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생물에 의한 수소생산: Dark Anaerobic Fermentation and Photo-biological Process
Microbial hydrogen production: Dark Anaerobic Fermentation and Photo-biological Process 원문보기

한국생물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20 no.6 = no.95, 2005년, pp.393 - 400  

김미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연구센터) ,  백진숙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은 크게 광합성 세균(photosynthetic bacteria), 혐기성세균(non-photosynthetic anaerobic bacteria), 조류(algae) 등으로 구분되고, 이들의 수소 생성 기작, 사용가능기질 및 수소 발생량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광합성세균은 Rhodospirillaceae, Chromatiaceae 및 Chlorobiaceae로 구분되며, 이는 각각 홍색비유황세균(purple non-sulfur bacteria), 홍색유황세균(purple sulfur bacteria), 녹색유황세균(green sulfur bacteria)으로 통칭된다. 혐기성 세균은 절대 또는 통성혐기세균중 일부가 수소생산에 관여하며, 조류는 녹조류(green algae)와 남조류(blue-green algae, cyanobacteria)가 알려져 있다. 생물학적 수소생산 기술은 (1) 녹조류(green algae)가 광합성 메카니즘에 의해 수소를 생산하는 직접 물 분해 수소생산(direct bio-photolysis) (2) 광합성 작용에 의해 물을 분해하여 산소를 발생하고, 동시에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고정하여 고분자 저장물질로 균체 내에 저장한 후 혐기 발효 또는 광합성 발효에 의해 수소를 발생하는 간접 물 분해 수소생산(indirect bio-photolysis or two stage photolysis) (3) 빛이 존재하는 혐기상태 배양 조건에서 홍색 세균에 의한 광합성 발효(photo-fermentation) 또는 (4) 광이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 혐기 미생물에 의해 수소와 유기산을 내는 혐기 발효(dark anaerobic fermentation) (5) 균체 외(in virro) 수소 발생 (6) 일산화탄소 가스 전환 반응(microbial gas shift reaction)에 의한 수소 생산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로부터 생물학적 기술에 의한 수소생산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고, 수소와 산소를 발생하는 원천기술로써 오래 전부터 미국, 유럽에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광합성 미생물의 분리, 개선 및 반응기에 관한 연구가 축적되어 왔으며, 유기물 즉 바이오매스로부터 혐기 및 광합성 발효를 연속적으로 적용하는 기술은 비교적 최근에 일본을 비롯한 유기성 폐기물이 많은 국가에서 수소에너지 생산과 유기성 폐기물 처리라는 두 가지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로써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기성 폐기물이나 폐수와 같은 수분함량이 높은 바이오매스는 대부분이 매립처리 되는 실정이지만 높은 수분 함량 때문에 매립 시 발생하는 침출수는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가까운 장래에는 매립도 금지될 전망이다. 이와 같은 수소에너지 생산기술과 이용시스템 개발은 화석연료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 다량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에너지 생산으로 자원 강대국 입지에 설 수 있다. 미생물에 의한 수소생산 기술은 청정에너지 생산과 아울러, 동시에 산소 발생, 공기 중 이산화탄소 고정, 식품공장 폐수 및 음식쓰레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 등 환경에 이로운 방향으로 진행될 뿐만 아니라, 미생물 자체가 갖는 생물 산업성도 높아서 비타민류, 천연색소, 피부암 치료제등의 고부가가치 의약품 생산도 활성화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ogen($H_2$) as a clean, and renewable energy carrier will be served an important role in the future energy economy. Several biological $H_2$ production processes are known and currently under development, ranging from direct bio-photolysis of water by green algae, indirec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총설에서는 미생물에 의해서 발생하는 수소생산 종류를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각 기술에 관련한 미생물의 수소발생 메카니즘, 수소발생 효율 등을 설명하고, 각 기술의 특징과 기술개발에 극복해야 할 면 등 실질적인 응용에 관련한 면도 기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nemann, J. R. and N. M. Weare (1974), Hydrogen evolution by nitrogen fixing Anabaena cylindrica cultures, Science 184, 175-17 

  2. Addario, D. E., E. Fascetti, and M. Valdiserri (1996), Hydrogen production from organic waste by continuous culture of Rhodobacter sphaeroides RY. Hydrogen energy progress, Proc. 11th World Hydrogen Energy Conference 1996. Stuttgatt. Germany, pp2577-2582 

  3. Hendrickx, M., A. Vansteenbeeck, and J. DeLeg (1986), The culture, general physiology, morphology and classification of the nonsulfur purple and brown bacteria, System, Appl. Microbiol. 8, 239-244 

  4. Weaver, P. F., S. Lien, and M. Seibert (1980), Photobiological production of hydrogen, Solar Energy 24, 3-45 

  5. Markov, S. A., M. J. Bazin, and D. O. Hall (1995), Advances in Biochem., Eng. Biotech. 52, 60-81 

  6. Ikuta, Y., T. Akano, N. Shoioji, and I. Maeda (1998), Biohydrogen production by photosynthetic microorganisms, In Biohydrogen, O. Zaborsky (Ed.) Plenum Press, New York, pp319 - 328 

