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기간 영양교육 캠프가 비만아동의 식품과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ort-term Nutrition Education Camp on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Obese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7, 2005년, pp.987 - 999  

신은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진화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연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혜성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단기간의 영양교육캠프가 비만아동의 식품과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구미시에 거주하는 비만도 $130\%$이상 비만아동 30명이었으며, 이들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여름과 겨울방학을 이용하여 2회의 영양교육 캠프를 실시하였다. 식품 및 영양소 섭취상태는 영양교육 캠프 전$\cdot$$\cdot$후의 3회에 걸쳐 3일간 식품기록법을 이 용하여 조사되었다. 평균연령은 남녀 각각 10.2, 10.0세였다. 평 균 체중은 남녀 각각 $51.0\pm9.1kg,\;52.7\pm10.4kg$이었고, 평균 신장은 남녀 각각 $144.7\pm6.8cm,\;142.2\;8.7cm$였으며, BMI는 남아가 $24.3\pm4.5$, 여아가 $26.2\pm5.4$였다. 일일 평균 식품 총섭취량은 캠프 전 $1646.64\pm1403.6g$, 캠프 중 $1438.6\pm 1130.6g$, 캠프 후$1412.66\pm881.43g$으로 차츰 감소하였다. 이중에서 식물성 식품군으로부터 $74.6\~66.7\%$를 섭취하였고, 동물성 식품군으로부터 $25.4\~33.3\%$를 섭취하였다. 섭취량이 가장 높았던 식품군은 곡류였으며, 그 다음이 과실류, 우유류, 채소류, 음료류, 육류, 난류, 두류 순이었다. 곡류, 두류의 섭취량은 영양교육 캠프전에 비해 캠프 중과 후에 유의하게 낮았고, 난류의 섭취는 캠프중에 감소하였다가 캠프후에 다시 증가하였으며 어패류의 섭취량은 캠프 중과 후에 유의하게 높아졌다. 영양교육 캠프 후 섭취량이 유의하게 변화한 것은 에너지와 당질 및 비타민 C였다. 에너지 섭취량은 캠프 전에 RDA의 $105.9\%$에서 캠프 후에 RDA의 $91.6\%$로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당질의 섭취량도 캠프 전$(323.02\pm235.83\;g/d)$에 비해 캠프 후 $(282.57\pm143.41\;g/d)$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비타민 C의 섭취는 캠프 전$(108\%\;RDA)$에 비해 캠프 후$(166\%\;RDA)$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비만아동들이 RDA에 비해 낮게 섭취한 영양소는 칼슘과 비타민 $B_2$로 나타났다. 3대 열량 영양소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비율에서 지방 에너지 섭취율은 경우 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 에너지 섭취율은 영양교육 캠프 후 유의하게 높아졌고, 당질 에너지 비율은 유의하게 낮아졌다. 동물성과 식물성 급원별 일일 주요영양소(단백질, 지방, 칼슘, 철) 섭취량은 영양교육 캠프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칼슘은 동물성$\cdot$식물성 급원의 섭취 비율이 60:40, 철분은 20:80으로 나타났다. 곡류와 우유류의 에너지 섭취율은 캠프 전에 비해 캠프 중과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난류의 에너지 섭취율은 캠프 중에 유의하게 낮았다. 단백질의 경우 곡류와 감자류, 채소류, 어패류로부터의 섭취율이 캠프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지방은 곡류, 우유류로부터의 섭취율이 캠프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칼슘의 경우 감자류와 우유류로부터의 섭취율이 캠프 중과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난류로부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철의 경우 감자류와 어패류로부터 섭취율이 캠프 중과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곡류로부터의 섭취율이 캠프 중에 유의하게 낮았다. 비타민 A의 경우 해조류와 난류로부터의 섭취율이 캠프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채소류로부터의 섭취율이 캠프 중에 유의하게 높았고 비타민 $B_1$은 채소류와 어패류로부터의 섭취율이 캠프 중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섬유의 경우 곡류로부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hort-term nutrition education camp on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obese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obese children in Gumi city who have obesity index over $130\%$. The food consumption of the subjects was survey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실시 하였다. 동계 캠 프는 2주간의 하계캠프를 통하여 습득한 지식과 생활습관이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중요한 내용을 반복하면서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많이 추가하였으며 , 캠프를 수료한 아동들이 교육을 통한 효과로 올바른 생활습관을 형 성 하여 성 장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자신의 비 만도를 점 차적으로 감소시키는데 그 목표를 두었다.
  • 또한 지금까지 비만 청소년이나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된 영양교육은 수일간의 비교적 짧은 기간으로 이루어졌으며 부모가 영양교육에 함께 참여한 경우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만아동과 부모가 함께 영양교육캠프에 참여하고 식사요법과 운동요법 및 행동 수정을 통합시킨 2주간 및 3일간의 2회에 걸친 집중 캠프를 실시 하고 이 와 같은 단기 간 영 양교육 캠프가 비 만아동들의식품과 영양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소아비만의 위험성과 치료법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소아비만의 원인과 위험성을 인식하여, 아동들이 올바른 방법으로 비 만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였고, 식품구성탑의 식품군과 권장하는 섭 취량을 알고 균형 잡힌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 영양소의 기능과 식품 교환 표를 교육하여 골고루 먹 는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올바른 식 행 동을 형 성 하도록 하기 위 하여 과식과 편식, 간식과 외식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아동 스스로 자신 에 맞는 식 사 목표를 세 워 보도록 하였다. 교육 후 게 임을 통해 배운 지식을 복습하도록 하였으며, 자신의 식생활 및 평 소 일상생 활을 돌아보고 개 선시 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 하여 역 할극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Lee HO. 2000. A study of dietary intake and biochemical status of obese children in Anyang. Korean J Food & Nutr 13: 273-280 

