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용도가 다른 보리와 밀 3품종의 영양성분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and Wheat Varie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2, 2005년, pp.223 - 229  

최정숙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연지영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리와 밀의 품종에 따른 영양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보리 3품종(진미찹쌀보리, 서둔찰보리, 두산8호)과 밀 3품종(알찬밀, 탄동밀, 올그루밀)의 영양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보리의 경우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성분은 단백질과 지방(각각 p<0.001), 섬유소(p<0.05)였으며, 단백질은 진미찹쌀보리가 다른 두 품종에 비해 낮았고, 지방함량은 서둔찰보리가 유의적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진미찹쌀보리, 두산8호 순으로 나타났다. 밀은 지방(p<0.001) 함량이 차이를 보였는데, 탑동밀이 1.27 %으로 다른 두 품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보리와 밀의 모든 품종에서 칼륨>인>마그네슘>칼슘>나트륨>철>아연 순으로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리의 경우 칼슘 함량은 진미찹쌀보리가 31 mg%로 다른 두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01), 아연 함량은 두산8호가 1.4 mg%로 가장 높았으며 철 함량은 진미찹쌀보리와 서둔찰보리에서 모두2.9 mg%으로 두산8호에 비해 많았다. 밀의 칼슘 함량은 알찬밀과 올그루밀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인은 을그루밀이 270 mg%로 가장 많았다. 철은 탑동밀에서 5.6 mg%으로 마그네슘은 올그루밀에서 127 mg%로 다른 두 품종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무기질은 칼슘(p<0.001), 인(p<0.001), 철(p<0.01)과 마그네슘(p<0.01)이었다. 보리의 비타민 B$_1$ 함량은 진미찹쌀보리와 서둔찰보리에, 비타민 B$_2$는 서둔찰보리에 유의적으로 많이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1) niacin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밀의 비타민 B$_1$ 함량은 알찬밀이, 비타민 B$_2$는 올그루밀이 가장 많았다. Niacin함량은 탑동밀이 2.81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다음으로 알찬밀, 올그루밀 순이었다. 지방산 조성은 보리와 밀에서 Cl8:2>Cl6:0>Cl8:1 순으로 보리는 전체의 90%, 밀은 92%를 차지하였다. 단일 불포화지방산은 보리가 11∼13%, 밀이 21∼27%이며, 다중불포화지방산은 보리가 57∼59%, 밀은 36∼50%로 보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PUFA/SFA 비율은 보리의 경우 2.1로 품종별로 지방산 조성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밀은 1.0∼1.9 범위로 품종별로 지방산 조성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보리와 밀의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를 가장 많이 함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리 품종별 필수아미노산 함량을 살펴보면 Lysine, valine, tryptophan 함량은 두산8호에서, phenylalanine 함량은 서둔찰보리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밀 품종별 Iysine, isoleucine 함량은 탑동밀에서 다소 낮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emical components of barley (Jinmichapssal, Seodunchal, and Dusan No.8) and wheat (Alchanmil, Tapdongmil, and Olgeurumil) varieties were determined in terms of proximate compositions, minerals, fatty acids, amino acids and vitami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tein and lipid (p<0.00...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쌀 대용으로 많이 섭취하는 있는 보리와 밀(대표적인 품종 3종씩)의 품질 특성과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영 양적 가치를 제 시 하는 한편 품종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Data were presented as mean ± SD (n=3) except for dietary fibe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im HS, Kang OJ, Lyu ES. 1983. Studies on the preperation of polished ${\alpha}$ -barley I. The yield and degree of gelatiniz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5: 155-159 

  2. Kwon TW, Ahn BY, Choi WS, Cheigh HS. 1986. Enzymatic milling process for barley flour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197-203 

  3. Sohn JS, Yum CA, Jang MS, Kim SK. 1987. Water uptake rate and degree of gelatinization during cooking of pressed, cutted and pearled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125-128 

  4. Jung EY, Yum CA, Kim SK, Jang MS. 1987.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earled, cutted and pressed barley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290-294 

  5. Lee. SY, Lee SK, Kim KJ. 1986. Mechanical properties of barley starch g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215-220 

  6. Chang HG, Park GG. 1993.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rley during kernal matu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602-607 

  7. Kang KJ, Park YK, Cho IH, Kim K, Kim SK. 1987. Modific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aked barley starch by heat-moist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97-101 

  8. Chang CM, Oh YT, Yoon IH. 1986. Barley noodle making by vacuum pr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93-97 

