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북지역 과체중 및 비만아동의 영양교육 효과 -식습관, 식행동, 식생활 태도, 영양지식과 영양소 섭취 상태를 중심으로-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Chonbuk Area -Focus on Food Habit, Eating Behaviors, Dietary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ents Intak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9, 2010년, pp.1286 - 1294  

유옥경 (전북대학교부설 비만연구센터) ,  이양근 (전북대학교부설 비만연구센터) ,  손희숙 (전북대학교부설 비만연구센터) ,  차연수 (전북대학교부설 비만연구센터)

초록

본 연구는 전라북도 교육청의 추천을 받은 전주시 S 초등학교, 익산시 D 초등학교, 김제시 G 초등학교 2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과체중 및 비만아동 103명(남아 69명, 여아 34명)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총 12회(1학기 6회, 2학기 6회)를 실시한 후 식습관, 식행동, 식생활태도, 영양지식과 영양소섭취 상태를 평가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실시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식습관은 '식사시간에 먹는 양은 어떠한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여학생의 경우 교육 전과 후에 유의적인 변화를 보였으며(p<0.05), '식사 시 배가 불렀을 때 어떻게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남학생(p<0.01)과 여학생 (p<0.05) 모두 교육 전후에 '배가 부르면 먹지 않는다고 답한 학생의 수가 가장 많았고, '간식을 섭취하는 이유'에 대해 여학생의 경우 배가 고파서라고 답한 학생의 수가 가장 많았다(p<0.05). 간식 섭취의 주된 이유는 남녀 모두 교육 전후에 '배가 고파서'로 답하였으며, 여아의 경우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식행동은 몇 개의 항목에 대해 남 여아 모두 바람직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고, 식태도에서는 '초콜릿, 사탕등 단 음식을 자주 섭취한다'는 문항에서 여아의 경우 교육전 2.46점에서 교육 후 2.75점으로 점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영양지식은 교육 후 남 여아 모두 모든 항목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영양가가 높은 음식이란 열량이 많은 음식을 말한다'라는 질문에서 여학생의 대답에서만 유의성이 있었다(p<0.001). 영양소섭취상태에 있어서 영양교육 후 1일 열량 섭취량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남 여아 모두 평균 추정량에 비해 낮은 수준의 에너지를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1년간의 영양교육(총 12회)이 과체중 및 비만아동의 영양지식과 식습관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유의성이 낮았고, 식행동과 식태도 및 영양소섭취상태 변화는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들의 식습관 및 생활습관은 단기간의 교육으로 변화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향후 장기간 지속적인 관리와 체계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focus on food habit, eating behaviors, dietary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ents intake. The nutrition education was provided to 103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Chonbuk area. Nutrition education lesson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라북도 교육청의 추천을 받은 전주시 S 초등학교, 익산시 D 초등학교, 김제시 G 초등학교 2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과체중 및 비만아동 103명(남아 69명, 여아 34명)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총 12회(1학기 6회, 2학기 6회)를 실시한 후 식습관, 식행동, 식생활태도, 영양지식과 영양소섭취 상태를 평가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실시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전주시, 익산시, 김제시 소재 초등학교의과체중 및 비만아동 103명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한 후 식습관, 식행동, 식생활 태도, 영양지식과 영양소섭취상태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영양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고 지속적인 비만아동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비만의 원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소아비만의 원인으로는 신체활동량 감소와 불규칙한 식습관, 사회적·경제적·심리적 환경의 영향 등을 들을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과다한 학업으로 인한 운동부족, 정신적 불안감, 스트레스로 인한 과식 등이 비만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4).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여성 사회진출 증가로 인하여 식생활 양식이 변화되고 있으며, 패스트푸드와 동물성식품을 선호하는 등의 식생활로 인해 영양불균형이 야기되고 있다.
소아비만은 왜 위험한가? 또한 결식, 편식, 과식 등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소아비만 발생률이 증가되고 있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학교에서 교육여건이나 기회가 미흡한 실정이다(5). 소아비만은 성인비만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높고, 성인기에 발생한 비만보다 고도비만이 된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있으며(6), 소아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및 고지혈증 등 생활습관성질환을 동반하며, 우울증, 소외감, 열등감 등 정서적인 문제들을 수반할 수 있다(7).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소아비만율 추이는 어떠한가? 전 세계적으로 비만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데, 비만인구의 증가는 미국을 비롯한 서구 선진국만의 문제가 아니며, 아시아 국가들을 비롯한 개발도상국에서도 비만으로 인한 보건학적, 사회경제학적 부담이 급증하고 있다(1).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생활양식이 변화되면서 비만 발생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초등학생 비만율은 3년 동안 2배로 증가하여 초등학교 남학생의 비만율이 7.2% (1998년)에서 15.4%(2001년)로 증가하였고, 여학생의 경우 8.7%(1998년)에서 15.9%(2001년)로 늘어나 3년 만에 2배로 증가하였으며(2), 서울지역 초·중·고등학생들의 비만율은 1979년에서 2002년 사이에 남아는 10배(1.7→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Prentice AM. 2006. The emerging epidemic of obesity in developing countries. Int J Epidemiol 35: 93-99.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Korea obesity management measure (obesity management symposium report). 

