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 갈등과 여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rk-Family Conflict and Spillover of Married Working Wome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3 no.4 = no.76, 2005년, pp.113 - 122  

정영금 (가톨릭대학교 소비자주거학 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spillover of married working wome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imate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and spillover and investigate the related variables to th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level of work-fami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과 가족간의 상호작용을 일-가족 여파로 정의하여, 기혼취업여성들이 일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면서 겪는 일-가족갈등과 일-가족여파의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이들이 안고 있는 문제를 규명하고 해결책을 강구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앞에서 제시한 최근의 연구경향을 반영하여 일-가족갈등과 더불어 일-가족여파라는 개념 하에서 과도한 직장일이나 가정일이 서로에게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알아봄으로써일-가족 균형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하였다. 특히 앞에서 제시한 최근의 연구경향을 반영하여 일-가족갈등과 더불어 일-가족여파라는 개념 하에서 과도한 직장일이나 가정일이 서로에게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알아봄으로써일-가족 균형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갈등을 넘어서 일-가족 여파를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즉, 취업여성의 일-가족갈등 정도를 제시함으로써 해결책 마련의 시급함을 강조할 수 있겠으나, 이것보다는 일과 가족간의 여파를 통해 긍정적인 관계는 진작시키고 부정적인 관계는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일과 가족이 기혼취업여성의 생활에서 균형있게 유지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예를 들어 맞벌이 가정에서는 여성에게 갈등적인 기대를 요구하는데, 직장에서는 여성에게 적극적이고 경쟁적이며 일에 몰두하기를 기대하고 가정에서는 자녀와 남편을 돌보기를 기대한다. 이렇게 서로 다른 기대는 일과 가정에서 서로 상반되는 인성특성을 보여줄 것을 요구하게 되므로 취업주부의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에서는 대체로 어머니로서의 역할, 아내로서의 역할, 직장인으로서의 역할, 주부로서의 역할을 포함하여 이것을 잘 해내지 못하는 데서 오는 불만과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병행으로 인해 야기되는 일-가족갈등과 일-가족여파의 정도를 알아보고 관련 변인들을 찾아냄으로써 일-가족갈등을 해소하고 일-가족의 병행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일-가족갈등과 일-가족여파를 동시에 조사함으로써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여 갈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가족갈등은 일-가족 병행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측면임을 보여줌으로써 일-가족 병행의 장점을 부각하고자 하였다.
  •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가족갈등은 일-가족 병행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측면임을 보여줌으로써 일-가족 병행의 장점을 부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일-가족 여파의 용어나 척도가 통일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단지 시도적인 연구로서의 의미만을 갖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성희(1989). 취업주부의 직무만족도와 역할갈등도 연구. 성신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영선 . 옥선화(2005). 가족기업 종사자의 일-가족갈등 및 직업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223-239 

  3. 남경우(1997). 취업주부의 역할갈등과 취업중단의사 분석.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주희(2005). 취업주부의 다중역할 수행의 효과 및 대처전략. 한국가정관리학회 37차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5. 손문금(2004). 맞벌이주부의 시간부족 인식. 여성연구, 67, 한국여성개발원. 159-198 

  6. 안선영(1987). 취업주부의 가정내 역할갈등과 관련변인고찰. 숙명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여성부(2003). 전국가족조사 및 한국가족보고서 

  8. 이기영 . 구혜령(1992). 전문직 취업주부의 역할갈등과 갈등대처 전략,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2), 99-112 

  9. 이동렬(1995). 직장-가정갈등이 구성원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임희정(2000). 기혼여성의 직장-가정갈등과 경력몰입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조은숙 . 옥선화(1998). 비전문직 취업모의 역할긴장에 대한 대처 행동 및 관련변수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2), 55-71 

  12. 조희금(1999). 취업기혼여성의 일-가정갈등과 직업 및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7(2), 145-158 

  13. 최자령(1991).취업주부의 역할관리전략과 역할갈등 수준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최희경(1995).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의 관계: 직장-가정갈등과 개인차변인, 가정변인, 직장변인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Beutell, N. J. & Berman, U. W.(1999). Predictors of Work-Family Conflict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Job, Career, and Life. Psychological Reports, 85, 893-903 

  16. Grzywacz, J. G, Almeida, D. M. & McDonald, D. A.(2002). Work-Family Spillover and Daily Reports of Work and Family Stress in the Adult Labor Force. Family Relations, 51, 28-36 

  17. Netemeyer, R. G., Boles, J. S. & McMurrian, R.(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Scal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4), 400-410 

  18. Weigel, D. J., Weigel, R. R., Berger, P. S., Cook, A. S. and DelCampo, R.(1995). Work-Family Conflict and the Quality of Family Life'- Specifying Linking Mechanisms.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24 (1), 5-7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