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유가 흰쥐의 급성위염 및 소화성 궤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thylacetate Fraction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on Experimentally-induced Acute Gastritis and Peptic Ulcers in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10, 2005년, pp.1545 - 1552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현숙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정화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창주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명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 흰쥐에 실험적으로 급성위염,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을 유발하고 지유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을 투여하여 항위염 및 항궤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지유 에탄올 추출물을 n-헥산, 클로르포룸,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타놀과 물로 계통분획하여 농축하고 in vitro에서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이 가장 우수하였다. 지유 에틸아세테이트분획 (SOL & SOH)의 HCI-EtOH급성위염에 대한 억제율은 각각 $27.7\%$, $31.7\%$로 대조약물로 사용된 cimetidine(CMT, $47.2\%$)의 억제효과에는 미치지 못했으나 CON에 비해 우수하였다. Indomethacin유발 위궤양에서, SOL & SOH의 위궤양억제율은 각각 $48.28\%$, $51.08\%$로 대조약물로 사용된 CMT($58.26\%$)의 억제효과에는 미치지 못했으나 CON에 비하며 유의 성있는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Shay 위궤양에서, 지유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을 십이지장에서 위내로 투여하였을 때 궤양 억제율은 SOL이 $42.86\%$로 CON에 비하여 억제되었으나 유의성 있는 효과는 아니었으며, 용량을 증량하여 투여한 SOH는 $47.71\%$로 대조약물인 omeprazol(OMP)의 저해효과($62.00\%$)에 미치지는 못했으나 CON에 비해 유의적민 효과를 나타내었다. 위액량 및 총위산분비량에서, 지유 에틸아세데이트분획 투여로 CON에 비하여 $32.11\%$$47.69\%$, $24.28\%$$34.69\%$의 감소로 유의성 있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OMP($55.69\%$, $41.62\%$)에 근접하게 감소되었다. pepsin 활성은 지유 에틸아세테이트분획 투여로 CON에 비해 각각 $19.55\%$, $\%21.45$가 저하되었으나 유의성있는 변화는 아니었다. 수침 $\cdot$ 구속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궤양의 경우, SOL는 궤양억제율이 $9.23\%$ 로 CON와 유사하게 출혈을 동반한 깊은 궤양이 관찰되었으나 용량을 증량하여 투여한 SOH는 $48.45\%$로 CON에 비해 궤양의 깊이도 얕아졌고 출혈을 동반한 궤양도 감소되어 유의적인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Cysteamine 유발 십이지장궤양에서, CMT는 유발된 십이지장 궤양을 CON에 비해 $54\%$ 정도 억제하여 우수한 항궤양효과를 나타냈고 시료투여군인 SOL 및 SOH는 CMT보다 우수하지는 않았으나 약 $35\∼42\%$ 정도의 궤양억제율을 나타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지유의 항위염 및 항궤양효과는 항산화물질에 의한 결과로 판단되어지며, 앞으로 위염 및 위궤양 개선을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nguisorba officinalis L.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remedy for arthritis, neuralgia, diarrhea, vomiting, gastric ulcer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ethylacetate fraction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ethanol extract (SOE)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민가에서 전래되어오는 약용 및 식용식물들은 아직까지 뚜렷한 생리학적 및 독성학적 평가가 이루어지지 는 않았지 만 오랜 기간 동안 효능과 부작용 측면에서 검증이 축적되어 왔으므로 동물실험 등 임상실험을 통하여 그 효과를 평가함은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의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있어서 매우 의의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Ruitro에서 항산화력이 우수한 지유 에칠아 세테이트분획의 항위염 및 항궤양작용을 흰쥐에서 실험적 으로 다양하게 유발된 급성위 염 및 궤양모델에서 기존의 치 료제 와 비 교하고 위 액의 pH, 위 액 분비 량 및 총위 산분비 량에 미치는 영향 등 일부 기전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실험에서 흰쥐에 실험적으로 급성위염, 위궤양및십이 지장궤양을 유발하고 지 유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을 투여하여 항위염 및 항궤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지유 에탄올 추출물을 n-헥산, 클로르 포룸,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타놀과 물로 계통분획하여 농 축하고 in I说ro에서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 트분획이 가장 우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Ruth R. 1998. Pharmacology. New York Little Brown Co., New York. p 441-448 

  2. Halter F. 1995. Pathology of peptic ulcer disease. In Sucral: fate. Hollander D, Tygat GNJ, eds. Plenum Medical Co., New York. p 1-13 

  3. Guth PH, Kozber X. 1969. Microcirculatory and mast cell changes in restraint stress. Role of gastric acid. Am J Dig Di 14: 113-117 

  4. Park KH, Cha SM, Choi JS, Ki ND. 1983. Evaluation of neutralizing capacities of antacid products. Yakhak Hoeji 27: 13-22 

