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시내 PC방(Internet Cafe)의 세균분포와 항생제 내성 양상
Bacterial Distribution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 of PC Room(Internet Caf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1 no.3, 2005년, pp.183 - 187  

윤지희 (삼육대학교 약학과) ,  백한주 (삼육대학교 약학과) ,  진한주 (삼육대학교 약학과) ,  손예원 (삼육대학교 약학과) ,  곽선영 (삼육대학교 약학과) ,  양환진 (삼육대학교 약학과) ,  홍은경 (삼육대학교 약학과) ,  최성숙 (삼육의명대학교 식품과학과) ,  하남주 (삼육대학교 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PC방의 세균 오염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4년 7월${\~}$12월까지 서울시내에 있는 PC방(Internet Cafe)들 중에서 34곳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세균수를 측정한 결과, 키보드에서는 $9.0{\times}10^4$ CFU/ml, 마우스에서는 $2{\times}10$ CFU/ml, 그리고 화장실 손잡이에서는 $5{\times}10^3$ CFU/ml의 세균이 검출되었다. 이는 화장실 손잡이보다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세균에 대한 오염정도가 더 심한 것을 의미한다. PC방에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지닌 7개의 균주를 분리해 내었는데, 2개의 균주는 methicillin과 erythromycin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었고, 5개의 균주는 gentamicin, ampicllin, cefotaxim, chloramphenicol에 대해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들을 동정한 결과, 2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로 동정되었고, 4 균주는 Actinobacillus ureae로 동정되었으며. 나머지 1개의 균주는 Pasteurella multocida로 동정되었다. Pasteurella multocida와 Actinobacillus ureae는 잠재적인 병원균으로 이전에 Pasteurella ureae로 알려졌던 Actinobacillus ureae는 인간의 상부 호흡기에 드물게 공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Pasteurella multocida는 많은 가축의 비인두강 안에 존재하는 평범한 정상 균총을 구성하는 세균인 것으로 알려졌다. 항생제 내성에 대한 연구 결과 Staphylococcus aureus는 erythromycin과 methicillin의 혼합제에 대해서 $100\;{\mu}g/ml$ 이상의 높은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었고, Pasteurella multocida와 Actinobacillus ureae는 gentamicin, ampicillin 에 대하여 $100\;{\mu}g/ml$ 이상의 높은 항생제 내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ygiene condition of PC room(internet cafe) in Seoul Korea. From July 2004 to December, 34 samples were collected, there's an average of $9.0{\times}10^4$ CFU/ml on keyboards, $2{\times}10$ CFU/ml on mouse and $5{\times}10^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C방을 한번 이용할 때 장시간 머무르는 경우가 많으므로 미생물에 대한 노출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으며 요즘에는 PC방내에서의 음식섭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종 병원균에 노출 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PC방의 위생상태 정도를 파악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 본 연구는 보편화된 PC방의 세균 오염 정도와 항생제의 내성정도를 파악하여 PC방의 위생 상태에 대한 인식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PC방에서 사람의 손이 많이 닿는 부분인 마우스, 키보드, 화장실 손잡이의 총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그 세균들의 항생제 내성정도와 세균의 동정을 통하여 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PC방의 위생 상태를 조사하고 PC방의 환경파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 그러나 PC방의 위생상태 정도를 파악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 본 연구는 보편화된 PC방의 세균 오염 정도와 항생제의 내성정도를 파악하여 PC방의 위생 상태에 대한 인식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PC방에서 사람의 손이 많이 닿는 부분인 마우스, 키보드, 화장실 손잡이의 총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그 세균들의 항생제 내성정도와 세균의 동정을 통하여 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PC방의 위생 상태를 조사하고 PC방의 환경파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 폐쇄된 공간에서의 공기 오염실태는 이미 보고 된 바가 있고(8), 또 식품과 식품을 간접적으로 오염 시킬 수 있는 재료에 관한 위생 상태에 관해서도 조사된 바가 있으나 보편화된 PC방의 오염도에 관한 연구 자료가 전무한 관계로 본 실험을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PC방의 위생 상태에 대한 기초 자료가 국내외에 거의 없는 실정으로 인해서 자료 비교와 위생 상태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보편화된 PC방의 세균 오염 정도와 항생제의 내성 정도를 파악하여 PC방의 위생 상태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PC방에서 사람의 손이 많이 닿는 부분인 마우스, 키보드, 화장실 손잡이의 총 세균수와 그 세균들의 항생제 내성정도와 세균의 동정을 통하여 시내의 PC방의 위생 상태를 조사하고 PC방의 환경파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 폐쇄된 공간에서의 공기 오염실태는 이미 보고 된 바가 있고(8), 또 식품과 식품을 간접적으로 오염 시킬 수 있는 재료에 관한 위생 상태에 관해서도 조사된 바가 있으나 보편화된 PC방의 오염도에 관한 연구 자료가 전무한 관계로 본 실험을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PC방의 위생 상태에 대한 기초 자료가 국내외에 거의 없는 실정으로 인해서 자료 비교와 위생 상태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보편화된 PC방의 세균 오염 정도와 항생제의 내성 정도를 파악하여 PC방의 위생 상태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PC방에서 사람의 손이 많이 닿는 부분인 마우스, 키보드, 화장실 손잡이의 총 세균수와 그 세균들의 항생제 내성정도와 세균의 동정을 통하여 시내의 PC방의 위생 상태를 조사하고 PC방의 환경파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권중호, 최종욱, 김현구, 조덕조, 이정은, 정재영, 이은영, 노정은, 박난영, Tusneem K, 최유경, 김병근, 김동술, 정 형욱, 한태희, 김수진, 홍석산, 최맑음, 최윤정. 2002. 방 사선 처리 농산물의 수입 관리를 위한 다중검지기술 개발. 국내연구보고서 