  9. Kim HJ, Park SH, Park CH. 1985.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vineger from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350-354 

  10. Suh CS, Chun JK. 1981. Relationships among the roasting conditions. Colors and extractable solid content of roasted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334-339 

  11. Shin HS, Lee KH, Lee SY. 1981.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barley and malt.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30-36 

  12. Chun HK, Lee SR. 1984. Lipid composition of barley flour produc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51-58 

  13. Lee WJ. 1992. Changes in dietary fiber content of barley during pearling and coo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80-182 

  14. Lee YT, Lee CK. 1994. Effects of varietal variation in barley on ${\beta}-glucan$ and malting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72-177 

  15. Cheigh HS, Lee NS, Kwon TW. 1976. Some nutritional composition of barley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8: 260-262 

  16. Lee JS, Kim SK, Kim CS, Cho MH. 1983. Contents of minerals and amino acid of husked and naked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15: 90-92 

  17. Park H, Yang CB. 1976. Varietal difference in amino acid composition of polished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8: 129-135 

  18. Park SH, Kim K, Kim SK, Park YK. 1989. 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naked barley differing in pearling degrees. J Korean Soc Food Nutr 18: 328-332 

  19. Park H. 1976. Varietal difference in protein, carbohydrate, P, K, Ca and Mg content of naked barley. J Korean Agric Chem Soc 19: 31-35 

  20. Kim HK. 1977. A note on milling quality of foreign wheat varie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9: 225-228 

  21. Shin SY, Kim SK. 1993. Cooking properties of dry noodles prepared from HRW-WW and HRW-ASW wheat flour ble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232-237 

  22. Lee CH, Lee HD, Kwon OH, Chang HG. 1984. Milling property of Australian wheat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flours. J Korean Agric Chem Soc 27: 21-28 

  23. Song JC, Lee SY, Park NK, Hur HS, Nam JH. 1998. Comparison of flour quality domestic and imported wheat flour. Korean J Breed 30: 156-161 

  24. 김종태, 황재관, 조성자, 김철진. 1995. 국내산 밀의 제분과 품질특성. 산학수산 28(4): 103 

  25. Lee SY, Hur HS, Song JC, Park NK, Chung WK, Nam JH, Chang HG. 1997. Comparison of noodle-relate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mpored wh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4-50 

  26.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Maryland. Vol III, Ch 32, p 30 

  27. Daniels NWR, Richmond JW, Russell EPW, Coppock JBM. 1996. Studies in lipids of flour. III. Liqid binding in breadmarking. J Sci Food Agric 17: 20-24 

  28. Joo HK, Cho KY, Park CK, Cho KS, Ma SJ. 1995. Food Analysis. Yulimmunhwasa, Seoul, Korea 

  29. Prosky L, Asp N, Schweizer T, DeVries J, Furda I. 1988. Determination of insoluble, soluble and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products, Interlaboratory study. J Assoc Off Anal Chem 71: 1017-1020 

  30. Folch J, Less M,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31. Lepage G, Roy CC. 1986. Direct transesterification of all classes of lipids in a one-step reaction. J Lipid Res 27: 114-120 

  32. Daniel JS, Steven AC. 1993. Sensitive analysis of cystine/cysteine using 6-aminoquinolyl-N-hydroxysuccinimidy carbamate (AQC) derivatives. Techniques in Protein Chemistry 4: 299-306 

  33. Steven AC, Dennis PM. 1993. Synthesis of a fluorescent derivatizing, 6-aminoquinoly-N-hydroxysuccinimidyl carbamate and its application for the analysis of hydrolysate amino acid vi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tical Biochemistry 211: 1-9 

  34. Ku KH, Park DJ, Kim JH. 1996. Characteristics of physicochemical and processing of domestic wheat varieties. Proceeding of conference in fall of Korean Soc Food Sci Technol. p 45-46 

  35. Kim CT, Cho SJ, Hwang JK, Kim CJ. 1997. Composition of amino acids, sugars and mineral of domestic wheat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229-235 

  36. Lee CK, Nam JH, Kang MS, Koo BC, Kim JC, Park KK, Park MW, Kim YH. 2002. Current wheat quality criteria and inspection systems of major wheat producing countries. Korean J Crop Sci 47(S): 63-94 

  37. Park H, Lee DS. 1975. Studies on chemical constituents of barley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7: 80-84 

  38. The Korean National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p 266-464 

  39. Chang NS. 1993. Desirable pattern of fatty acid intake. Korean J Nutrition 26: 486-5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