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주름개선 및 미백효과 구명
Pupal Drone Extracts for Anti-wrinkle and Skin-lightening Materia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0 no.5, 2020년, pp.428 - 433  

김정은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곤충잠업연구소) ,  김도익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곤충잠업연구소) ,  구희연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곤충잠업연구소) ,  김현진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곤충잠업연구소) ,  김성연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곤충잠업연구소) ,  이유범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곤충잠업연구소) ,  문제학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용수 (국립농업과학원 잠사양봉소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시험물질인 수벌번데기추출물의 in vitro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능 평가를 검정하였다. 수벌번데기추출물의 미백효과 시험을 위하여 in vitro tyrosinase inhibition 시험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질로 L-Tyrosine 및 L-DOPA를 사용하였을 때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tyrosinase 억제 효능을 보여서 미배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 및 보습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HDF, B16F10 cell을 사용하였다. 추출물의 이들 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시험을 실시한 후 시험물질의 투여 용량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두 세포 모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100 ㎍/ml를 최고 농도로 설정하고, 공비 1/5로 20 및 4 ㎍/ml를 시험농도로 설정하였다. HDF cell을 이용하여 collagen type I 및 MMP1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UVB 조사로 감소된 collagen type I의 양은 시험물질 처리로 인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UVB 조사로 증가된 collagen 분해효소인 MMP1의 발현은 시험물질 처리로 인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B16F12 cell을 이용한 melanin 생성 억제 시험 결과, 시험물질 처리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시험물질인 수벌번데기추출물은 collagen 생성을 증가시키고 collagen 분해 효소인 MMP1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melanin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미백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reated pupal stage extracts of Apis mellifera L. drones for use in cosmetic materials. The effect of the drone pupae extract (DPE) on HDF cells was assessed for analysis of anti-wrinkle activity by collagen or collagenase gene expression, and the skin-lightening effect was studied...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더불어 수벌번데기가 식품원료로써 사용되기 위해서 안전성에 대한 연구 결과로 식중독 세균, 및 곰팡이 독소에 대한 안전성 평가 결과, 장출혈성대장균(Enterohemorrhage Escherichia coli)을 비롯한 각종 유해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아서 식품원료로써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10], 수벌번데기를 식품으로 섭취하여도 알러지 발생이 되지 않는다는 장점도 확인되었다[6]. 따라서 식품원료로써 우수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수벌번데기의 이용 범위를 확대하고자 본 연구는 수벌번데기를 이용한 미용제품 원료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pimondia. 1975. The hive products: food health and beauty. Proc. of Intern. Sympo. on Apitherapy. Apimondia publishing house, Bucharest, Romania. 154. 

  2. Burgett, M. 1990. Bakuti-a Nepalese culinary preparation of giant honeybee brood. The Food Inse. Newslet. 3, 1-2. 

  3. Choi, Y. S., Lee, M. L., Lee, M. Y., Kim, H. K., Lee, K. G., Yeo, J. H. and Woo, S. O. 2009. Management for high quality drone products. Kor. J. Api. 24, 1-7. 

  4. Dietz, A. 1975. Nutition of the adult honeybee. In: The hive and honyebee. Dadt. Sons, Hami. 11, 125-156. 

  5. FAO. 2013. Edible Forest Insects. Human bite back. Rome. 

  6. Hocking, B. and Matsumura, F. 1960. Bee brood as food. Bee World 5, 113-120. 

  7. J, Stoevesandt. and Trautmann, A. 2018. Freshly squeezed: anaphylaxis caused by drone larvae juice. Eur. Ann. Allergy Clin. Immunol. 5, 232-234. 

  8. Kang, S. M., Maeng, A. R., Seong, P. N., Kim, J. H., Cho, S. H., Kim, Y. S. and Choi, Y. S. Effect of drone pupa meal added as replacement of sodium, nitrate and vitamin C on physic-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enmlsion-type sausage. Kor. J. Food Nutr. 6, 802-810. 

  9. Kim, J. E., Kim, S. G., Kang, S. J. and Kim, Y. H. 201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one pupa and major pollens. The 31st Conferences of the Api. Soci. Kor. Sympo. 142. 

  10. Kim, S. G., Woo, S. O., Jang, H. R., Choi, H. M., Moon, H. J. and Han, S. M. 2018. Safety investigation on foodborne pathogens and mycotoxins in honeybee drone pupas. J. Food Hyg. Saf. 5, 399-403. 

  11. Kim, S. G., Woo, S. O., Bang, K. W., Jang, H. R. and Han, S. M. 2018. Chemical composition of drone pupa of Apis mellifera and its nutritional evaluation. J. Apicul. 33, 17-23. 

  12. Mark, D. F. 2005. Nutrient composition of bee brood and its potential as human food. Ecol. Food Nutr. 4, 257-270. 

  13. Rosenkranz, P., Aumeier, P. and Ziegelmann, B. 2010, Biology and control of Varroa destructor. J. Invertebr. Pathol. 103 Suppl1, S96-119. 

  14. Theones, S. C. and Schmidt, J. O. 1990. A rapid, effective method of non-destructively removing honeybee larvae from combs. Amer. Bee J. 130, 817. 

  15. Waldrop, M. 1980. Firm takes new approach to food additives. Chem. Eng. News 55, 22-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