  5. Yoshikawa T, Ueda S, Naito Y, Takahashi S, Oyamada H, Morita Y, Y oneta T, Kondo M. 1989. Role of oxygenderived free radicals in gastric mucosal injury induced by ischemia or ischemia-repcrfusion in rats. Free Rad Res Comm 7: 285-291 

  6. Amellal M, Bronner C, Briancon F, Haag M, Anton R, Landry Y. 1985. Inhibition of master cells histamine release by flavonoids and bioflavonoids. Planta Med 45: 16-20 

  7. In collaboration with a national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herbology professor association. 1994. Herbology. Young lim Press Co., Seoul. p 392-393 

  8. Cheng DL, Cao XP. 1992. Pomolic and derivatives from the root of Sanguisorba officinalis. Planta Med 59: 204-245 

  9. Roher G, Budesinsky M. 1992. Triterpenoids from plants of the anguisorbeae. Phytochemistry 31: 3909-3914 

  10. Nonaka G, Tanaka T, Nishioka I. 1982.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Part 3. A new phenolic acid, sanguisorbic acid dilactone and three new ellagitanins, sanguiins H -1, H-2 and B-3, from Sanguisorba officinalis. J Chem Soc Perkin Translation 4: 1067-1777 

  11. Kim HK, Kim YA, Hwang SW, Ko BS. 2002. Quantitative analysis of ziyuglucoside I from Sanguisorbae Radix. Kor J Pharmacogn 33: 100- 104 

  12. An BJ, Lee JT, Park JM, Kwak JH, Lee JY, Park CI, Son JH, Lim HY. 2003. Isolation of novel glucosyltransferase and tyrosinase inhibitor from the roots of Korean Sangui: sorbae officinalis L. Kor J Herbology 18: 255-262 

  13. Kang TL, Park MK. 1994. Study on the process of Sanuuisorbae Radix tomentosolic acid isolated from roasted Sanguisorbae Radix. Yakhak Hoe Ji 38: 712-714 

  14. An BJ, Lee JT, Lee SA, Kwak JH, Park JM, Lee JY, Son JH. 2004. Antioxidant effects and application as natural ingredients of Korean Sanguisorbae officinalis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44-250 

  15. Kim SH, Kim DK, Eom DO, Kim SY, Kim SH, Shin TY, 2002. Sanuuisorbae officinalis inhibits immediate-type allergic reactions. National Product Sciences 8: 177 - 182 

  16. An BJ, Lee SA, Son JH, Kwak JH, Park JM, Lee JY. 2004. Cytotox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anguisorbae officinalis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41 - 145 

  17. Elena AG, Petrichenko VM, Solodnikov SU, Sunhinina TV, Kline MA, Glenn C, Chi N, Howard M. 2002. Anticancer and antithrombin activity of Russian plants. J Ethnophamacol 81: 337-342 

  18. Kim TG, Park MS, Han HM, Kang SY, Jung KJ, Rheu HM, Kim SH. 1999. Inhibitory effects of Terminalia chebula, Sanguisorbae officinalis, Rubus coreanus and Rheum palmatum on hepatitis B virus replication in HepG2 2.2.15 cells. Yakhak Hoe Ji 43: 458-463 

  19. Jeong HS, Lee KS, Song BK. 2000. Hemostatic effects of Sanguisorbae Radix and Nepetae Herba aqua-acupuncture. J Oriental Gynecology 13: 18-34 

  20. Kim YS, Roh JE, Ann HS. 1993. Compositional analysis of polysaccharide from Sanguisorbae officinalis and its anticoagulant activity. Kor J Pharmacogn 24: 124-130 

  21. Son JS, Lim SW. 1999. The effects of Sagunjatanghap-changchuljiyutang against gastric mucosal lesions. J Oriental Chr Dis 5: 245-261 

  22. Moon YJ, Park KO, Lee JM, You IS. 1995. A study of antitoxic effects of Sanguisorbae officinalis L. against cadmium toxicity. Wonkwang J Environ Sci 4: 43-48 

  23. Mizui T, Doteuchi M. 1983. Effect of polyamines on acidified ethanol-induced gastic lesion in rats. Jpn J Pharmacol 33: 939-945 

  24. Urushidani T, Okabe S, Takeuchi K, Takagi K. 1977. Effects of various amino acids on indomethacin-induced gastric ulcers in rats. Japan J Pharmacol 27: 316-319 

  25. Shay H, Kpmarrov SA, Fels SS. 1945. The experimental gastric ulcers in rats. Gastroenterology 5: 43-51 

  26. Olbe L, Haglund U, Leth R, Lind T, Cedergerg C, Ekenved G, Elander B, Fellenius E, Lunborg P, Wallmark B. 1982. Effect of substituted benzimidazole (H 149/94) on gastric acid secretion in humans. Gastroenterology 83: 193-198 

