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 절취사면의 산성암반배수 발생특성과 잠재적 산발생능력 평가
Generation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Acid Rock Drainage(ARD) of Cut Slopes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8 no.1, 2005년, pp.91 - 99  

이규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김재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이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전철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박삼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김탁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고경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김통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 현장 절취사면에서 발생되는 산성암반배수(Acid Rock Drainage, ARD)는 암석에 함유된 황화광물의 산화에 의해 발생하며, 주변 환경, 구조물의 안정성과 수명, 경관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형은 70% 이상이 산 지이므로 토목공사과정에서 사면절취와 터널공사가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산성배수를 발생시킬 개연성이 있는 황 철석을 함유한 암석들은 전국에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암반을 대상으로 암석유형별 산성배수 발생특성을 파악하고 잠재적인 산발생능력을 규격화된 방법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산발생능력 평가 결과 NP/MPA 비에 따라서 14개의 시료가 산성배수 발생 가능성이 높은군에, 4개의 시료는 산성배수 발생 가능성이 낮은군에 해당하였으며, 암 석의 종류와 산발생능력 평가 결과는 상관관계는 명확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시료만으로 볼 때, 편마 암, 화강암의 경우 산성배수 발생 가능성이 낮은 군으로, 열수변질을 받은 화산암, 응회암, 탄질셰일, 금속광산 폐석시 료는 산성배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군으로 분류되었다. 물시료 분석 결과 일부 항목이 지하수의 생활용수 이용시 수 질기준을 초과하였다. 이는 주로 황철석의 산화로 인하여 발생한 산에 의해 배수가 낮은 pH를 유지하면서 중금속들 을 용출시켜 지속적으로 배출하기 때문이며, 고농도의 중금속을 함유한 산성배수가 계속 생산, 유입될 경우 연구대상 지역 부근 지하수와 하천수의 수질오염이 우려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id Rock Drainage(ARD) is the product formed by the atmospheric(i.e. by water, oxygen and carbon dioxide) oxidation of the relatively common iron-sulphur mineral pyrite($FeS_2$). ARD causes the acidification and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water and soil and the reduction of slope sta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수행 중인 “산성 배수 발생 억제 기술 개발 연구”의 첫 단계로서, 암석 유형별 산성배수 발생특성을 파악하고 잠재적인 산발 생능력을 규격화된 방법으로 평가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암반을 대상으로 산성배수 발 생특성을 파악하고, 산성배수 발생 정도와 암석 유형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암석을 산성 배수 발생능력에 따라 그룹화함으로서, 현재 진행 중이거나 향후 착수될 토목공사에서 대상암반에 따라 산성배수로 인한 피해를 예측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산성배수 발생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의 첫 단계로서 산성배수의 암석별 발생 특성을 파악하고 평가하는데 주목적이 있었다. 향후 연구는 황철석을 함유한 암석의 표면을 처리하여 산성배수 발생의 원인인 황철석의 산화를 근본적으로 저감하는 기법을 개발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 본 연구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수행 중인 “산성 배수 발생 억제 기술 개발 연구”의 첫 단계로서, 암석 유형별 산성배수 발생특성을 파악하고 잠재적인 산발 생능력을 규격화된 방법으로 평가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암반을 대상으로 산성배수 발 생특성을 파악하고, 산성배수 발생 정도와 암석 유형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 따라서 다양한 암반을 대상으로 산성배수 발 생특성을 파악하고, 산성배수 발생 정도와 암석 유형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암석을 산성 배수 발생능력에 따라 그룹화함으로서, 현재 진행 중이거나 향후 착수될 토목공사에서 대상암반에 따라 산성배수로 인한 피해를 예측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MPA는 암석 내의 황화광물이 모두 산화될 때 생성되는 황산의 최대량으로 통상 이를 중화시킬 수 있는 암석 It당 석회암 동량(equivalent kg CaCOy/t)으로 표현노1다. 본 연구에서는 암석 내황은 모두 황철석으로 존재한다고 가정하였으며 이는 X-선 회절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다음의 식2에서 1몰의 FeS2(황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정진, 김수진 (2002) 태백 동해광산일대의 물-광물 반응에 의한 산성광산배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변화. 자원환경지질, 35권, p. 55-66 

  2. 박맹언, 성규열, 고용권 (2000) 비금속광상의 황화광염대에 수반되는 산성광산배수의 형성과 지질환경의 오염: 동래납석광산 산성광산배수의 형성에 관한 반응경로 모델링. 자원환경지질, 33권, p. 405-415 

  3. 염승준, 윤성택, 김주환, 박맹언 (2002) 동래 납석광산 산성 광석배수의 중화실험: 중금속 거동 특성 규명.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7권, p. 68-76 

  4. 유재영, Coleman, M. (2000) 산성 배수 내 용존 황의 동위 원소 조성: 영동 및 강릉 탄광 사례 연구. 지질학회지, 36권, p. 1-10 

  5. 정영욱 (2004) 석탄광의 광산배수처리기술 현황 및 전망. 자원환경지질, 37권, p. 107-111 

  6. 최석원, 이찬희, 원경식, 김일석 (2001) 청주-상주간 고속도로 예정구간의 회북지역에 대한 지질학적 및 수리지구화학적 특성. 지질학회지, 37권, p. 83-106 

  7. 최선규, 박상준, 이평구, 김창성 (2004) 한반도 광상 성인 유형에 따른 환경 특성. 자원환경지질, 37권, p. 1-19 

  8. 추창오, 이진국, 조현구 (2004) 산화환경하에서 명반석, 슈베르트마나이트의 형성특징과 환경지구화학적 의미: 달성광산. 한국광물학회지, 17권, p. 37-47 

  9. 환경부 (2003) 지하수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 

  10. Chung, F.H. (1974)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mixtures. I. Matrix-flushing method for quantitative multicomponent analysis. J. Appl. Cryst., v. 7, p. 519-525 

  11. Kwong, Y.T.J. (1993)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acid rock drainage from a geological and mineralogical perspective. MEND/NEDEM report 1.32.1, Canadian Centre for Mineral and Energy Technology, Ottawa 

  12. Lawrence, R.W. and Scheske, M. (1997a) A method to calculate the neutralization potential of mining wastes. Env. Geol., v. 32, p. 100-106 

  13. Lawrence, R.W. and Wang, Y. (1997b) Determination of Neutralization Potential in the prediction of Acid Rock Drainage. Proc.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id Rock Drainage, Vancouver, BC, p. 449-464 

  14. Lawrence, R.W., Jaffe, S. and Broughton, L.M. (1988) In- House Development of the Net Acid Production Test Method, Coastech Research 

  15. Price, W.A., Morin, K. and Hutt, N. (1997) Guidelines for the Prediction of Acid Rock Drainage and Metal Leaching for Mines in British Columbia: Part II - Recommended Procedures for Static and Kinetic Testing. Proc.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id Rock Drainage, Vancouver, BC, p. 15-30 

  16. Sobek, A.A., Schuller, W.A., Feeman, J.R. and Smith, R.M. (1978)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applicable to overburden and minesoils. EPA report No. 600/2-78-054, p. 47-50 

  17. Sverdrup, H.U. (1990) The kinetics of base cation release due to chemical weathering, Lund University Press, Lund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