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 생약재에서의 항노화와 주름 개선 활성 신소재 탐색
Screening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to Develop New Materials for Anti-aging and Anti-wrinkle in the Skin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1 no.2 = no.51, 2005년, pp.147 - 152  

이상은 (풀무원 식문화 연구원) ,  손동욱 (KT&G 중앙연구원 인삼연구소) ,  윤여필 (풀무원 식문화 연구원) ,  임태형 (풀무원 식문화 연구원) ,  조자운 (풀무원 식문화 연구원) ,  김현수 (풀무원 식문화 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개발에 있어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초학과 식품공전에 수재되어 있는 전통생약재에 대한 연구는 국내 화장품 원료개발의 중요한 부분으로써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부분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는 폐와 피부 질환에 사용되는 전통생약재 121종을 선별하였다. 이들 전통생약재 추출물들을 대상으로 DPPH free radical 소거법SOD 활성 측정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과 주름 생성의 주 기전에 관련된 elastase 효소 억제 활성을 관찰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보이면서도 주름 형성관련 효소인 엘라스타제에 대한 억제 활성을 지니는 전통생약재 9종을 선별하였다. 항주름/피부탄력 활성을 나타내리라 사료되는 9종의 생약재에 대한 각각의 정상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효과를 나타내리라 여겨지는 0.1 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체피부 일차 자극 실험을 통해 피부자극 유무를 측정한 결과 피부자극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식품공전과 동의보감 자료에 의거, 폐와 피부질환에 관련된 전통생약재 121종 중 9종에 대해 항주름과 피부탄력에 관련한 향장 소재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part of searching tot the natural components which inhibit the skin aging and wrinkle formation, the $80\%$ methanolie extracts of 121 species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used to treat lung and skin disease were investigated for their in vitro anti-oxidative activity against 1,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 전통재를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가진 천연물들이 노화 피부에 좋은 영향을 주는 향장 원료로 쓰이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DPPH free radical 소거법[4]과 SOD 활성 측정 법⑸에 의한 항산화 활성과 주름 생성의 주기전에 관련된 elastase 효소 억제 활성[6]을 관찰하였다. 또한 이들 추출물을 정상 세포에서의 세포독성 및 인체 피부 일차 자극 실험을 통해 피부 자극 유무를 측정하였으며 인체도 포를 통한 효능 실험을 통해 새로운 향장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생약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는 기존에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이들의 강한 활성이 보고되어 왔다[8], 본 연구는 노화의 주원인인 활성산소의 소거와 주름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elastase 효소 억제에 효과를 나타내는 생약재검색을 위하여 동의보감에 의거하여 폐와 피부질환에 관련된 생약재 121종을 대상으로 그들의 MeOH 엑스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과 elastase 억제 활성을 검토하였다. 항산화 활성 실험의 양성 대조물로는 ascorbic acid를, elastase 억제 활성 실험의 양성 대조물로는 methoxy succinyl-AlaeAla-Pro-Val-chloromethyl ketoneB와 ursolic acid를 사용하였다.
  • 이러한 시대 흐름에 부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전통.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M. Wlaschek, I. Tantcheva-Poor, L. Naderi, W. Ma, L. A. Schneider, Z. Razi-Wolf, J. Schuller, and K. Scharffetter-Kochanek, Solar UV irradiation and dermal photoaging, J. Photochem Photobiol. B. Biology, 63, 41 (2001) 

  2. S. J. Moloney, S. H. Edmonds, L. D. Giddens, and D. B. Learn, The Hairless mouse model of photoaging: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rmal elastin, collagen, skin thickness and wrinkles, Photochem Photobiol., 56(4), 505 (1992) 

  3. Y. Miyaki, Photoaging from an oxidative standpoint, J. Dermatol, Sci., 9, 79 (1995) 

  4. J. H. Kim, Y. H. Cho, S. M. Park, K. E. Lee, J. J. Lee, B. C. Lee, H. B. Pyo, K. S. Song, H. D. Park, and Y. P. Yun. Antioxidants and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from leaves of Zostera marina L., Arch. Pharm. Res., 27(2), 177 (2004) 

  5. J. M. McCord and I. Fridovich,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ic function for erythrocuprein (hemocuprein), J. Biol Chem., 244(22), 6049 (1969) 

  6. N. Tsuji, S. Moriwaki, Y. Suzuki, Y. Takema, and G. Imokawa, The Role of elastases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otochem and Photobiol., 74(2), 283 (2001) 

  7. J. S. Choi, Screening 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arine microalgae. Kor. J. Pharmacogn., 21(2), 252 (2000) 

  8. T. Yokozawa, C. P. Chen, E. Dong, T. Tanaka, G. I. Nonaka, and I. Nishioka, Study on the inhibitory effect of tannins and flavonoids against the 1,1-dipheny1-2 picrylhydrazyl radical, Biochemical Ptarmacology, 56(2), 213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