-5. 

  26. Min BS, Kim YH, Tomiyama M, Nakamura N, Miyashiro H, Otake T et al. (2001) Inhibitory effects of Korean plants on HIV-1 activities. Phytother Res 15. 

  27. Nakaoki T and Morita N (1958) Medicinal resources. XII. Components of the leaves of Cornus controversa, Ailanthus altissima and Ricinus commununis. Yakugaku Zasshi 78, 558-9. 

  28. Noro T and Fukushima S (1988) Inhibitors of xanthine oxidase from the flowers and buds of Daphne genkwa. Chem Pharm Bull 31, 3984-8. 

  29. Pellegrin N, Roberta R, Min Y, and Catherine RE (1998) Screening of diat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ebenzo thiazoline-6-sulfonic acid)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89. 

  30. Reissig JL, Storminger JL, and Leloir LF (1995) A modified colorimetric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N-acetylamino sugars. J Biol Chem 217, 959-66. 

  31. Ryu KS and Yook CS (1971) On the constituents of leaves of Cornus korusa Burg. Kor J Pharmacogn 2, 41-2. 

  32. So BK (1994) In The pictorial book of chinese medicina1 herbs. Yeo-Gang Press, Korea. 

  33. Son CY, Beak IH, Song GY, Kang JS, and Kwon KI (2009) Pharmacological effect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from Angelica gigas Nakai. Yakhak Hoeji 53, 303-13. 

  34. Stirpe F and Della Corte E (1969) The reglu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63. 

  35. Tibbot BK and Skadsen RW (1996)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 inducible, putative alpha-glucosidase gene from barley. Plant Mol Biol 30, 229-41. 

  36. Vareed SK, Reddy MK, Schutzki RE, and Nair MG (2006) Anthocyanins in Cornus alternifolia, Cornus controversa, Cornus Kousa and Cornus florida fruits with health benefits. Life Sci 78, 777-84. 

  37. Vincent J and Hearing Jr (1987) Mammalian monophenol monooxygenase (Tyrosinase): Purification, properties and reaction catalyzed. Method on Enzymology 142, 154-65. 

  38. Wlaschek M, Tantcheva-Poor I, Naderi L, Ma W, Schneider LA, Razi-Wolf Z et al. (2001) Solar UV irradiation and dermal photoaging. J Photochem Photobiol B 63, 41-51. 

  39. Wunsch E and Heindrich HG (1963) Zur qutitativen bestimmung der collagenase. Hoppe-Seyler's Physiol chem 333, 149-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