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멸종위기 수종 석곡(Dendrobium moniliforme)의 Protocorm-like Body 형성 및 기내증식
In vitro Propagation and Protocorm-like Body Formation of Endangered Species, Dendrobium moniliforme 원문보기

Journal of forest science, v.30 no.1, 2014년, pp.126 - 132  

배기화 ((재)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  김남영 (국립수목원) ,  송재모 (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 ,  송관필 ((주)제주환경자원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in vitro propagation of Dendrobium moniliforme through protocorm like body (PLB) induction from the culture of leaf, stem and root explants. Frequency of PLB formation from root explants was higher than those of leaf and stem explants. PLB's prolifer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 지정 법적 보호종(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이지만 생물자원의 활용적인 측면에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석곡의 기내 식물체 생산에 미치는 배양부위(shoot, root 부위)와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여 효과적인 재분화 체계를 확립하고 지속가능한 생태계의 보전 및 서식지 외 복원 시 원종공급 등의 기초자료 및 소재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멸종위기 자생난초인 석곡 PLB의 유도 및 증식을 통한 기내 유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석곡의 배양부위(잎, 근경, 뿌리)에 따라 고빈도의 PLB를 유도하기 위해 NAA와 IBA의 농도조건을 달리하여 배지를 제조한 후 각각의 절편을 배양한 결과,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조직배양법이란? 또한, 석곡은 꽃이 아름답고 관상가치가 높아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야생에서의 채취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생물자원으로서 활용, 원료식물의 원활한 공급 및 법적보호종의 개체수 보존 등 모든 측면을 만족시킬 대안으로 식물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한 대량생산 기법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식물조직배양법은 대량 번식 방법으로 많이 활용 되어지는 방법으로 보호종이나 멸종위기종의 대량증식에 이용되고 있다. 그 예로 새우난초(Chung et al.
석곡이란? 석곡(Dendrobium moniliforme)은 바위나 나무줄기에 붙어서 자라는 착생란(Epiphytic orchid)으로 중국, 일본, 한국 등에 자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남부해안 지방에서 주로 생육하는 것으로 있다.
석곡은 한의약에서 어떻게 활용되어지는가? 꽃은 5-6월 경 개화하고 꽃의 색깔은 백색 또는 담홍색이다. 예로부터 한의약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모든 부위가 건위, 강장제 등의 약제로도 사용되어 왔다(Lee 1980). 현대 의학적 측면에서 석곡에 대한 연구는 항산화 효과(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rditti J, Ernst R. 1993. Micropropagation of orchid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USA, pp 373-375. 

  2. Bae KH, Choi YE. 2013. Factors affecting fruit baring in natural habitat and in vitro culture of zygotic embryos of Cypripedium japonicum. Prog Ornament Plant 11: 146-152. 

  3. Bae KH, Kim CH, Sun BY, Choi YE. 2010. Structural changes of seed coats and stimulation of in vitro germination of fully mature seeds of Cypripedium macranthos Swartz (orchidaceae) by NaOCl pretreatment. Prog Ornament Plant 10: 107-113 

  4. Bae KH, Kwon HK, Choi YE. 2009. In vitro germination and plantlet conversion from the culture of fully mature seeds of Cypripedium guttatum Swartz. Prog Ornament Plant 9: 160-165. 

  5. Bae KH, Yoon ES, Yong YP, Choi YE. 2010. Soil acclimatization of Calanthe discolor through multiple shoot formation from tissue culture. Korean J Plant Res 23: 7-13. 

  6. Chen YC, Chang C, Chang W. 2000. A reliable protocol for plant regeneration from callus culture of Phalaenopsis. In Vitro Cell Dev Biol Plant 36: 420-423. 

  7. Chung JD, Chun CK, Suh YK, Byun SY. 1981. Studies on aseptic culture of seeds in Dendrobium monile. J Korean Soc Hort Sci 22: 139-145. 

  8. Chung MY, Chung JD, Jee SO. 1998. Effect of culture media on asymbiotic seed germination and those seedling growth of Calanthe discolor and Habenaria radiata. Korean J Plant Biotechnol 25: 189-194. 

  9. Chung JD, Lee JH, Jee SO, Kim CK. 2004.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on multiple shooting and subsequent growth of mericlone from rhizome of shoot tip cultures of temperate Cymbidium species. J Kor Soc Hort Sci 39: 343-349. 

  10. Goh CJ, Wong PF. 1980. Micropropagation of the monopodial orchid hybrid Aranda 'Deborah' using inflorescence explants. Sci Hort 44: 315-321. 

  11. Hussey G. 1976. In vitro release of axillary shoots from apical dominance in monocotyledonous plantlets. Ann Bot 40: 1323-1325. 