  7. Szyper, J. P., A. Y. Brandon, J. R. Benemann, M. R. Tredici, and O. R. Zarborsky (1998), Internal Gas Exchange Photobioreactor development and testing in Hawaii, pp441-446 

  8. Bakterien-Energiekraftwerke der Zukunft. Marz (1998), UmweltMagazin, pp53 

  9. Lindblad, P., Y. Asada, J. Benemann, P. Hallenbeck, A Melis, J. Miyake, M. seibert. and O. Skulberg (2000), lEA Hydrogen- Agreement, Task 15, Proc. 13th World Hydrogen Energy Conference. Hydrogen Energy Progress XIII Beijing, China June, pp12-15, 56-59 

  10.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technology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New Energy and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 (NEDO), Global Environment Technology Department Brochure 

  11. Travieso, L., F. Benitez, and M. Hernadez (1998), Prospects of biological hydrogen production in Cuba, Proc. 12th World Hydrogen Energy Conference. Hydrogen Energy Progress XII. Buenos Aris, Argentine, June, ppI2-15, 827-832 

  12. Gaudernack, B. (1998), Photoproduction of hydrogen Annex 10 of the lEA hydrogen programme, Proc. 12th World Hydrogen Energy Conference. Hydrogen Energy Progress XII. Buenos Aris, Argentine, June, pp12-15, 2011-2023 

  13. 김미선, 문광웅, 이상근 (1998), Rhodpseudomonas sphaeroides에 의한 수소생산 -glucose 및 유기산의 영향,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6, 89-95 

  14. Gaffron, H. and Rubin (1942), Fermentative and photochemical. production of hydrogen in algae, J. Gen. Physiol. 26, 219-240 

  15. Klemme, J. H. (1968), Untersuchungen zur Photoautotrophie mitmolekularem Wasserstoff bei neuisolierten schwefelfreien Purpurbakterien, Arch. Mikrobiol. 64, pp29-42 

  16. Kim, J. S., K. Ito, K. Izaki, and H. Takahashi (1987), Agri. BioI. Chem. 51, 2591-3593 

  17. Van Niel, C. B. (1944), The culture, general physiology, morphology and classification of the nonsulfur purple and brown bacteria, Bacteriol. Rev. 8, 1 

  18. Gray, C. T. and H. Gest (1965), Biological formation of molecular hydrogen, Science 148, 186-192 

  19. Benemann, J. R., J. A. Berenson, N. O. Kaplan, and M. D. Kamen (1973), Hydrogen Evolution by a ChIoroplast-Ferredoxin- Hydrogenase System, Proc. Nat. Acad Sci. USA 70, 2317-2320 

  20. Jackson, D. D. and J. W. Ellms (1886), Reports Massachusetts State Board Health, pp410-420 

  21. Gaffron, H. and J. Rubin (1942), Fermentative and photochemical production of hydrogen in algae, J. Gen. Physiol. 26, 219-240 

  22. Ghirardi, M. L., S. P. Toon, and M. Seibert (1995), Proc. Annual Review Meeting DOE Office of Utility Technol. Hydrogen Program Review, Miami, FL 

  23. Greenbaum, E, J. W. Lee, C. V. Tevault, S. L.. Blankinship, and L. J. Melis (1995), $CO_2$ Fixation and Photoevolution of $H_2$ and $O_2$ in a Mutant of Chlamydomonas Lacking Photosystem I, Nature 376, 438-441 

  24. Melis, A, L. Zhang, M. Foster, M. L. Ghirardi, and M. Seibert (2000), Sustained Photobiological Hydrogen Gas Production upon Reversible Inactivation of Oxygen Evolution in the Green Alga Chlamydomonas reinhardtii, Plant Physiol. 122, 127-135 

  25. Boichenko, V. A. and P. Hoffman (1997), Photosynthetic hydrogen production. in prokaryotes and eucaryotes: occurrence, mechanism, and functions, Photosynthetica 30, 527-552 

  26. Gest, H. and M. D. Kamen (1949), Photoproduction of molecular. hydrogen by Rhodospirillum rubrum, Science 109, 558-559 

  27. Hillmer, P. and H. Gest (1977), $H_2$ metabolism in the photosynthetic bacterium Rhodopseudomonas capsulata: $H_2$ production by growing cultures, J. Bacteriol. 129, 724-731 

  28. Vasilyeva, L. G., M. Miyake, E. Khatipov, T. Wakayama, M. Sekine, M. Hara, E Nakada, Y. Asada, and J. Miyake (1999), Enhanced hydrogen production by a mutant of Rhodobacter sphaeroides having an alterd light-harvesting system, J. Biosci. Bioeng. 87, 619-6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