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솔잎, 홍차 및 녹차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e Effects of Mixture Contained Pine needle, Black Tea and Green Tea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48 no.4, 2005년, pp.375 - 381  

전정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비만-당뇨병 선도연구센터) ,  김종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비만-당뇨병 선도연구센터) ,  이경미 (엘지바이오 연구소) ,  조덕형 (엘지바이오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흰쥐와 과체중인에서 솔잎, 홍차 및 녹차 추출물의 항-비만효과와 관련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흰쥐는 무작위로 솔잎, 홍차, 녹차 및 추출물 혼합물 군으로 분류되었다. 대조군은 흰쥐 chow 식이로 사육되었으며 추출물군은 각각 0.5, 1, 2, 4 및 8% 추출물을 흰쥐 chow 식이에 첨가하여 5주간 사육하였다. 추출물 혼합물은 솔잎 :홍차 :녹차를 2 : 1 : 1의 비율로 만들어 흰쥐 chow 식이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솔잎과 혼합물 추출물 1, 2, 4 및 8%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체중과 내장지방을 감소시켰다. 홍차와 녹차추출물 1, 2, 4%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체중과 내장지방을 감소시켰다. 추출물 혼합군이 다른 군에 비해서 체중과 내장지방 감소효과가 컸다. 5주간의 식이동안 총 식이 섭취량은 녹차 및 홍차 8% 첨가군을 제외하고는 그룹간 차이가 없었다. 5주간의 식이에서 총 변량은 솔잎, 녹차 및 추출물 혼합 1, 2, 4% 첨가군에서 대조군보다 많았다. 과체중인에서는 추출물 혼합물이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과 체지방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솔잎, 홍차 및 녹차의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한 시험관실험에서 솔잎은 췌장의 lipase${\alpha}-amylase$ 활성도를 억제하지 않았다. 반면에 홍차와 녹차는 농도 의존적으로 췌장의 lipase 및 ${\alpha}-amylase$ 활성도를 억제하였다. ${\alpha}-amylase$의 억제효과는 홍차가 녹차보다 컸으나 lipase의 활성 억제는 반대였다. 결론적으로 흰쥐에서 솔잎, 홍차 및 녹차의 항-비만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추출물 혼합물의 항-비만 효과가 같은 조건에서는 가장 컸다. 과체중인에서 추출물 혼합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 및 체지방 감소효과를 보였다. 홍차와 녹차의 항-비만효과는 부분적으로는 위장관에서 췌장 lipase와 ${\alpha}-amylase$의 활성 억제에 의한 탄수화물과 지방의 소화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anti-obese effects of pine needle, black tea and green tea in rats and overweight people. Supplementation of 1, 2, 4 and 8% amount to the control diet of pine needle extract and mixture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 gain and visceral fat mas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7) 으로 하였다. 각군은 솔잎, 홍차, 녹차의 유효성분이 2 :1:1의 비율로 300 mg이 들어있는 혼힙물"타 성분 캡슐 또는 솔잎, 홍차, 녹차를 제외한 기타성분 함유 캡슐을 하루 3번 식사 전에 5캡슐씩 복용하였다.
  • 항 비만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솔잎, 홍차 및 녹차의 항비만 효과의 기전을 관찰하기 위하여 췌장의 a-amylase 와 lipase 활성 저해도를 측정하였으며, 실험동물에서 입증된 항비만 효과를 중년의 과체중인에서 임상시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 복부 지방 감소 효과. 복부지방은 실험동물을 복대동맥을 이용하여 실혈사시킨 다음 부고환 지방과 후복부 지방을 제거하여 측정하였다. Fig.
  • 추출물의 제조. 솔잎, 녹차 및 홍차 잎 각각 1 kg을 증류수 20/를 가하여 120분 동안 8(TC로 가열하여 2회 연속 추출한 후, 잎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증발 건조시켜, 각각의 농축액 약 200 g을 얻었다.
  • 분변량의 측정. 식이섭취량과 분변 양은 매주 월, 수, 금요일 3회 측정하였다.
  • 실험은 이유가 갓 지난 흰쥐를 무작위로 대조군, 솔잎추출군, 홍차추출군, 녹차추출군 및 솔잎홍차-녹차(이하 솔홍녹) 추출물 혼합군으로 구분하였다. 실험군은 다시 추출물의 첨가 양에 따라서 0.5, 1, 2, 4, 8% 군으로 세분하였다. 각 군의 실험 개체 수는 각각 10마리였다.
  • 동물 실험. 실험은 이유가 갓 지난 흰쥐를 무작위로 대조군, 솔잎추출군, 홍차추출군, 녹차추출군 및 솔잎홍차-녹차(이하 솔홍녹) 추출물 혼합군으로 구분하였다. 실험군은 다시 추출물의 첨가 양에 따라서 0.
  • 군의 실험 개체 수는 각각 10마리였다. 예비실험 결과 이론적으로 최대 항비만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 솔잎, 홍차, 녹차 추출물의 성분 조성비에 따른 추출물 혼합군은 1, 2, 4, 8% 군으로 하여 단일 성분 추출물의 군과 비교하였다.
  • 이와 같은 이론적인 근거를 토대로 각 성분이 통계적으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낸 1, 2, 4, 8중량% 에 해당하는 혼합물 중 혼합물의 최소단위인 3%(솔잎 1중량% + 녹차 1중량% + 홍차 1 중량%) 이상인 4, 8%에서 솔잎, 녹차 및 홍차의 혼합비율이 2:1: 1이었으므로 혼합물 조성을 이와 같이 하여 단독 투여 군과 비교하기 위하여 혼합물 식이 함량을 1, 2, 4, 8%가 되도록 하였다.
  • 체중 및 복부지방량의 측정. 체중은 실험전일 16시간 전부터 물을 제외한 사료를 제거한 후 실험당일 pentothal sodium(40 ㎎/㎏) 으로 마취한 후 측정하였으며 복부지방량은 복부를 절개하여 부고환주위의 지방(epididymal fat)과 후복부의 지방 (retroperitoneal fat) 을 모두 절제하여 무게를 즉정하였다.
  • 체중 및 복부지방량의 측정. 체중은 실험전일 16시간 전부터 물을 제외한 사료를 제거한 후 실험당일 pentothal sodium(40 ㎎/㎏) 으로 마취한 후 측정하였으며 복부지방량은 복부를 절개하여 부고환주위의 지방(epididymal fat)과 후복부의 지방 (retroperitoneal fat) 을 모두 절제하여 무게를 즉정하였다.
  • 임상시험. 추출 혼합물 투여군은 무작위로 14명(체중: 63.7 ± 2.3>을 고른 후 나머지 10명은 플라시보대조군(체중: 63.4 土 1.7) 으로 하였다. 각군은 솔잎, 홍차, 녹차의 유효성분이 2 :1:1의 비율로 300 mg이 들어있는 혼힙물"타 성분 캡슐 또는 솔잎, 홍차, 녹차를 제외한 기타성분 함유 캡슐을 하루 3번 식사 전에 5캡슐씩 복용하였다.
  • 식이의 제조 및 사육. 한국인의 식이습성과 비슷한 상대적 인고 탄수화물 사료(rat chow, 칼로리 기준으로 탄수화물: 59%, 단백질: 29%, 지방: 12% 함유)에 대한 무게비 0.5, 1, 2, 4, 8% 농도로 혼합한 식이로 청정 사육실에서 5주간 사육하였다.