  2. Kang YJ, Hong CH, Hong YJ. 1997. The prevalence of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over the last 18 years in school area. Korean J Nutr 30: 832-839 

  3. Lee JB, Lee JO, Kim SY, Kang JH, Yang YJ. 2000.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hildhood obesity in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J Korean Acad Fam Med 21: 866-875 

  4. Ogden CL, Flegal KM, Carroll MD, Johnson CL. 2002. Prevalence and trends in overweight among US children and adolescents 1999-2000. JAMA 288: 1728-1732 

  5. Latner JD, Stunkard AJ. 2003. Getting worse: the stigmatization of obese children. Obes Res 11: 452-456 

  6. Ko KS, Sung NE. 1974. A study of obesity in primary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Public Health 11: 163-168 

  7. Choi WJ, Kim KY. 1980. A study on the physical growth and food habit of obese children. Korean J Nutr 13: 1-7 

  8. Kim KA, Kwun IS, Kwon CS. 2001.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obesity and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Kyungbuk area. Korean J Nutr 34: 664-670 

  9. Chung MS, Rho YI, Jung EG, Moon KR, Park SG, Park YB, Ryu SY, Park J. 1995.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childhood obesity on the elementary students in Kwangju city. Pediatrics 38: 1547-1567 

  10. Kim HK, Lee DS, Yoo SM, Cheong YS, Park EW. 2001.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obesity in asan-city. J Korean Acad Fam Med 22: 1484-1493 

  11. Park JH, Son CS, Lee JW, Tocko YC. 1993.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Pediatrics 36: 338-346 

  12. Kim KH, Kim HK, Lee DS, Park JH. 1995. An investigation of child obesity and living environment: A suggestion for developing norms to measure obesity. Korean J Physical Education 34: 259-276 

  13. Epstein LH, Coleman KJ, Myers MD. 1995. Exercise in treating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d and Sci in Sports and Exercise 28: 428-435 

  14. Han JS, Rhee SH. 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cholesterol level and dietary intake in obese children. J Korean Soc Food Nutr 25: 433-440 

  15. Choi YS. 2000. Childhood obes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angnung and Seoul areas.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16. Freedman DS. 1987. Persistence of juvenile onset obesity over eight years: The Bogalusa heart study. Am J Public Health 77: 588-592 

