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간의료보험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민간의료보험 활성화에 대한 함의
The Determinant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purchasing decisions under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 Korea : The expanding of private health insurance market, for the better or worse 원문보기

보건행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v.15 no.4 = no.43, 2005년, pp.161 - 175  

윤태호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 및 산업의학교실) ,  황인경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 및 산업의학교실) ,  손혜숙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고광욱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정백근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introduction of mandatory health insurance in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KNHI) has grown rapidly. In 2004, about $96.9\%$ of the total population are covered by the KNHI and the remaining $3.1\%$ by the Medical Aid program. Despite national health insura...

주제어

참고문헌 (19)

  1. 김양중. 건보 '암진료비 75% 지원' 발표 이후... 민영의보 흔들. 한겨레신문 2005년 7월 21일자 

  2. 강성욱, 권영대, 김성아 민간의료보험이 병원에 미칠 영향에 대한 고찰. 보건경제와 정잭연구 2004; 19(2): 23-36 

  3. 김정희, 정종찬. 건강보험환자의 본인부담 실태 조사. 건강보험포럼 2005; 4(1): 74-88 

  4. 박홍민 외, 건강보험에서의 보험회사 역할 확대 방안, 보험개발원,2001 

  5. 보험개발원, 민영건강보험의 리스크관리 방안, CEO 리포터,2005 

  6. 보험개발원. 민영건강보험의 보험금 지급심사 현황 및 개선방안. 보험개발원 건강보험포럼자료. 2005 

  7. 오영수, 이경희. 민간의료보험의 언더라이팅 선진화 방안. 보험개발원,2003 

  8. 이진석. 의료서비스 산업화론과 건강보험. 건강보험포럼 2005; 4(1): 5-16 

  9. 이진석, 김헌수, 김재현, 정백근, 강창구. 민간의료보험 실태와 영향 분석, 국민건강보험공단 2005 

  10. 정기택. 민간의료보험의 현황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보건행정학회지 1997; 7(2): 100-46 

  11. 정기택. 민간의료보험 도입되어야 한다: 민간보충의료보험의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의료평론 2000; 1:187-228 

  12. 조홍준, 이진석. 민간의료보험 도입 주장의 문제점과 의료보장제도의 발전방향. 의료평론 2000; 1: 229-252 

  13. Besley T, Hall J, Preston I. The demand for private health insurance: do waiting lists matter? Journal of Public Economics 1999; 72: 155-81 

  14. Buchmann B, Rainwater L, Schmaus G, Smeeding T. Equivalence scales, well-being, inequality and poverty. Review of Income and Wealth 1988; 34(1): 115-42 

  15. Costa J, Carcia J. Demand for private health insurance: how important is the quality gap? Health Economics 2003; 12: 587-99 

  16. Hopkins S, Kidd M. The determinants of the demand for private health insurance under Medicare. Applied Economics. 1996; 28(12): 1623-32 

  17. King D, Mossialos E.The determinants of private medical insurance prevalence in England, 1997-2000. Health Serv Res. 2005 ;40(1):195-212 

  18. Liu TC, Chen CS. An analysi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purchasing decisions with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Taiwan. Soc Sci Med 2002; 55(5):755-774 

  19. Sapelli C, Torche A. The mandatory health insurance system in Chile: Explaining the choi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sur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Care Finance and Economics 2001; 1: 97-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