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초액 및 코코넛액이 석곡(Dendrobium moniliforme)의 유묘 증식과 기내 개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yroligneous Liquor and Coconut Water on Plantlet Multiplication and in Vitro Flowering of Dendrobium moniliform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5 no.5 = no.72, 2005년, pp.739 - 742  

지선옥 (중부대학교 생명공학과) ,  조동훈 (경북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배지에 첨가된 목초액 및 코코넛액이 석곡 유묘의 증식 및 기내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목초액이 석곡 유묘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은 NAA 0.1 mg/L와 kinetin 1.0 mg/L 가 첨가된 $H_{3} P_{4}$ 배지에 목초액 1.0 ml/L를 처리했을 때 유묘의 증식 및 생장이 양호 하였다. 코코넛액은 30 ml/L가 첨가되었을 때 유묘의 증식 및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기내 개화 역시 NAA 0.1 mg/L 와 kinetin 1.0 mg/L 가 첨가된 $H_{3} P_{4}$ 배지에 목초액 1.0 ml/L 또는 코코넛액 30 ml/L가 첨가되었을 때 전체 개체의 $ 20\% $에서 기내개화가 일어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ffect of pyroligneous liquor and coconut water on plantlet multiplication and in vitro flowering of Dendrobium moniliforme. Plantlet growth and multiplication was good in 1.0 ml/L pyroligneous liquor treatment which was added to the basal media of 3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배지에 첨가된 목초액 및 코코넛액이 석곡 유묘의 증식 및 기내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목초액이 석곡 유묘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은 NAA 0.
  • 본 연구는 석곡의 수요에 대응하고, 우량묘의 기내증식 체계 확립을 위하여 기내 종자파종 방법에 의해 획득된 석곡 유묘를 이용하여 배지 내 목초액 및 코코넛액의 첨가가 석곡 유묘의 증식과 기내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ritto, S. John, E. Natarajan and D. I. Arockiasamy. 2003. In vitro flowering and shoot multiplication from nodal explants of Cerapegia bulbasa Roxb. var. bulbosa. Taiwania 48, 106-111 

  2. Carson, Jace A., and David W. M. Leung. 1994. In vitro flowering and propagation of Leptinella nana L., an endangered plant. New zealand J. Bat. 32, 79-83 

  3. Chung, J.D., C.K. Chun, YK Suh, and S.Y. Byun. 1981. Studies on aseptic culture of seeds in Oendrabium manile. J. Kor. Soc. Hart. Sci. 22, 139-145 

  4. Chung, J.D., J.K. Chun and S.O. Choi. 1985. Asymbiotic Germination of Cymbidium ensifolium (2) Effects of several supplements to the medium , pH values and light and / or dark culture periods on growth of rhizome and organogenesis from rhizome. J. Kor. Soc. Hart. Sci. 26, 186-192 

  5. Guillen, M.D. and M.L. Ibargoitia. 1998. New components with potential antioxidant and organoleptic properties, detected for the first time in liquid smoke flavoring preparations. J. Agric Food Chem. 46, 1276-1285 

  6. Ichihashi, S. and K Shunji. 1973. Studies on clonal propagation of CattIeya through tissue culture method (1) Factors affecting survival and growth of shoot meristem of Cattleya in vitro. J. Japan Soc. Hort. Sci. 42, 264-270 

  7. Jang, C.S. and HD. Seok. 2001. Policy directions for the general use of charcoal and wood tar in agriculture and livestock. J. Res. Forest and economy 9, 28-37 

  8. Jee, S.O. 1999. Effect of culture substrate and wood vinegar solution on bulblet increment of Lilium longiflorum. J. Joongbu Univ. 12, 375-382 

  9. Jee, S.O. 2002. Effect of pyroligneous liquor on rhizome growth and shoot formation of Cymbidium ensifolium. J. Natural Sci. Joongbu Univ. 11, 81-85 

  10. Kim, Y.H., S.K. Kim, KS. Kim and Y.H. Lee. 2001. Compounds identification of commercial wood vinegar liquors.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262-268 

  11. Kotomori, S. and T. Murashige. 1965. Some aspects of aspects of aseptic propagation of orchids. Amer. Orch. Soc. Bull. 34, 484-489 

  12. Lee, E.J., and J.S. Lee. 1993. Studies on in vitro cutting of Oendrobium moniliforme native to Korea. Abstract of J. Kor. Soc. Hort. Sci. 11, 314-315 

  13. Lee, H.S., KW. Lee and J.R. Liu. 1994. Measurement of determination time of in - vitro flowering in Ginseng (Panax ginseng). Kor. J. Plant Tissue Culture 21, 347-351 

  14. Lee, K 1980. The wild orchids of Korea. Jungsung publisher. Seoul. Korea. p. 193 

  15. Mun, S.P. and C.S. Ku. 2002.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bamboo and wood crude vinegars by the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method. Mokchae Konghak 30, 80-86 

  16. Robert, M.S. Jr. 1966. Stem propagation of Phalaenopsis. Amer. arch. Soc. Bull. 35, 40-42 

  17. Stephen, R. and N. Jayabalan. 1998. In vitro flowering and seed setting formation of Coriandum sativum L. Curro Sci. 74, 195-197 

  18. Sugiura, G. 1972. In Mokuzai Kokyo Handbook. Forestry and Forest Res. lnst. Maruzen, Tokyo. p. 930 

  19. Thiruvengadam, M. and N. Jayabalan. 2001. In vitro flowering of Vitex negundo J. - a medicinal plant. Plant Cell Biotech and Mol. BioI. 2, 67-70 

  20. Toth, J. and K. Potthast. 1984. Chemical aspects of the smoking of meat and meat products. Adv. Food Res. 29, 87-158 

  21. Virupakshi, S., B. R. Manjunatha, and G. R. Naik. 2002. In vitro flower induction in callus from a juvenile explant of sugarcane, Saccharum officinarum L., Var. CoC 671 Current Science 83, 1195-1197 

  22. Yatagi, M., G. Unrinin and G. Sugiura. 1986. By-products of wood carbonization. Tar from mangrove, sugi ogalite, wheat straw and chishima-sasa. Mokuzai Gakkaishi 32, 467-471 

  23. Yoo, Y.K. and S.W. Kang. 2003. Effects of wood charcoal and pyroligneous acid on the growth and formation of bulblet in lily. Kor. L. Hart. Sci. Technol. 21, 80-81 

  24. Zhang, Zemin, and David W.M. Leung. 2000. A comparison of in vitro with in vivo flowering in Gentian.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63, 223-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