대상 데이터

  • 5, 1, 2, 4, 8% 군으로 세분하였다. 군의 실험 개체 수는 각각 10마리였다. 예비실험 결과 이론적으로 최대 항비만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 솔잎, 홍차, 녹차 추출물의 성분 조성비에 따른 추출물 혼합군은 1, 2, 4, 8% 군으로 하여 단일 성분 추출물의 군과 비교하였다.
  • 췌장 a-amylase 억제 효과. 본 실험에 사용한 a-amylase 효소는 사람의 타액에서 정제한 것으로 시그마화학회사(Sigma Chemical Co.,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탄수화물기질로서는 순수한 전분(Sigma Chemical Co., USA)을 사용히였다. 각 군의 열수 추출물을 10-200mg/ml이 되게 희석 하여 40 μl씩을 aamylase와 기질을 함유한 효소 반응액 1.
  • 췌장 lipase의 횔성도는 중성지방에서 췌장 lipase에 의하여 유리지방산이 생성되는 정도를 Yamamoto 등2。)의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췌장 lipase 효소는 일차적으로 돼지의 췌장에서 정제한 것(Sigma Chemical Co., USA)으로 각 샘플 당 5회 결과를 반복 도출한 다음 사람 췌장의 것 (Sigma Chemical Co., USA)으로 단회 확인하였다 지방 기질로서는 triolein을 사용하였다. 측정은 한 샘플당 3회 반복 정량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 힝.비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령 35-54(42.6 ±1.1 세)세의 체질량지수(kg/m?) 23 이상의 괴체중(63.6 ±1.5 kg) 성인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Table 2).
  • 동물 실험

