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백잎의 채취시기에 따른 화학적 성분 특성
Properties of Chemical Components of Camellia japonica L. loaves According to Picking Tim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5, 2005년, pp.681 - 686  

김봉순 (순천대학교 식품과학부 조리과학과) ,  최옥자 (순천대학교 식품과학부 조리과학과) ,  심기훈 (순천대학교 식품과학부 조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백잎의 채취시기에 따른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catechin, chlorophyll 및 total polyphenol 등의 함량은 다음과 같다. 동백 잎의 조단백과 조지방 및 ascorbic acid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고, 조회분과 조섬유 함량은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등 3개의 당이 확인되었고, 총 유리 당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유기산은 citric aci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 등이 검출되었고,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총함량은 증가하였다. 동백잎의 주된 유리아미노산aspartic acid, glutamic acid, histidine이었고,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총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동백잎의 주된 구성아미노산은 histidine, alanine이었고,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총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동백 잎에 함유된 무기질은 P, Ca, K, Na, Fe등으로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동백 잎의 chlorophyll 함량과 total polyphenol 함량은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nent of Camellia japonica L. according to picking time. Leaves of Camellia japonica L. were picked in April and May,2003. Free sugar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and organic acids (citric aci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성인병과 각종 암의 유병률 증가에 따른 건강 및 기능성 식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실정에서 방치되어 있는 동백잎을 차잎 채취 시기인 4~5월경에 채취하여 차의 기호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함량과 생리 활성에 관여하는 chlorophyll, total polyphenol 등의 함량을 분석하여 동백 잎 차 제조 및 생리 활성 탐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Values are mean ± S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Lee SH, Kim SK. 1992. Natural disti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s of Camellia japonica in Korea. J Kor Soc Hort Sci 33: 196-208 

  2. 권혁세. 2002. 익생양술. 민방연구소 

  3. 문교부. 1974. 한국동식물도감. 삼화출판사, 서울. p 665 

  4. 송규택, 정현배, 봉희성. 1984. 한국자원식물. 미도문화사, 서울. p 650 

  5. 송규택. 1978. 한국자원식물. 한국자원식물연구소, 서울. p650 

  6. 이창복. 1982.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 543 

  7. Itokawa H, Makajima H, Ikuta A, Iitaka Y. 1981. Two teiterpenes from the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Phytochemistry 20: 2539-2542 

  8. Bhakuni DS, Goel AK, Jain S, Mehrotra BN, Patnaik GK, Prakash V. 1988. Screening of indian plants for biological activity (part III). J Exp Biol 26: 883-886 

  9. Yoshikawa M, Harada E, Murakami T, Matsuda H, Yamahara J, Murakami N. 1994. Camelliasa ponins B1, B2, C1 and C2, new type inhibitors of ethanol absorption in rats from the seeds of Camellia japonica L. Chem Pharm Bull 42: 742-746 

  10. Fujita Y, Fujita S, Yoshikawa H. 1973. Comparative biochemical and chemotaxonomical studies of the plants of theaceae ( I ). Essential oils of Camellia sasanqua Thunb., C japonica Linn., and Thea sinensis Linn. Osaka. Kogyo Gijutsu Shidensho Kigo 25: 198-208 

  11. Kang SK, Choi OJ, Kim YD, Lee HC, Cho SH, Lho IH. 1998. A study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camellia (Camellia japonica L.) seed protein isolate. Korean J Plant Res 11: 272-278 

  12. Yoon TH, Lee JS, Im KJ 1991.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s from seeds of wild and cultivated. Korean Oil Chemists' Society 8: 51-54 

  13. Kim SJ, Choi EJ, Lim HR, Kim TS, Joh YG. 1991. Studies on the anti oxidative substances in the seeds of some theaceae family. Korean Oil Chemists' Society 8: 35-44 

  14. Kim SJ, Choi EJ, Lim HR, Kim TS, Joh YG. 1991. Molecular species of triglycerides in Camellia japonica seed oil. Korean Oil Chemists' Society 8: 35-44 

  15. Cho MK. 1985. A study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amino acid in seed camellia japonica. MS Thesis. Chosun University, Korea 

  16. Kang SK, Kim YD, Choi OJ 1998. Preximate, saponin and amino acid compositions in camellia (Camellia japonica L.) seeds and defatted camellia s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227-231 

  17. Kang SK, Kim YD, Choi OJ. 1998. Antimicrobial activity of defatted camellia (Camellia japonica L.) seeds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232-239 

  18. 최옥자, 김용두, 강성구. 1995. 고유 농수산품목 세계화 대상 품목의 연구조사, 동백나무편 제 4과제 동백종실 및 유박의 활용방안. 전라남도. p 1-94 

  19. Hwang EJ, Cha YJ, Park MH, Lee JW, Lee SY. 2004. Cytotoxicity and chemosensitizing effect of camellia (camellia japonica) te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87-493 

  20. Kim JH, Lee SY, Cho SI. 2003. Anti-proliferative effect of Camellia japonica leaves on human leukemia cell line. Kor J Herbology 18: 93-98 

  21. Kwon MK. 2003. A study of the antimicrobal activities of the extract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 M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Korea 

  22.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25-132 

  23. Macrae R. 1988. HPLC in food analysis. 2nd ed. Academic Press, New York. p 233 

  24. Wilson AM, Work TM, Bushway AA, Bushway RJ. 1981. HPLC determination of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in potatoes. J Food Sci 46: 300-306 

  25. Palmer J, List DM. 1973. Determination of organic acids in foods by liquid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21: 903-906 

  26. Ohara I, Ariyoshi S. 1979. Comparison of protein precipitants for the determination of free amino acid in plasma. Agric Biol Chem 43: 1473-1478 

  27. Woo SJ, Ryoo SS. 1983. Preparation method for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of food samples. Koran J Food Sci Technol 15: 225-231 

  28. Shell D, Snell CT. 1963. Clolrimetric method of analysis. 3rd ed. Van Nostrand, New York. p 3 

  29.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372 

  30. Choi OJ, Park HR, Chough SH. 1997. Variation of free sugar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of apples during the ripening reriod. Koeran J Dietary Culture 12: 149-153 

  31. Park JH, Kim KS, Choi HK. 1997. Studies on free amino acid, organic acid and fatty acid content of Korean tea plants. J Kor Tea Soc 3: 73-87 

  32. 노완섭, 허석현. 2001. 건강보조식품과 기능성식품. 효일, 서울 p 240-2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