  27. Anson ML. 1938. The estimation of pepsin, trypsin, papain and catherpsin with hemoglobin. J Gen Physic 22: 79-85 

  28. Lim YK, Lee JK, Lee YS. 1990. The study of new model for stress-induced gastric ulcer in rats. Kor J Food Hygiene 5: 187-196 

  29. Hayase M, Takeuchi K. 1986. Gastric acid secretion and lesion formation in rats under water-immersion stress. Dig Dis Sci 31: 166-171 

  30. Briden S, Flemstroim G, Kivilaaakso E. 1985. Cysteamine and propionitrile inhinit the rise of duodenal mucousal alkine secretion in response to luminal acid in rats. Gastroenterology 88: 295-306 

  31. Keshavarzian A, Wibowo A, Gordonn JH, Fields JZ. 1990. MPTP-induced duodenal ulcers in rat. Gastroenterology 98: 554-563 

  32. Robert A, Zamins JE, Lan caster C, Hancher AJ 1979. Cytoprotection by prostaglandins in rats. Prevention of gastric necrosis produced by alcohol, HCl, NaOH, hypertonic NaCI and thermal injury. Gastroenterology 77: 433-443 

  33. Kurebatashi Y, Ikdea T, Osada. 1988. Cytoprotective action of ceraxate against HCI-ethanol induced gastric lesion in rats. Japan J Pharmacol 46: 17-25 

  34. Vahi R, Guttman FM, Mimaker B. 1979. Mechanism of cvtoprotective effects of $PGE_2$ . Surg Forum 30: 332-334 

  35. Ishii T, Fujii Y, Homma M. 1976. Gastric acid stimulating action of cysteamine in the rat. Eur J Pharmacol 36: 331-336 

  36. Hung CR, Lee CH. 1991. Protective effect of cimetidine on tannic acid-induced gastric damage in rats. J Pharm Pharmacil 43: 559-561 

  37. Oates PJ, Hakkinen JP. 1988. Studies on the mechanism of ethanol-induced gastric damage in rats. Gastroenterology 94: 10-21 

  38. Lee EB. 1995. The effect of Artemisia Herba on gastric lesion and ulcers in rats with isolation of eupatilin. In Unesco Regional Seminar on the Chemistry, Pharmacology and clinical use of flavonoid compounds. Oct. 11-15, Chungnam National Univ. Taejon, Korea. p 13-20 

  39. Mattsmoto T, Moriguchi T, Yamada H. 1993. Role of polymorphonuclear leucocytes and oxygen derived free radicals in the formation of gastric lesions induced by HCI/EtOH, and a possible mechanism of protection by antiulcer polysaccharide. J Pharm Pharmacol 45: 535-539 

  40. Whittle BJR. 1977. Mechnisms underlying gastric mucosal damage induced by indomethacin and bile-salts, and the actions of prostaglandin. Br J Pharmacol 60: 455-460 

  41. Guslandi M. 1985. Ulcer-healing drugs and endogeneous prostaglandin. Int J Clin Pharm Ther Toxicol 23: 398-402 

  42. Takeuchi K, Ueshima K, Hironaka Y, Fujioka Y, Matsumoto J, Okabe S. 1991. Oxygen free radicals and lipid peroxidation in the pathogenesis of gastric mucosal lesions induced by indomethacin in rats. Digestion 49: 175-184 

  43. Oshima A, Asayama K, Sakai N, Kitajima M. 1990. The role of endogenous free radical scavenger on tissue recovery in the experimental ulcer model. J Clin Gastroenterol 12: 58-64 

  44. Kim EJ, 1997. A study on the antigastric and antiulcer effects of propolis extract and its effective compounds. PhD Dissertation. Duksung University 

  45. OKabe S, Jino H, Nishida A. 1985. Effcts of 15(R)-15-methyl prostaglandin E; (Arbaprostil) on gastirc secretion and various gastric lesions induced in rats. Jpn J Pharmacol 40: 329-337 

  46. Sciffers MJ, Segal ML, Miller LL. 1963. Separation of pepsinogen I, pepsinogen II, and pepsinogen III from human gastric mucosa. Am J Pltysiol 205: 1106-1111 

  47. Suwa T, Fukushima K, Koyogoku K. 1984. Effect of anti-ulcer agent, 2'-carboxtmethoxy-4,4' -bis(3-methyl-2-butenyloxy) chalcone (SU-88), on the biosynthesis of gastric sulfated mucosubustances in restrained and waterimmersed rats. Japan J Pharmacol 34: 89-94 

  48. Kitagawa H, Fujiwara M, Osumi Y. 1973. Effects of water-immersion stress on gastric secretion and mucosal blood flow in rats. Gastroenterology 77: 298-302 

  49. Flemstrom G, Ganrner A. 1983. Gastroduodenal $HCO_3^-$ transport characteristics and proposed role acidity regulation and mucosal protection. Am J Physiol 242: G183-G1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