    실험동물 체중 50 g 내외의 수컷 Sprague-Dawley 쥐(각 군당 10마리씩)를 사용하였다.

  • 차는 동서양에 걸쳐서 오랫동안 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 관하여 관심과 연구의 대상이었다. 이 중 녹차에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여러 종류의 폴리페놀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효과뿐만 아니라 비만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에 관한 비교적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데이터처리

  • 성적은 평균土표준오차로 표기하였으며 3군 이상의 각 군간 차이의 유의성을 알기 위한 통계학적 방법은 ANOVA를 시행하였다. 임상실험에서 각 군간의 비교는 non-paired Studenfs ttest를 같은 군간의 비교는 paired 법으로 시행하였다 유의성 수준은 p<0.
  • , USA)으로 단회 확인하였다 지방 기질로서는 triolein을 사용하였다. 측정은 한 샘플당 3회 반복 정량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 USA)을 사용히였다. 군의 열수 추출물을 10-200mg/ml이 되게 희석 하여 40 μl씩을 aamylase와 기질을 함유한 효소 반응액 1.96 m7에 넣어 총량이 2 m/이 되게 한 후 a-atnylase의 저해정도를, Bemfeldt(19)법으로 3회 정량하였다.
  • 임상실험에서 각 군간의 비교는 non-paired Studenfs ttest를 같은 군간의 비교는 paired 법으로 시행하였다 유의성 수준은 p<0.05 이하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ua, S. and Leibel, R. L. (1997) Obesity genes: molecular and metabolic mechanisms. Diabetes Rev. 5, 2-7 

  2. Kelley, D. E. and Mandarino, L. J. (2000) Fuel selection in human skeletal muscle in insulin resistance: a reexamination. Diabetes 49, 677-683 

  3. Kelley, D. E., Thaete, F. L., Troost, F., Huwe, T. and Goodpaster, B. H. (2000) Subdivisions of subcutaneous abdominal adipose tissue and insulin resistance.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78, 941-948 

  4. Kim, J. Y., Nolte, L. A., Hansen, P. A., Han, D. H., Kawanaka, K. and Holloszy, J. O. (1999) Insulin resistance of muscle glucose transport in male and female rats fed a high-sucrose diet. Am. J. Physiol. 276, 665-672 

  5. Kim, J. Y., Nolte, L. A., Hansen, P. A., Han, D. H., Ferguson, K. and Holloszy, J. O.(2000) High tat diet induced muscle insulin resistance: Relationship to visceral fat mass. Am. J. Physiol. 279, 2057-2063 

  6. Storlien, L. H., Baur, L. A., Kriketos, A. D., Pan, D. A., Cooney, G. J., Jenkins, A. B., Calvert, G.D. and Campbell L.Y.(1996) Dietary fats and insulin action. Diabetologia 39, 621-631 

  7. Pan, D. A., Lillioja, S., Kriketos, A. D., Milner, M. R., Baur, L. A., Bogardus C., Jenkins, A. B. and Storlien, L. H. (1997) Skeletal muscle triglyceride levels are inversely related to insulin action. Diabetes 46, 983-988 

  8. Raz, I., Eldor, R., Cemea, S. and Shafrir, E. (2005) Diabetes: insulin resistance and derangements in lipid metabolism. Cure through intervention in fat transport and storage. Diabetes Metab. Res. Rev. 21, 3-14 

