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솔잎 분말과 추출물 첨가 국수의 품질특성과 저장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Prepared with Pine Needle powder and extract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1 no.5 = no.89, 2005년, pp.685 - 692  

전정례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향희 (대구산업정보대학 호텔조리계열) ,  박금순 (대구가톨릭 대학교 외식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의 일환으로 항산화 및 항암작용 등의 생리활성이 우수한 솔잎 분말과 추출물을 국수에 첨가하여 면의 품질특성 및 기계적 평가, 저장기간 동안의 미생물 생육변화를 살펴보았다. 색도에서 L값은 솔잎 분말과 엑기스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성 (p<.001) 있게 감소하였으며 a(적색도)값과 b(황색도)값은 솔잎 분말과 엑기스 분말을 첨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기계적 검사에서 솔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hardness)는 유의성(p<.05)있게 감소하였으며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ness), 검성(gumminess)은 대조군 보다 솔잎분말 첨가 국수가 감소하였다. 솔잎 엑기스 첨가 국수의 경우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관능평가의 외관 색상은 솔잎 분말과 엑기스 첨가량이 많을수록 진하게 느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p<.001) 입안에서의 매끄러운 정도는 솔잎 분말과 엑기스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매끄럽고 솔잎 엑기스 3% 첨가군이 가장 매끄러웠다. 허브냄새(herbal flavor)는 솔잎 분말 5%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맛은 솔잎 분말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질감의 평가에서 씹힙성(chewiness)과 탄력성(springness)은 솔잎 분말 3%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기호도 평가는 외관 기호도(appearance quality)는 솔잎 엑기스 5% 첨각가 가장 높았고 향미 기호도(flavor quality), 맛의 기호도(taste quality),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quality)는 솔잎 엑기스 3%가 가장 높았다. 국수의 일반세균수의 변화는 $20^{\circ}C$에서 대조군은 저장 2일에 관찰된 것에 반해 솔잎 분말 및 엑기스 국수는 6일까지 저장성이 연장되었다.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의 상관관계에서 색도에서 L값(명도)는 외관의 색과 매끄러운 정도에 모두 부의 관계를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는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기기계적 검사의 탄력성(springness)은 관능검사의 경도(hardness)와 씹힙성(chewiness), 응집성(cohesiveness)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나 외관과 맛은 탄력성(springness)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소 솔잎 추출물과 솔잎 분말을 첨가한 제면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바 솔잎 추출물 3% 첨가면이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mmarizes our findings on the effect of pine needle powder and water extra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nd the changes of microbial count during storage. The lightness of wet noodl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PN powder and water extract ad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부터의 생리활성을 갖는 식품소재의 개발과 천연물에 존재하는 항균성 물질을 식품 보존에 이용하는 기능성 식품개발의 일환으로, 식중독균에 대한 강한 항균력과 유리 라디칼 소거능을 가지며 (Park CS 등 2002), 체중 감량 효과(Her J 1999)가 보고되고 있는 솔잎의 분말과 추출물을 첨가하여 생면을 제조하고, 이들 면의 품질 특성을 관능, 기계적 평가 및 저장 기간에 따른 미생물의 생육변화를 통해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食品資料硏究會. 1971. 麵の技術. 株式會社 食品資料硏究會 

  2. Bae KH, Lee BJ, Jang YK, Lee BR, Lee WJ, Chang DS, Moon HS, Paik DI, Kim JB. 2001. The effect of rnouthrinse products containing sodium fluoride, cetylpyridinium chloride(CPC), pine leaf extracts and green tea extracts on the plaque, gingivitis, dental caries and halitosis, J Korean Acat Dent Health 25(1):51 

  3. Choi S. 2005. Quality characteristic on noodle prepared with Hovenia dulcis fruit powder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4. Her J. 1999. Orient Medicine Handbook, Pubin Press, Seoul 

  5. Jeon HJ, Lee KS. Ahn YJ. 2001. Growth-inhibiting effects of constituents of Pinus densiflora leaves on human intestinal bacteria. Food Sci. Biotechnol 10(4):403 

  6. Kim JS, Son JY. 2004. Effects of condensed phosphates on the quality and self-life of wet noodl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2):133 

  7. Kim SM, Cho YS, Sung SK, Lee IG, Lee SH, Kim DG. 2002. Developments of functional Sausage using Plant Extracts from Pine Needle and Green Te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1):20 

  8. Kim YA. 2002. Effect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6):632 

  9. Kim YS, Shin DH. 2005. Volatile components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 and Z.) extracts Food Microbiology 22(1):37 

  10. Kim YS. 1998 Quality wet noodle prepared with wheat flour and mushroom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0(6):1373 

  11.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1997. Official Book of Foods.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p 297 

  12. Kwak DY, Kim JH, Choi MS, Shin SR, Moon KD. 2002. Effect of hot water extract powder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on quality of nood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3):460 

  13. Lee E. 2003. Effects of Powdered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eib et Zucc.) on serum and Liver Lip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Fed High Oxidized Fat, J. Korean Soc Food Nutr 32(6):926 

  14. Lee HG, Chung RW, Cha GH. 2002. Originals: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olsulgi using varied levels of pine leave powders and different types of sweetner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18(6):661 

  15. Lee HG, Han JY. 2002.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olsulgi using varied levels of pine leave powders and different types of sweetner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2):164 

  16. Lee HJ, Cui CB, Choi HT, Kim SH, Ham YA, Lee DS, Ham SS. 2005.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Vaporized Liquid of Water-boiled Pine Needle, Korean J. Food Preserv. 12(2) :179 

  17. Lee JS, Ahn KH, Park KJ. 2005. Amelioative effect of pine needle oil on liver protection and lipid metabolism of alcohol fed rats, Food Sci. Biotechnol. 14(1):99 

  18. Lee KH, Kim KT. 2000.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whey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2(5):1073 

  19. Lee MY, No HG. 2002 Effect of Chitosan on Shelf - life and Quality of Wet Noodle. J. Chitin Chitosan 7(1):14 

  20. Lee YC, Shin KA, Jeong SW, Moon YI, Kim SD, Han YN.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powder of Opuni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31(6):1604 

  21. Lim YS, Cha WJ, Lee SK, Kim YJ.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with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77 

  22. Lim YS, Cha WJ, Lee SK, Kim YJ.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with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77 

  23. Lim YS, Park KN, Bae MJ, Lee SH. 2002.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Pinus densiflora Sieb and Zucc on Listeria monocytoge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2): 333 

  24. Oh SR.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ly of Pine-needles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6):978 

  25. Park CS, Kwon CJ, Choi MA, Park GS, Choi KH. 2002.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ation 9(2):248 

  26. Park HJ, Yu IS, Kim SK, Lee YS, Kim YB. 1994. Prediction of shelf-life of noodles by bacterial count. Korean J. Food Sci. Technol 26(5):557 

  27. Park JK. 1984. 'Hanbangdaejun', Dongyang Communication Press. Taegu. p.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