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뽕잎을 첨가한 닭고기 Patty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with added Mulberry Leaves Powder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1 no.4 = no.88, 2005년, pp.459 - 465  

김미원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안명수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영희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been known that the mulberry leaf is effective in many diseases. Nowadays,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n diabetes mellitus of mulberry leaves have been confirmed and they are used for many aspects. And Mulberry leaves are also hewn to b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diabetics, because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뽕잎 가루를 닭고기에 직접 첨가하여 chicken patty를 제조한 후 관능평가와 물성검사, 색도검사, 지방산 조성 등을 분석하여 뽕잎을 첨가한 새로운 식품 개발의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YG. 1999. Test of hypothesis, T Value, nonparametric, Min Young Sa 

  2.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1990.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 Hwang SH, Kim Jl, Sung CJ. 1996. Assessment of dietary fiber intake in korea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Nutr. 25(2):205-213 

  4. Joung BS, Shin MK. 1998. Medical herbs. Younglim company. Korea. pp545-548 

  5. Kim AJ, Kim MW, Lim YH. 1998. Study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aste of pongihpsolgi as affected by ingredients. J.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8(3):297- 308 

  6. Kim AJ, Lim YH, Kim MW, Kim MH, Woo KJ. 2000. Mineral contents and properties of pongihp julpyun preparation by adding mulberry leaves powder. Korean J. SOC. FOOD SCI 16(4):311-315 

  7. Kim HB, Lee WC, Kim SY, Lee YK, Bang SY. 1998. Effect of mullberry leaf tea for the removal on Cd and Pb in drinking water. Korean J. Seric. Sci 40(1):17-22 

  8. Kim HB, Yang SY, Lee YK. 1996. Effects of mullberry leaf on phys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ntents of mullberry leaf noodle. Korean J. Seric. Sci 38(1):1-6 

  9. Korea newspaper. 1998. 'mullberry leaf' metal removal, blood sugar down 

  10. Korea newspaper. 1999. Ice cream development 

  11. Lee CH, Dhoi CH, Lee JK. Park BS. 1992. food industrial quality administry, Yurim Company. Korea pp24-72 

  12. Lee WJ, Lee YW, Kim SY. 1998. Mullberry leaf, Silkworm, silk health. Seouwon Company. Korea 

  13. Lepage, G, Roy. CC. 1986. Direct trans sesterification of class of lipids in a one-step reaction, J. Lipid Res., 27, 114 

  14. Lim RJ, Medical plants. 1999. Korea culture company. Korea. pp202-204 

  15. Lim RJ. 1999. Medical plants. Korea culture company. Korea. pp91-92 

  16. Won, TY. 1999. Makething, SPSS analyze, SPSS Academi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