  9. Lee, C. H., Choi, B. K., Lee, W. C., Park, C.I., Yuziro F. and Kimura, S. (1992) Effect of dietary protein levels, caffeine and green tea on body fat deposition in Wistar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1, 595-600 

  10. Jeon J. R. and Park, G. S. (1999) Korean green tea by Ku Jeung Ku Po's 1. Analysis of general compositions and chemical compositions. Korean J. Soc. Food Sci. 15, 95-101 

  11. Sin, M. K., and Jung, W. H. (2000) The effect on rats serum lipid of treadmill exercise and green tea extracts intake with high tat diet. J. Korean Soc. Food Nutr. 29, 683-690 

  12. Dullo, A. G., Duret, C., Rohrer, D., et al.(1999) Efficacy of a green tea extract rich in catechin polyphenols and caffeine in increasing 24-h energy expenditure and fat oxidation in humans. Am. J. Clin. Nutr. 70, 1040-1045 

  13. Dullo, A. G., Seydoux, J., Girardier, L., Chantre, P. and Vandermander, J. (2000) Green tea and thermogenesis: interactions between catechin-polyphenols, caffeine and sympathetic activit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4, 252-258 

  14. Kao, Y. H., Hiipakka, R. A. and Liao, S. (2000) Modulation of obesity by a green tea catechin. Am. J. Clin. Nutr. 72, 1232-1234, 2000 

  15. Sayama, K., Lin, S., Zheng, G. and Oguni, I. (2000) Effects of green tea on growth, food utilization and lipid metabolism in mice. In Vivo 14, 481-484 

  16. Chantre, P. and Lairon, D. (2002) Recent findings of green tea extract AR25 (Exolise) and its activity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Phytomedicine 9, 3-8 

  17. Kim, E. S. and Kim, M. K. (1999) Effect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green tea and pine needl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Korean J. Nutrition 32, 337-352 

  18. Lee, E. (2003) Effects of powdered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eib et Zucc.) on serum and liver lip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fed high oxidized fat. J. Korean Soc. Food Nutr. 32, 926-930 

  19. Bernfeldt, P. (1955) Amylase, $\alpha$ and $\beta$ , Methods in Enzymology 1, 149-150 

  20. Yamamoto, M., Shimura, S., Itoh, Y., Ohsaka, T., Egawa, M. and Inoue, S. (2000) Anti-obesity effects of lipase inhibitor CT-II, an extract from edible herbs, Nomame Herba, on rats fed a high-tat diet.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4, 758-764 

  21. Kim, S. M. and Cho, Y. S. (1999)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on Fe ion and active oxygen related lipid oxidation in oil emulsion. Korean J-Harvest Sci Technol. Agri. Products 6, 115-120 

  22. Bates, S. H., Jones, R. B. and Bailey, C. J. (2000) Insuln-like effect of pinitol. Br. J. Pharmacol. 130, 1944-1948 

  23. Davis, A., Christiansen, M., Horowitz, J. E, Klein, S., Hellerstein, M. K. and Ostlund, R. E. Jr.(2000) Effect of pinitol treatment on insulin action in subjects with insulin resistance. Diabetes Care 23, 1000-1005 

  24. Gupta, S., Saha, A. and Girl, A. K. (2002) Comparative antimutagenic and anticlastogenic effects of green tea and black tea: A review. Mutation Research 512, 37-65 

  25. Lee, Y. J., An, M. S. and Hong K. H. (1998) A sudy on the content of general compounds, amino acid, vitamins, catechins, alkaloids in green, Oolong and black tea. J. Fd. Hyg. Safety 13, 377-382 

  26. Jang, E. C. (2003) Effects of black tea on body weight gain and visceral tat mass in rats. Korean J. Physical Edu. 41, 507-514 

  27. Balentine, D. A., Ho, C. T., Lee, C. Y. and Huang, M. T. (1991)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 on health analysis, occurrence and chemistry.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pp. 102-116 

  28. Yang, M. H., Wang, C. H. and Chen, H. L., (2001) Green, oolong and black tea extracts modulate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a rats fed high-sucrose diet. J. Nutr. Biochem. 12, 14-20 

  29. Horton, T. J. and Geissler, C. A. (1996) Post-prandial thermogenesis with ephedrine, caffeine and aspirin in lean, predisposed obese and obese wom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 91-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