  12. Song WS, Kim HS. 1997.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medium salt strength on in vitro propagation of Belamcanda chinensis DC. Korean J Plant Res 10: 114-121. 

  13. Kim MS Kim JY. 2003. Micropropagation of Dendrobium hybrids through shoot tip culture. Acta Hort (ISHS) 624: 527-533. 

  14. Kim YG, Yang GH, Cho SI. 2005. Anti-oxidative Effects of Dendrobii Herba on toxic agent induced kidney cell injury. Kor J Herbology 20: 53-60. 

  15. Koh JC. 2005. Callus culture and plant Regeneration from shoot apex of Iris Sanguinea Donn ex. Horn. J Plant Biotechnol 31: 19-23. 

  16. Lee EJ, Lee JS. 1993. Studies on in vitro cutting of Dendrobium moniliform native to Korea. J Kor Soc Hort Sci 11: 314-315. 

  17. Lee K. 1980. The wild orchids of Korea. Jungsung publisher, Seoul, Korea, pp 193. 

  18. Madubanya LA, Makunga NP, Fennell CW. 2006. Dierama luteoalbidum: Liquid culture provides an efficient system for the ex situ conservation of an endangered and horticulturally valuable plant. S Afr J Bot 72: 584-588. 

  19. Malabadi RB, Mulgund GS, Nataraja K. 2004. Efficient regeneration of Vanda coerulea, an endangered orchid using thidiazuron. Plant Cell Tiss Org Cult 76: 289-293. 

  20. Meyer HJ, van Staden J. 1998. In vitro multiplication of Ixia fkexuosa. Hort Sci 23: 1070-1071. 

  21. Ministry of Environment (MEV). 2005. Enforcement decrees drafted for the Wildlife Protection Act. Gwacheon, Korea, pp 83. 

  22. Ministry of Environment (MEV). 2012. Enforcement decrees drafted for the Wildlife Protection Act. Gwacheon, Korea, pp 66. 

  23. Moon HK, Kim SJ, Park SY, Kim YW, Yi JS. 2009.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micropropagation of a rare and endangered species, Tsuru-rindo (Tripterospermum japonicum). J Plant Biotechnol 36: 13-17. 

  24. Murashige T, Skoog F.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 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 15: 473-497. 

  25. Nayak NR, Sahoo S, Patnaik S, Rath SP. 2002. Establishment of thin cross section (TCS) culture method for rapid micropropagation of Cymbidium aloifolium (L.) Sw. and Dendrobium nobile Lindl. (Orchidaceae). Sci Hort 94: 107-116. 

  26. Park SY, Murthy HN, Paek KY. 2003. Protocorm-like body induction and subsequent plant regeneration from root tip cultures of Doritaenopsis. Plant Sci 164: 919-923. 

  27. Park SY, Yeung EC, Chakrabarty D, Paek KY. 2002. An efficient direct induction of protocorm-like bodies from leaf subepidermal cells of Doritaenopsis hybrid using thin-section culture. Plant Cell Rep 21: 46-51. 

  28. Raup DM. 1986. Biological extinction in earth history. Science 231: 1528-1533. 

  29. Rotor Jr G. 1950. A method of vegetative propagation of Phalaenopsis species and hybrids. Amer Orchid Soc Bull 18: 738-739. 

  30. Roy J, Naha S, Majumdar M, Banerjee N. 2007. Direct and callus-mediated protocorm-like body induction from shoot-tips of Dendrobium chrysotoxum Lindl. (Orchidaceae). Plant Cell Tiss Org Cult 90: 31-39. 

  31. Ryu JH, Doo HS, Kwon TK. 1992. Induction of haploid plants by anther culture in sesame (Sesaum indicum L.). Kor J Plant Biotech 19: 171-177. 

  32. Schemske DW, Husband BC, Ruckelshaus MH, Goodwillie C, Parker IM, Bishop JG. 1994. Evaluating approaches to the conserv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Ecology 75: 584-606. 

  33. Shibli RA, Ajlouni MM. 2000. Somatic embryogenesis in the endemic Black Iris. Plant Cell Tiss Org Cult 61: 15-21. 

  34. Tanaka M. 1992. Micropropagation of Phalaenopsis spp. Biotechnology in agriculture and forestry. In: High-tech and micropropagation IV (Bajaj YPS ed). Springer, Berlin. 

  35. Wolfe SC. 1987. World watch paper 78, on the brink of extinction: conserving the diversity of life. Worldwatch Institute, Washington DC, pp 53. 

  36. Yoon MY, Kim JY, Hwang JH, Cha MR, Lee MR, Jo KJ, Park HR. 2007. Protective effect of Methanolic extracts from Dendrobium nobile Lindl. on $H_2O_2$ -induced neurotoxicity in PC12 cell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63-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