  3. Park YS, Lee DH, Choi JM, Kang YJ, Kim CH. 2004. Trend of obesity in school age children in Seoul over the past 23 years. Korean J Pediatrics 47: 247-257. 

  4. Choi MK, Lee YS, Lee YS, Bae YJ, Kim MH, Lee YS, Kim AJ, Sung CJ. 2007. Evaluation of nutritional health camp in obese elementary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0:79-87. 

  5. Lee HS, Choi JS, Kim WY. 2005.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for weight control on the dietary behavior, anthropometry, body composition, and the serum levels of adipocytokines in the elementary obese children. Korean J Food Culture 20: 323-330. 

  6. Kim KH. 2007. Changes of obesity indices,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obese children on weight control program. Korean J Community Nutr 12: 449-461. 

  7. Shin EK, Lee HS, Lee YK. 2004.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obese children and their parents (2)-focus on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s, food habit and nutrient intakes. Korean J Community Nutr 9: 578-588. 

  8. Kim SB, Choi HJ. 2008.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food exchange system: changes in elementary students'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s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13: 922-933. 

  9. Kim JY, Han YS, Bae HS, Ahn HS. 2006. Dietary intakes and serum lipids and iron indices in obese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1: 575-586. 

  10. Choi HJ, Seo JS. 2003. Nutrient intake and obesity-related factors of obese children and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orean J Community Nutr 8: 477-484. 

  11. Park HO, Kim EK, Chi KA, Kwak TK. 2000. Comparison of the nutrition knowledge, food habits and life styles of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 Nutr 5: 586-597 

  12. Yu OK, Park SH, Cha YS. 2007. Eating habits,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onju area. Korean J Food Culture 22: 665-672. 

  13. Kim KH. 2009. Effects of weight control program on food habit, eating behaviors and life habits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4: 509-520. 

  14. Lee JW, Lee HS, Chang MS, Kim JM.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15. Kim HA, Kim EK. 1996. A study on effects of weight control program in obese children. Korean J Nutr 29: 307-320 

  16. Kim HA, Kim EK. 1996. A study on effects of weight control program in obese children. Korean J Nutr 29: 307-320. 

  17. Ahn Y, Ko SY, Kim KW. 2009.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4: 266-276. 

  18. Yoon HS, Yang HL, Her ES. 2000.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divers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5: 513-521. 

  19. Park HS, Kang YJ, Shin ES. 1994. Serum lipid profiles and diet patterns in obese children in Seoul. Korean J Obesity 3: 47-54. 

  20. Park JK, Ahn HS, Lee DH. 1995. Nutrient intake and eating behavior in mid and severely obese children. Korean J Obesity 4: 43-50. 

  21. Lee KH, Hwang KJ, Her ES. 2001. A study on body image recognition, food habit,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of elementary children in Changwon. Korean J Community Nutr 6: 577-5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