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경천의 항산화 · 항발암 효과 연구
Anticarcinogen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9, 2005년, pp.1302 - 1307  

배송자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마린-바이오 산업화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국, 일본 및 한국에서 약용으로 이용되는 홍경천을 시료로 하여 추출,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생리활성 물질을 검색하였다. 4종의 암세포주인 HeLa, MCF-7, HT-29 및 HepG2를 이용하여 암세포성장억제실험을 한 결과 홍경천의 ethylether층인 RSMEE에서는 다른 층에 비해서 비교적 높은 암세포성장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HepG2 세포주에서는 시료 최고첨가농도인 $500{\mu}g/mL$을 첨가하였을 때 $90\%$의 비교적 높은 암세포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MCF-7 세포주에서도 비슷한 결과였다. 한편 HepG2 세포주에 대한 홍경천의 QR 유도활성 효과는 분획물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증가하였으며 특히 hexane층인 RSMH에서는 시료 최종첨가농도인 $200{\mu}g/mL$에서 3.5배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한방에서 여러가지 약용으로 쓰이는 홍경천은 ethylether층 즉 TSMEE에서 암세포 성장저지효과가 제일 컸고, 암예방 지수인 QR 유도활성은 hexane층인 RSMH이 제일 높았으며 RSMEE층은 그 다음으로 효과가 있었다. 홍경천의 항산화효과는 이미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진 Vit. C의 효과와 비슷하였으며 $200{\mu}g/mL$의 홍경천 첨가시 첨 가전보다 암세포수 감소와 더 불어 형태학적으로 괴사가 일어나기 시작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여러 실험결과에의 하면 예로부터 민간요법에서 애용되어온 홍경천은 암예방 및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력도 매우 좋은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 추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rcinogen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hodiola sachalinensis (RS). Hexane (RSMH), ethylether (RSMEE), ethylacetate (RSMEA), butanol (RSMB), aqueous (RSMA) fractions and methanol extract (RSM) were screened for their growth inhibition effects using 3- (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국 상해에서 구입한 홍경천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quinone reductase 유도 및 항산화 효과를 연구, 검토함으로서 홍경천의 기능적인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Ong TM, Whang WZ, Stewatr S, Brockman HE. 1986. Chlorophyllin; a potent antimutagen against envitonmental and dietary complex mixture. Mutat Res 173: 111-115 

  2. Park BJ, Suh HS, Chung GS, Sohn JK. 1987. Studies on protoplast culture and fusion in cruciferae. Korean J Breed 19: 230-234 

  3. Stavric B. 1994. Role of chemopreventers in human diet. Clin Biochem 27: 319-322 

  4. Reddy L, Odhav B, Bhoola K. 2003. Natural products for cancer prevention: a global perspective. Pharmacology & Therapeutics 99: 1-13 

  5. Chung TH. 1974. Korean flora (herb part). Academybook, Seoul. p 283 

  6. Alley MC, Scudiero DA, Monks A, Hursey ML, Czerwinski MJ, Fine DL, Abbrott BJ, Mayo JG, Shoemaker RH, Boyd MR. 1988. Fesaibility of drug screening with panels of human tumor cell line using a microculture tetrazolium assay. Cancer Res 48: 589-601 

  7. Carmichael J, De Graff WG, Gazde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tion of a tetrazolium bax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8. Steinkellner H, Rabot S, Freywald C, Nobis E, Scharf G, Chabicovsky M, Knasmuller S, Kassie F. 2001. Effect of crucifrous vegetable and their constituents on drug metabolizing enzymes involved in the bioactivation of DNA-reactive dietary carcinogens. Mutat Res 480-481 

  9. Prochaska HJ, Santamaria AB. 1988. Direct measurement NAD(P)H. Quinone reductase from cells cultured in microtiter wells. A screening assay for anticarcinogenic enzyme inducer. Anal Biochem 169: 328-336 

  10. Jung MJ, Chung HY, Kang SS, Choi JH, Bae KS, Choi JS. 2003.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stem bark of Albizzia julibrissin. Arch Pharm Res 23: 458-462 

  11. Shim SM, Choi SW, Bae SJ 2001. Effects of Punica granatum L. fractions on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nd growth inhibition on several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0-85 

  12. Bae SJ. 2004. Anticarcinogenic effect of Sargassum fulvellum fractions on several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80-486 

  13. Bae SJ. 2002. The effects of anticarciogenic activity of Solanum tuberosum peel frac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905-909 

  14. Song EK, Kim JH, Kim JS, Cho H, Nan JX, Shon DH, Ko GI, Oh HC, Kim YC. 2003. Hepatoprotective phenolic constituents of Rhodiola sachalinensis on tacrine-induced cytotoxicity in Hep G2 cell. Phytother Res 17: 563-565 

  15. Lee MW, Lee YA, Park HM, Toh SH, Lee EJ, lang HD, Kim YH. 2000.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from the roots of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Arch Pharm Res 23: 455-4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