  2. 김강주, 유용욱, 차정단, 이동근, 김해경, 유현희. 2002. Berberine의 항생제 내성 황색 포도구균에 대한 항미생물 효과.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24(2), 108-115 

  3. 김창민, 우건조, 이동하, 박용식, 윤성경. 2002. 김밥 중 황색 포도상 구균의 분포. 한국식품위생안전학회지 17 (1), 31-36 

  4. 박종현. 2002. 복합 조리식품 제조공정상의 미생물학적 위해관리. 식중독저감화사업 연구보고서 

  5. 백병걸, 이존화, 김천현, 김병수. 1996. 전북 해안의 해수, 해토 및 해산어류에 있어서 Vibrio 속 의 분포. 한국수의 보건학회지 20(1), 65-73 

  6. 이무하, 민중석, 황성규, 정명섭, 권중호. 1998. 저수준 전자선 살균을 이용한 농축산물의 위생적 품질 개선기 술개발. 국내연구보고서 

  7. 이정섭. 1984. 간호원의 손 오염에 대한 세균학적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4(2), 55-62 

  8. 이주상, 원정일, 이철민, 김윤신. 2002. 노래방과 컴퓨터 게임방 내의 실내오염에 관한 연구. 대한위생학회지 17 (3), 67-74 

  9. 정팔진, 강동희, 조영동. 1995. 먹는 물의 병원성 세균분 포 및 미생물학적 안정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추계학술 연구발표회 논문 초특집. 721-724 

  10. 함희진, 한창호, 차영섭. 2001. 서울시내 수산시장에 설치된 가판 수족관수의 세균 분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7, 47-50 

  11. Avami, A., C. Papalambrou, M. Tzivra, E. Dounis, and T. Kordossis. 1997. Bone marrow infecton caused by Actinobacillus ureae in a rheumatoid arthritis patient. J. Infect. 35, 298-299 

  12. Cooke. F.J., A. Kodjo, and E.J. Clutterbuck. 2004. A case of Pasteurella multocida peritoneal dialysis-associated peritoniti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Infect. Dis. 8, 171-174 

  13. Chun, U.H., B.S. Park, and J.S. Cho. 1994.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otoplast form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actobacillus plantarum, Korean J. Botechnol. Bioeng. 9, 191-199 

  14. Dobbin, G., H. Hariharan, P.Y. Daoust, S. Hariharan, S. Heaney, M. Coles, L. Price, and C.A. Muckle. 2005. Bacterial flora of free-living double-crested cormorant (Phalacrocorax auritus) chicks on Prince Edward Island, Canada, with reference to enteric bacteria and antibiotic resistance. Comp. Immnu. Microbiol. & Infect. Dis. 28, 71-82 

  15. Henriksen S. and K. Jyssum. 1960. A new variety of Pasteurella haemolytica from the human respiratory tract. Acta Path. Microbiol. Scand. 50, 443 

  16. Kaspar, C.W. 1994. Cutting board of plastic and wood contaminated experimentally with bacteria. J. Food Prot. 57, 16-28 

  17. Kim, S.H., N.H. Keon, J.Y, Kim, J.Y. Lim, W.K. Bae, JM. Kim, K.J. Noh, J. Hur, W.K. Jung, K.T. Park, J.E. Lee, J.C. Ra, and Y.H. Park. 2002. antimicrobial activity of natural product made by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against Salmonella spp. and Escherichia coli O157:H7. J. Fd Hyg. Safety 17, 71-78 

  18. Kingsland, R.C., MD, PhD, and D.A. Guss, MD. 1995. Actinobacillus ureae Meningitis: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Emerg. Med. 13, 623-627 

  19. Lim, J.J. and H.I. Yun. 2001. Postantibiotic effects and postantibiotic sub-MIC effects of erythromycin, roxithromycin, tilmicosin, and tylosin on Pasteurella multocida. Int. J. Antimicrob. Agents 17, 471-476 

  20. Merlino, J., J. Watson, G. Funnell, T. Gottlieb, R. Bradbury, and C. Harbour. 2002. New screening medium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methicillin/oxa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for nosocomial surveillance. Eur. J. Clin. Microbiol. Infect. Dis. 21, 414-416 

  21. O'Neill E., A. Moloney, and M. Hickey. 2004. Pasteurella multocida meningitis: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Infect 

  22. Samraa, Z., O. Ofira, and J. Baharb. 2004. Optimal dete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from clinical specimens using a new chromogenic medium. Diagn. Microbiol. Infect. Dis.. 49, 243-247 

  23. Stiehl, J.B., MD, L.A. Sterkin, MD, and C.F. Brummitt, MD. 2004. Acute Pasteurella multocida in Tatal Knee Arthroplasty. J. Arthroplasty. 19, 244-247 

  24. Yang, B.S., 2002. Molecular epidemiology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ribotyping. J. Biomed. Lab. Sci. 8, 77-82 

  25. Yang, H.H., T. Robert, S. Vinopal, D. Grasso, and B.F. Smets. 2004. High diversity among environmental Escherichia coli isolates from a bovine feedlot. Appl. Environ. Microbiol. 70, 1528-15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