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의 교통안전도 평가지수 산정
The Calculation of the Traffic Safety Evaluation Index of Citie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3 no.4 = no.82, 2005년, pp.31 - 36  

성낙문 (한국교통연구원 광역도시교통연구실) ,  장일준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  장명순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김원철 (한양대학교 첨단도로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나 지역의 교통안전도를 평가할 때 인구수, 자동차대수, 도로연장 등 다양한 모집단을 활용한 평가지수가 산정되며, 일반적으로 산정결과는 모집단에 따라 다르다. 이것은 모집단 각각이 교통사고에 주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정책결정자의 의사결정에 장애가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안전도 평가지수의 산정 시, 다양한 모집단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통계학적인 방법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을 활용하여 수도권 25개 중 소도시의 교통안전도 평가지수를 산정하였다. 평가지수 산정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모집단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안전도를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정된 평가지수에 대한 분석결과, 인구수와 도로연장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안전도 평가지수 I(X)와 인구수를 기반한 평가지수 F(P), 도로연장을 기반한 평가지수 F(L)와의 상관계수는 각각 0.68, 0.92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모집단의 종류에 따라 안전도 평가지수가 크게 달라지는 문제점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에 의해서 상당부분 극복 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 및 안전도 평가지수는 중 소도시 혹은 지역단위의 안전정책의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ffic safety evaluation of a city or area on the basis of the accident rate has a limitation that its result is depend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methodology of taking simultaneously the population into account in evaluating the safety, and calculated th...

주제어

참고문헌 (12)

  1. 경기도(2003), '제 43회 경기통계년보' 

  2.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1-2003). '교통사고통계 (내부자료)' 

  3. Gary A. Davis(2000), 'Accident Reduction Factors and Causal Influence in Traffic Safety Studies: A Review',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2, pp,95-109 

  4. J. A. Rice(1997), 'Mathematical staistics and data analysis: 2nd edition' Wadsworth. INC 

  5. J. L. Higle. and J. M. Witkowski. 'Bayesian Identification of Hazardous Loca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185. pp.24-36 

  6. K. W. Lgden (1996) . 'Safer Roads : A Guide to Road Safety Engineering'. Avebury Technical 

  7. Myung Soon Chang. 'Conceptual Development of Exposure Measures for Evaluating Highway safet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847. pp.37-42 

  8. Norden, M., Orlansky, J., and Jacobs. H. 1956. Application of Statistical Quality Control Technique to analysis of highway accident data. Bulletin 117. H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17-32 

  9. R. W. Stokes., and M.I. Mutabazi., 'Rate Quality Control Method of identifying hazardous road loca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42, pp.44-48 

  10. Tarko, A. P., Sinha. K. C., and Farooq, O.(1996). Methodology for identifying highway safety problem area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42,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49-53 

  11. William R. Mcshane et.al.(1998). 'Traffic Engineering(2nd)' Prentice Hall 

  12. Zegeer. C.V., and Deen, R.C.(1977). Identification of Hazardous Locations on City Streets. Traffic Quarterly, pp.601-6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