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페놀화합물 함량 비교
Phenolic Compounds in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0 spec.1, 2005년, pp.175 - 180  

박병재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부) ,  권순미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부) ,  박종인 (한국농업전문학교 특용작물과) ,  장광진 (한국농업전문학교 특용작물과) ,  박철호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페놀성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고 분석, 평가한으로써 생리활성 연구의 기초 자료와 건강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에도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1. 총 페놀의 함량은 타타리메밀 종자가 단메밀 종자보다 약 2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중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단메밀이 약 $50\%$, 타타리메밀이 약 $95\%$를 차지하고 있다.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메밀쌀이 메밀껍질보다 높았으나, 단메밀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메밀껍질 더 높았다. 3. 단메밀의 rutin함량은 메밀껍질(25.2 mg/100g)>껍질을 벗기지 않은 종자(19.8 mg/100 g)>메밀쌀(12.8 mg/100 g)의 순으로 높았으나, 타타리메밀은 메밀쌀(2042.1mg/100g)>껍질을 벗기지 않은 종자(1375.8 mg/100g)>메밀껍질(138.7 mg/100 g)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물체 부위별 rutin의 함량은 단메밀이 메밀싹>잎>줄기>종자의 순이고, 타타리메밀은 잎enli메밀싹>종자>줄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부위에서 타타리메밀이 단메밀보다 높은 rutin함량을 나타냈다. 4. 단메밀과 타타리메밀 종자의 flavanols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잎, 줄기, 싹나물부위의 함량은 타타리메밀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두 종의 flavonols의 함량도 단메밀보다 타타리메밀에서 월등히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식물체 부위별 flavanols의 함량은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메밀싹>잎>줄기>종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든 부위에서 catechin> Epicatechin> Epicatechingallate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메밀싹은 두 종 모두 Epicatechingallate의 함량이 종자의 약 $30\~40$배, 잎, 줄기보다 약 $15\~20$배가량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otal contents of phenol and flavonoid in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new kind of functional food with buckwheat materials. Total content of phenol and flavonoid in seeds of tartary buckwheat were higher than that of common buck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페놀성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고 분석, 평가함으로써 생리활성 연구의 기초 자료와 건강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에도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여러 가지의 생리적 기능을 가지는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페놀성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고 분석, 평가함으로써 생리활성 연구의 기초자료와 건강기능성 식품소재 개발 에도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eristel, Q. D., B. Gressier, J. Vasseur, T. Dine, C. Brunet, M. Luyckx,M. Cazin, J. C. Cazin, F. Bailleul, and F. Trotin. 2000. Phenolic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buckwheat(Fagopyrum esculentum Moench) hulls and flour. JournalofEthnophannacology. 72 : 35-42. 

  2. Choi, B. H. 1992. Status of buckwheat genetic resources in East Asia1991.Korean J. Breed. 24(3) : 293-301. 

  3. Dukee, A. B. 1977. Polyphenols ofthe bran-aleurone fraction ofbuckwheatweed(Fagopyrum sagitatum Gilib). J. Agric. Food. Chern.25 : 286-287. 

  4. Griffith, J. Q., J. F. Couch, M. A. Lindauer. 1995. Effect of rutin onincreased capillary fragility in man. Proc. Soc. Exp. Bio. Med.55 : 228-229. 

  5. He, J., M. J. Klag, P. K. Whelton, J. P. Mo, J. Y. Chen, M. C. Qian, P.S. Mo, and G Q. He. 1995. Oats and buckwheat intakes and cardiovasculardisease risk factors in an ethnic minority of China.Am. J. Clin. Nutr. 61 : 366-372. 

  6. Holasova, M., V. Fiedlerava, H. Smrcinova, M. Orsak, J. Lachman, S.Vavreinova. 2002. Buckwheat- the source ofantioxidant activity infunctional foods. Food. Research Int. 35 : 207-211. 

  7. Kim, J. K. and S. K. Kim. 2005. Compositions and pasting propertiesofFagopyrum esculentum and Fagopyrum tartaricum endospermflour. KoreanJ. Food. Sci. Technol. 3792) : 149-153. 

  8. Kim, J. S., Y. J. Park, M. H. Yang, and J. W. Shim. 1994. Variation ofrutin content in seed and plant ofbuckwheat germplasma (FagopyrumesculentumMoench). Koeran J. Breed. 26(4) : 384-388. 

  9. Kim, S. L., S. K. Kim, and C. H. Park. 2004. Introduction and nutritionalevaluation of buckwheat sprouts as a new vegetable. FoodResearch international. 37: 319-327. 

  10. Kreft, I.,K. J. Chang, Y.S. Choi, and C. H. Park. 2003. Ethnobotany ofbuckwheat. Jinsol Publishing Co. Seoul. 

  11. Lee, J. S., S. S. Song, Y. S. Maeng, Y. K. Chang, and J. S. Ju, 1994.Effects of buckwheat on organ weight, glucose and lipid metabolism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27 : 819-827. 

  12. Lee, J. S., S. J. Park, K. S. Sung, C. K. Han, M. H. Lee, C. W. Jung,and T. B. Kwon. 2000. Effects ofgerminated-buckwheat on bloodpressure, plasma glucose and lipid levels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 206-211. 

  13. Lee, M. S., and K. H. Sohn. 1994. Content comparison on dietary fiberand rutin of korean buckwheat according to growing district andclassification. Korean J. Soc. Food Sci. 10(3) : 249-253. 

  14. Maeng, Y. S., H. K. Park, and T. B. Kwon. 1990. Analysis of rut~contents in buckwheat and buckwheat foods. Korean J. Food SCI.Technol. 22(7) : 732-739. 

  15. Sato, H., S. Sakamura. 1975.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flavonoids in immature buckwheat seedeR esculentum Moench)(in Japanese). Agric. Chern. Soc. Jpn. 49 : 53-55. 

  16. Matsubara, Y.,H. Kumamoto, Y. Lizuka, T. Murakami, K. Okamoto,H. Miyake, and K. Yokoi. 1995. Structure and Hypotensive effectof flavonoid glycosides in Citrus unshiu peelings. Agric. BioI.Chern. 49 : 900-9005. 

  17. Moumou, Y.,J. Vasseur, F. Trotin, and J. Dubios. 1992. Catechin productionby cultures of Fagopyrum esculentum. Phytochemistry.31(4) : 1239-1241. 

  18. Oomah, B. D., and G Mazza. 1996. Flavonoids and antioxidativeactivities in buckwheat. J. Agri. Food Chern. 44 : 1746-1750. 

  19. Park. B. J., J. I. Park, K. J. Chang, and C. H. Park. 2005. Comparisonin rutin content of tartary buckwheat(Fagopyrum tataricum).Korean J. Plant. Res. 18(2) : 246-250. 

  20. Trotin, F., Y.Moumou, and J. Vasseur. 1993. Flavanol production byFagopyrum esculentum hairy and normal root cultures. Phytochemistry.32 : 929-931. 

  21. Watanabe, M. 1998. Catechins as antioxidants from buckwheat(Fagopyrum esculentum Moench) groats. J. Agri. Food Chern.46 : 839-845. 

  22. Wojcicki, J., B. Barcew-Wiszniewska, L. Samochowiec, .L.. Ro~ewicka.1995. Extractum fagopyri reduces atherosclerosis III highfat diet fed rabbits. Die Phannazie 50 : 560-562. 

  23. Yokozawa, K., D. Y. Rhyu, and D. W. Kim. 2001. A study of buckwheatin a renal ischemia reperfusion model. The proceeding ofthe 8th ISB: 583-5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