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nascus purpureus로부터 다량의 색소생성 변이주의 분리 및 색소생성의 최적조건
Isolation of Pigment Overproducing Mutant from Monascus purpureus and Optimization of Pigment Product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1 no.2, 2005년, pp.130 - 134  

박치덕 (계명대학교 미생물학과) ,  정혁준 (계명대학교 미생물학과) ,  유대식 (계명대학교 미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nascus purpureus KCCM 60016을 이용하여 다량의 색소생산 변이주를 개발하고 생산조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로 M. purpureus KCCM 60016으로부터 돌연변이를 유도한 결과, 색소생성이 우수한 P-57 변이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P-57 변이주는 고체 배양에서 현미를 기질로 했을 때 색소생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소생성의 최적 배양조건은 배양온도 $30^{\circ}C,\;90\%$의 배양습도에서 30일간 배양이 가장 우수했다. 이상의 조건에서 배양한 적색색소, 오렌지색소와 황색색소의 양은 각각 160.0 unit, 193.6 unit와 141.6 units-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solation of a pigment overproducing mutant, P-57, by ultraviolet irradiation of Monascus purpureus KCCM 60016 and investigation of the optimal conditions for pigment production of the mutant were carried out. P-57 mutant produced pigment on solid state culture. Unpolished rice was the best cereal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홍국 제조에 있어서 기질인 백미는 탄소원과 동시에 배지 로서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색소생산 변이주인 P-57 균주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곡류를 대상으로 색소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특히, Monascus 균주의 고체배지에서의 접종방법은 일반적인 포자접종법보다 균사체 접종법이 유리하다는 보고도 있었다(2). 본 연구에서는 Monascus purpureus KCCM 60016으로부터 색소 생성능이 우수한 변이주를 분리하고, 색소생성의 최적 배양조건을 검토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Frazier, W.C. 1967. Food Microbiology, McGraw-Hill Book Co., New York, p. 23, 411 

  2. Jung, H.J. and T.S. Yu 2004. Production of cell mass and monacolin K from Monascus sp. on rice solid culture. Kor. J. Microbiol. 40, 160-166 

  3. Kim, H.S., H.S. Kwak, H.S. Yang, Y.R. Pyun, and J.H. Yu. 1979. Stuides on the pigment produced by Monascus sp. in submerged culture. Kor. J. Appl. Microbiol. Bieoeng. 7, 31-36 

  4. Kim, S. Y., and J. K. Kim. 1990. Pigment production in Monascus anka. J. Korean Agric. Chem. Soc. 3, 239-246 

  5. Krairak, S., K. Yamamura, R. Irie, M. Nakajima, H. Shimizu, P. Anage, B. Yongsmith, and S. Shioya. 2000. Maximizing yellow pigment production in fed-betch culture of Monascus sp. J. Biosi. Bioeng. 90, 363-367 

  6. Lee, B.K., N.H. Park, H.Y. Pyao, and W.J. Chung. 2001. Production of red pigments by Monascus purpureus in submerged culture. Biotechnol. Bioprocess Eng. 6, 341-346 

  7. Lee, Y.K.,D.C.Chen, S. Chauvatcharin, T. Seki, and T. Yoshida. 1995. Production of Monascus pigments by a soild-liquid state culture method. J. Ferment. Bio. 79, 516-518 

  8. Lotong, N., and P. Suwanarit. 1990. Fermentation of ang-kak in plastic bags and regulation of pigmentation by initial moisture content. J. Appl. Bacteriol. 68, 565-570 

  9. Manzoni, M. and M. Rollini. 2002. Biosynthesis and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strain by filamentous fungi and application of these cholesterol-lowing drugs. Appl. Microbiol. Biotechnol.58, 555-564 

  10. Martinkova. L., P. Juzlova, and D. Vesely. 1995. Biological activity of polyketide? pigments produced by the fungus Monascus. J. Appl. Bacteriol. 79, 609-616 

  11. Park, H.E., C.H. Kim, and K.H. Min. 1991. Isolation of pigment- producing mutants from Monascus sp. KS2 and optimization of cultural conditions. Kor. J. Mycol. 19, 120-127 

  12. Ryu, H.S., B.H. Lee, B.G. Park, H.S. Kim, H.S. Kim and J.H. Lee. 1989. Production of red pigment by mutants of Monascus anka.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31-36 

  13. Saito, K. 1910. Notizen uber einige koreanische garungsorganismen. Cent. f. Bakt. II Abt. Bd., 26, 369-373 

  14. Wang, H.C., and T.S. Bau. 1977. Pigment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fast neutron and X-ray-induced strains of Monascus purpureus Went. Plant Physiol. 69, 578-581 

  15. Yongsmith, B., V. Kitprechavanichi, L. Chitradon, C. Chaisrisook, and N. Budda. 2000. Color mutants of Monascus sp. KB9 and their comparative glucoamylase on rice solid culture. J. Mol. Catal. B: Enzym. 10, 263-272 

  16. Yoshimura, M., Y. Shigeru, K. Mitsugi, and H. Yoshio. 1975. Production of Monascus-pigment in a submerged culture. Agr. Biol. Chem. 39, 1789-1795 

  17. Yu, T.S. 1999. Hong-ju and pigments produced by filamentous fungus Monascus. J. Inst. Nat. Sci. Keimyung University. 18, 87- 92 

  18. Yuan, C.S. 1983. Fermentative production of anka-pigments. Kor. J. Appl. Microbiol. Bieng. 11, 325-3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