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대화시기 주거공간을 통해 본 아동관과 아동공간의 고찰 - 1920년대~1960년대까지 -
Attitudes toward Children and Spaces for Children During Korea's Modernization Period as Explored through Housing Cultures and Floor Plans : From the 1920s to the 1960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3 no.5 = no.77, 2005년, pp.63 - 77  

은난순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titudes toward children and spaces provided for them. by analyzing people's daily lives in housing spaces and architects' floor plans between the 1920s and the 1960s. Different kinds of data were obtained from a va...

주제어

참고문헌 (33)

  1. 김선재(1987). 한국 근대 도시주택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혜경(1997). 일제하 자녀양육과 어린이기의 형성: 1920-30년대 가족담론을 중심으로.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김진균 . 정근식 편저. 문학과학사. 223-275 

  3.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편(2000). 한국전통 어린이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4. 문소정(1990). 1920-30년대 소작농가 자녀들의 생활과 교육. 한국사회사연구회논문집, 20. 문학과지성사. 72-120 

  5. 박명희 외(2003). 한국의 생활문화. 교문사 

  6. 성춘식 . 신경란(1990). 이부자리 피이 놓고 암만 바래도 안 와. 뿌리깊은나무 

  7. 신양재(1994). 삼국사기 . 삼국유사에 나타난 아동기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32(5), 125-134 

  8. 안성호(2001). 일제강점기 주택개량운동에 나타난 문화주택의 의미. 한국주거학회지, 12(4), 185-194 

  9. 유재우(2004). 광복전후 우리나라 단독주택의 변화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10), 59-66 

  10. 이정덕 . 송순(1993). 小學에 나타난 童蒙期 禮節敎育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4), 157-168 

  11. 이천시지편찬위원회(2001). 개인생활과 마을. 이천시지6. 134 

  12. 이규숙 . 김연옥(1984). 이 '계동 마님'이 먹은 여든살. 뿌리깊은나무 

  13. 이진경(2000).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 소명출판 

  14. 장기인(1981). 한국주택과 주거생활(II). 건축사, 142, 21-27 

  15. 천정환(2003). 근대의 책읽기 . 푸른역사 

  16. 최효선(1978). 각 계층별로 본 아파트 아동주거공간에 대한 연구. 숙명여대 석사논문 

  17. 한국역사연구회(2002). 우리는 지난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2. 역사비평사 

  18. 혼다 마스코 지음/구수진 옮김(2002). 20세기는 어린이를 어떻게 보았는가. 한립토이북 

  19. 홍일표(1997). 주체형성의 장의 변화: 가족에서 학교로.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20. 홍형옥(1992). 한국 住居史. 민음사 

  21. 홍형옥(2005). 근대 이후 한국주거의 미시사를 보는 다양한 시각 한국근현대연구팀 2005학술심포지움자료집, 1-25 

  22. 황연숙 . 이연숙(2003). 아동실의 물리적인 환경이 아동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5), 95-104 

  23. 박암종, http://webl.designdb.com 

  24. 매일신보 1915.9.15일자 

  25. 조선일보 1962.4.24일자 

  26. 동아일보 1923.5.25일자 

  27. 여성. '가정생활개선 좌담회' 1939년 2월호. 현대사. 18-23 

  28. 여원. 1956. 8월호, 1961. 6월호 

  29. 신동아. 1936년 6월호 6권6호. 128-131 

  30. 오늘의 신주택. 건축가의 집. 김태식씨댁. 1956.4월호. 15-17 

  31. 제1회 전국주택설계현상당선작품집. 1958.9 보건사회부 

  32. 제2회 전국주택설계현상당선작품집. 1960.3. 보건사회부 

  33. Morris, E.& Winter, M.(1978). Housing, family, and society. N.Y.: John Wiley and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