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볶음 처리한 옻나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of Roasted Rhus vemiciflua Stoke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6, 2005년, pp.784 - 789  

곽은정 (한국식품연구원 식품기능연구본부) ,  조일진 (한국식품연구원 식품기능연구본부) ,  성기승 (한국식품연구원 식품기능연구본부) ,  하태열 (한국식품연구원 식품기능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옻나무의 속과 껍질부분을 분리해 $170,200,220^{\circ}C$로 온도를 달리하여 볶은 후 $100^{\circ}C$에서 열수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의 과산화지질생성 억제능, DPPH 유리라디칼 소거능 및 4종류의 인체유래의 암세포 즉 간암세포 HepG2, 위암세포 SNU-1, 유방암세포 MCF-7 및 대장암세포 WiDr에 대한 성장저지효과를 알아보았다. 저농도보다 고농도에서, 속보다 껍질부분이, $170\~200^{\circ}C$범위로 볶음처리를 한 시료의 과산화지질생성 억제능, 유리라디칼 소거능 및 암세포의 성장 저지효과가 높았다 가장 높은 과산화지질생성 억제능은 $200^{\circ}C$에서 볶은 속과 껍질추출물을 $500\mu g/mL$의 농도로 첨가 시 50.9, $56.5\%$였고, 유리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200, $170^{\circ}C$에서 볶은 속과 껍질추출물을 $500\mu g/mL$의 농도로 첨가 시 79.0, $8.4\%$였다. 또한 암세포 생존율은 $1,000\mu g/mL$의 농도로 첨가 시 가장 낮았는데 속과 껍질추출물 첨가군의 생존율은 WiDr세포가 $170^{\circ}C$에서 볶음처리 시 41.5, $36.0\%$로 가장 낮았고 ,다음은 HepG2세포$200^{\circ}C$에서 볶음처리 시 61.5, $44.3\%$, 이어서 MCF-7세포가 $170^{\circ}C$에서 닥음처리 시 92.0, $69.2\%$였으며, SNU-1세포는 볶음처리와 상관없이 100, $100\%$의 순으로 높아 특히 WiDr세포에 대한 성장저지효과가 현저하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WiDr세포에 대해서는 $1,000\mu g/mL$의 농도에서 볶음처리를 하지 않은 속과 껍질추출물에서도 63.9, $6.8\%$의 낮은 생존율을 보여 옻나무는 사용한 암세포 중 대장암세포에서 강한 암세포성장 저지활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hibitory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of Rhus verniciflua Stokes pith and peel roasted at 170, 200 and $220^{\circ}C$ on lipid peroxidation, formation of DPPH free radicals and growth of four human cancer cells such as HepG2 (liver cancer), SNU-1 (stomach cancer), MCF-7 (breast c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대부분의 옻나무 연구에서는 옻나무 가지 전체를 구 분 없이 사용하였는데(1-7), 옻나무의 부위에 따라서 다른 성분이 검출되므로(1) 생리활성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되며, 또한 옻나무를 고온에서 볶음처리 시 가열처리가 옻나무의 생리활성 물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이 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옻나무의 속과 껍질부분을 분리 해 온도를 달리 하여 볶은 후 열수 추출하여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인체유래 암세 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orea Foreast Research Institute. 2000. The developement of the treatment for liver detoxification, immune stimulation, cancer and anti-angiogenesis of urushiol and flavonoid from lac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p 19-55 

  2. Sundarm UM, Zhang HH, Hedman B, Hodgson KO, Solomon EL. 1997. Spectroscopic investigation of peroxide binding to the trinuclear copper cluster site in laccase: Correlation with the peroxy-level intermediate and relevance to catalysis. J Am Chem Soc 119: 12525-12540 

  3. Lim KT, Lee JC. 1999. Bioactive utility of the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RVS): Biological function of the extracts from RV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238-245 

  4. Lee JC, Lim KT. 2000. Screening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RVS) ethanolic extract. Food Sci Biotechnol 9: 139-145 

  5. Lee JC, Lim KT, Jang YS. 2002. Identification of Rhus verniciflua Stokes compounds that exhibit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apoptotic properties. Biochem Biophys Acta 1570: 181-191 

  6. Lim KT, Shim JH. 1997. Antioxida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RVS) on mouse whole brain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248-1254 

  7. Lim KT, Hu C, Kitts DD.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a Rhus verniciflua Stokes ethanol extract. Food Chem Toxicol 39: 229-237 

  8. Kim IW, Shin DH, Choi U. 1999.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the bark of Rhus verniciflua Stokes screened from Chines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55-863 

  9. Choi WS, Kim DK, Lee YH, Kim JE, Lee SE. 2002. Antioxidative and cytotoxicity activities of compounds isolated from Korean Rhus verniciflua Stoke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68-172 

  10. Cai YJ, Fang JG, Ma LP, Yang L, Liu ZL. 2003. Inhibition of free radical-induced peroxidation of rat liver microsomes by resveratrol and its analogues. Biochem Biophys Acta 1637: 31-38 

  11. Ohkawa H, Ohishi N, Yagi K.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 

  1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3. Franca AS, Oliveira LS, Mendonca JCF, Silva XA. 2005. Physical and chemical attributes of defective crude and roasted coffee beans. Food Chem 90: 89-94 

  14. Franca AS, Mendonca JCF, Oliveira LS. 2005. Composition of green and roasted coffees of different cup qualities. Lebensm Wiss Technol 38: 709-715 

  15. Nebesny E, Budryn G. 2003. Antioxidative activity of green and roasted coffee beans as influenced by convection and microwave roasting methods and content of certain compounds. Eur Food Res Technol 217: 157-163 

  16. Nicoli MC, Anese M, Manzocco L, Lerici CR.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coffee brews in relation to the roasting degree. Lebensm Wiss Technol 30: 292-297 

  17. Nicoli MC, Anese M, Parpinel MT, Franceschi S. 1997. Loss and/or formation of antioxidants during food processing and storage. Cancer Lett 114: 71-74 

  18. Wijewickreme AN, Kitts DD. 1998. Oxidative reactions of model Maillard reaction products and $\alpha$ -tocopherol in a flour-lipid mixture. J Food Sci 63: 466-471 

  19. Yen GC, Hsieh PP.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of xylose-lysine Maillard reaction products. J Sci Food Agric 67: 415-420 

  20. Monti SM, Ritieni A, Geaziani C, Randazzo G, Mannina L, Segre AL, Fogliano V. 1999. LS/MS analysis and antioxidative efficiency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from a lactose-lysine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47: 1506-1513 

  21. Yoshimura Y, Iijima T, Watanabe T, Nakazawa H. 1997. Antioxidative effect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using glucose-glycine model systems. J Agric Food Chem 45: 4106-4109 

  22. Jing H, Kitts DD.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sugar-lysine Maillard reaction products in cell free and cell culture systems. Arch Biochem Biophys 429: 154-163 

  23. Jing H, Kitts DD. 2004.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different sugar-casein Maillard reaction products and protective effects on chemical-induced cytotoxicity of Caco-2 cells. Food Chem Toxicol 42: 1833-1844 

  24. Hayase F, Hirashima S, Okamoto G, Kato H. 1989. Scavenging of active oxygens by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3: 3383-33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