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성암반배수에 의한 절취사면 구조물의 피해 현황과 평가
Damage Conditions and Assessment for Cut Slope Structures due to Acid Rock Drainage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1 no.5, 2005년, pp.83 - 92  

이규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김재곤 (한국지질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박삼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이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전철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김탁현 (충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성암반배수가 발생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사면구조물의 피해현황과 환경오염 실태를 파악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성암반배수가 발생하는 절취사면은 대부분 숏크리트공법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산성암반배수가 사면구조물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숏크리트는 산성암반배수에 의해서 현저하게 열화되어 가고 있으며, 용수발생량이 많은 곳은 배면공동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셋째, 절취사면에서 산성암반배수가 발생되는 곳은 국부적으로 불안정하고,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앵커와 록볼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강산성암반배수에 의해 부식될 우려가 크다. 넷째, 식생공의 경우 산성암반배수가 잔디 씨앗의 발아 및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일부 지역에서는 생석회를 사용하여 산성암반배수를 중화시키고 있으나 근본적인 대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황철석의 풍화로 발생한 산에 의해 배수가 낮은 pH를 유지하면서 중금속들을 용출시켜 지속적으로 배출하여 부근 토양, 지하수와 하천수를 오염시킬 개연성이 매우 크다. 산성암반배수의 발생 가능성을 암석유형별로 평가한 결과 편마암, 화강암의 경우 산성배수 발생 가능성이 낮은 군으루 열수변질을 받근 화산암, 응회암, 탄질셰일, 금속광산 폐석시료는 산성배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군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토목건설공사과정에서 빈번히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사면절취에 의한 암반산성배수에 대비하여 발생개연성이 있는 지역에 대한 지반정보의 확보 및 대책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amage conditions of cut slope structures due to acid rock drainage (ARB) and to assess the acid production potential of various rocks. Acid rock drainage is produced by the oxidation of sulfide minerals contained in coal mine zone and mineralization belt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본 연구는 산성배수 발생저감을 위한 기술개발의 첫 단계로서 산성배수의 암석별 발생 특성을 파악하고 평가하는데 주 목적이 있었다. 향후 연구는 황철석을 함유한 암석의 표면을 처리하여 산성배수발생의 원인인 황철석의 산화를 근본적으로 저감하는 기법을 개발하는데 주력할 예정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건설현장의 절취 사면에서 발생하고 있는 ARD] 실태와 이로 인한 사면구조물의 피해 현황을 파악하고, 암석 유형에 따라 장차 ARD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거나 낮은 지역을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절취사면에서 발생하는 ARD를 저감시킬 수 있는 대책공법 개발의 연구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건설교통부에서 지원하는 2004년 건설핵심기술연구개발사업(04핵심기술, A 02-07; 도로건설 절취사면의 산성배수 발생저감을 위한 피막형성기술 개발)에 의하여 실시된 연구의 일부임을 밝히며, 동기관에 감사의 뜻을 표하는 바이다.
  • 이를 바탕으로 절취사면에서 발생하는 ARD를 저감시킬 수 있는 대책공법 개발의 연구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황철석의 산화는 용존 산소와 표면의 직접 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황철석 표면에서 슨!:화반응은 Fe-site가 S-site 보다 먼저 산화되어 철이 용출되고 다음으로 유황이 산화되어 용출된다. 산화과정에 있는 황철석 표면을 인산염으로 처리하면 표면에 철인산염 화합물이 침전되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형태의 피막을 형성하게 된다 
  • ARD가 발생하는 절취사면은 대부분 숏크리트와 식생공으로 사면보호공을 처리하고 있으며, ARD가 사면구조물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정진, 김수진 (2002), '태백 동해광산일대의 물-광물 반응에 의한 산성광산배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변화.' 자원환경지질, 제35 권, 제l호, pp.55-66 

  2. 김진환, 이종현, 구호본, 박미선 (2003), '산성배수 영향에 의한 도로절토사면 안정성변화 및 환경오염에 대한 연구',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p.144 

  3. 박맹언, 성규열, 고용권 (2000), '비금속광상의 황화광염대에 수반되는 산성광산배수의 형성과 지질환경의 오염: 동래납석광산 산성광산배수의 형성에 관한 반응경로 모델링', 자원환경지질 제33권, 제5호, pp.405-415 

  4. 염승준, 윤성택, 김주환, 박맹언 (2002), '동래 납석광산 산성 광석배수의 중화실험: 중금속 거동 특성 규명',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제7권, 제4호, pp.68-76 

  5. 유재영 (1995), '광산 배수의 산성화 및 그에 따른 환경문제', 대한지질학회.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제11회 공동학술발표회, pp.32-55 

  6. 유재영, Coleman, M. (2000), '산성 배수 내 용존 황의 동위 원소 조성: 영동 및 강릉 탄광 사례 연구', 지질학회지, 제36권, 제1호, pp.1-10 

  7. 이규호, 김재곤, 이진수, 전철민, 박삼규, 김탁현, 고경석, 김통권 (2005), '건설현장 절취사면의 산성암반배수 발생특성과 잠재적 산발생능력 평가', 자원환경지질, 제38권, 제1호, pp.91-99 

  8. 정영욱 (2004), '석탄광의 광산배수처리기술 현황 및 전망', 자원환경지질, 제37권, 제1호., pp.107-111 

  9. 최석원, 이찬희, 원경식, 김일석 (2001) '청주-상주간 고속도로 예정구간의 회북지역에 대한 지질학적 및 수리지구화학적 특성', 지질학회지 제37권, 제l호, pp.83-106 

  10. 최선규, 박상준, 이평구, 김창성 (2004), '한반도 광상 성인유형에 따른 환경 특성', 자원환경지질, 제37권, 제l호, pp.1-19 

  11. 추창오, 이진국, 조현구 (2004), '산화환경하에서 명반석, 슈베르 트마나이트의 형성특징과 환경지구화학적 의미: 달성광산', 한국광물학회지, 제17권, pp.37-47 

  12. 환경부 (2003), '지하수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 

  13. 全國治水砂防協會 (2000), '新.斜面崩壞防止工事の設計と實例 - 急傾斜地崩壞防止工事技術指針-', p.302 

  14. Nriagu, J. O. (1972), 'Solubility equilibrium constant of strengite', Am. J. Sci. 272, pp.476-484 

  15. Price, W. A., Morin, K., and Hurt, N. (1997) Guidelines for the Prediction of Acid Rock Drainage and Metal Leaching for Mines in British Columbia: Part II - Recommended Procedures for Static and Kinetic Testing. Proc.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id Rock Drainage, Vancouver, BC pp.15-30 

  16. Sobek, A. A., Schuller, W. A., Feeman, J. R., and Smith, R.M. (1978),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applicable to overburden and minesoils, EPA report No. 600/2-78-054, pp.47-50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