  17. Dietz WH. 1986. Prevention of childhood obesity.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33: 823-833 

  18. Ahn HS, Park JK, Lee DH, Paik IK, Lee JH, Lee YJ. 1994. Clinical and nutritional examination in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Nutr 27: 79-89 

  19. Kim HA, Kim EK. 1994. Prevalences of hypertension and obesity of children in Kangnung. Korean J Nutr 27: 460-472 

  20. Lee DH, Lee C, Lee CG, Hwang YS, Cha SH, Choi Y. 1991.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in serverely obese children. Pediatrics 34: 345-453 

  21. Lauer RM, Clarke WR. 1999. Use of cholesterol measurements in childhood for the prediction of adult hypercholesterolemia. JAMA 264: 3034-3038 

  22. Dietz WH. 1985. Nutrition in Pediatrics. Little Brown and Company, Boston/Toronto. p 769-780 

  23. Epstein LH, Wing RR, Valoski A. 1985. Childhood obesity.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32: 363-379 

  24. Lee JH. 1990. Treatment of obesity. Korean J Nutr 23: 347-350 

  25. 김영설, 2003, 비만치료지침, 대한비만학회편, 도서출판 한의학, 서울, p.175 

  26. Kim KH. 2002. The effects of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for body weight control of obese children. Korean J Food Culture 17: 185-196 

  27. Kim MO. 2001. Evaluation of the nutrition education for obese children.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28. Park JK, Ahn HS, Lee DH. 2001. Dietary intakes and serum minerals composition in obese children. J Korean Soc Study of Obese 10: 156-164 

  29. Park HS, Kang YJ, Shin ES. 1994. Serum lipid profiles and diet patterns in obese children in Seoul. J Korean Soc Study of Obese 3: 47-54 

  30. Kim JH. 1993.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nd serum lipid levels according to obese index of apartment complex in seoul.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31. Choi HJ. 2000. A study on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related factors of obese children. MS Thesis. Youngnam University 

  32. Kim HA, Kim EK. 1996. A syudy on effects of weight control program in obese children. Korean J Nutr 29: 307-320 

  33. 한국식품공업협회 식품연구소, 1988, 식품섭취 실태조사를 위한 식품 및 음식의 눈대중량 

  34. Lee YN. 1992. Nutrition survey of children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with a school lunch program in Youido-dong of Seoul.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35. Lee SK. 1991. A study of the dietary behaviours of children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with a urban-type school lunch program.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36. Jung SJ. 1991. Nutrition survey of children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with a no school lunch program in the location of one of the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of Seoul.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37. Kim CI, Kye SH, Jang YA, Kim BH, Lee HS, Seo HJ. 2002.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38. Lim HS, Lee JI. 1993. Relationships of obesity in childhood to plasma lipids, blood pressure and blood glucose. J Korean Soc Food Nutr 22: 724-733 

  39. Yim KS, Yoon EY, Kim CI, Kim KT, Kim CI, Mo SM, Choi HM. 1993. Eating behavior, obes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children. Korean J Nutr 26: 56-66 

  40. Miller WC, Linderman AK, Wallace J, Niederpruem M. 1990. Diet composition, energy intake and exercise in relation to body fat in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52: 426-430 

  41. Shin HS. 1996. A study on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dietary pattern in obese adolescents.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42. Park JK, Ahn HS,Lee DH, Kim MJ, Lee JH, Lee YJ. 1994. Effectivences of nutrition program for obese children. Korean J Nutr 27: 90-99 

  43. Lee MS, Choi KS, Baek SK. 1994. Nutrition survey of songmyun middle school students in Goisan country, Chung buk province. Korean J Nutr 27: 760-775 

  44. Park HS, Shin ES, Kim SY. 1993. Diet patterns in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Kor Society of Lipidology and Atherosclerosis 3: 150-159 

  45. Korean Nutrition Association.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Seoul. p 114-124 

  46. Lee YN, Yim KS, Lee SK, Mo SM, Choi HM. 1996. Diet-related factors of overweight adolescent girl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 354-3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