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보리와 밀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of Selected Barley and Wheat Inhabited in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7, 2013년, pp.1003 - 1007  

조성훈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차영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하경수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은지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유리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영인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4가지의 맥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항균 활성 그리고 지표성분인 DMBQ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4가지 맥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겉보리(UB), 통보리(PB), 쌀보리(NB) 순으로 도정도가 진행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밀(WG)은 겉보리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피어슨 상관계수로 비교 분석한 결과, 0.9934로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4가지 대표적인 식중독 유발균을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Staphylococcus(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NB, PB, UB 추출물은 $15.69{\pm}0.20$, $16.87{\pm}0.05$, $17.91{\pm}0.10mm$ 순으로 S. aureus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겉보리(UB)는 배아와 겨, 통보리(PB)는 배아, 쌀보리(NB)는 배유만을 포함하고 있는 상태인데, 도정이 진행됨에 따라 DMBQ가 함유되어 있는 배아와 겨 부분이 제거되어 항균 활성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으로 분석한 통밀(WG) 추출물은 $22.37{\pm}0.04mm$로 보리 추출물들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DMBQ의 양을 분석하였을 때 WG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배아와 겨 부분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DMBQ의 양에 따라 맥류의 항균, 항산화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가공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을 이용해 용도에 따라 가공공정을 조절하여 새로운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을 알 수 있었다. 맥류 추출물은 항산화력과 항균력 두 가지를 모두 갖춘 천연물 유래 식품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elected barleys (UB, unhulled barley; PB, pearl barley; and NB, naked barley) and wheat (WG, wheat with germ and endosperm) extracts were evaluated against the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27, Escherichia coli KCTC 2593, Salmonel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용성 식이 섬유는 체내 혈중 콜레스테롤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맥류내 β-glucan은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혈중 포도당 농도 조절, 암 예방 효과 등 생리적 기능은 많이 알려져 있다 (9,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적으로 대량생산 및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맥류 중 도정도가 다른 국내산 보리와 밀의 추출물로부터 항균,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 이에 따른 지표물질을 분석함으로써 경제성이 확보된 천연보존제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맥류란? 맥류는 귀리, 보리, 밀 등을 총칭하며 약 1만 5000년 전부터 식용작물로서 사용되어 왔다(6). 이 중 보리는 껍질이 잘 분리되어 식용으로 사용하는 쌀보리(naked barley)와 껍질이 분리되지 않아서 사료로 사용하는 겉보리(unhulled barley)로 나눌 수 있으며, 쌀보리는 다시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의 함량에 따라서 찰보리(glutinous barley, waxy barley)와 메보리(non waxy barley)로 나누는데, 찰보리는 메 보리보다 아밀로펙틴의 함량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취반 특성과 식감을 개선되어 소비자들이 식용으로 주로 이용하고 있다(7,8).
쌀보리는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의 함량에 따라서 어떻게 나뉘는가? 맥류는 귀리, 보리, 밀 등을 총칭하며 약 1만 5000년 전부터 식용작물로서 사용되어 왔다(6). 이 중 보리는 껍질이 잘 분리되어 식용으로 사용하는 쌀보리(naked barley)와 껍질이 분리되지 않아서 사료로 사용하는 겉보리(unhulled barley)로 나눌 수 있으며, 쌀보리는 다시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의 함량에 따라서 찰보리(glutinous barley, waxy barley)와 메보리(non waxy barley)로 나누는데, 찰보리는 메 보리보다 아밀로펙틴의 함량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취반 특성과 식감을 개선되어 소비자들이 식용으로 주로 이용하고 있다(7,8).
식품의 부패, 변질의 원인 중 화학적 원인은 무엇인가? 식품의 부패, 변질의 원인은 화학적 원인, 생물학적 원인, 물리적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화학적 원인으로 산화와 산패, 생물학적 원인으로 미생물에 의한 오염이 식품을 보존하는데 가장 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 화학적 합성품으로 이루어진 보존료를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ofos JN, Beuchat LR, Davidson PM, Johnson EA. 1998. Naturally occurring antimicrobials in foods. Regul Toxicol Pharmacol 28: 71-72. 

  2. No HK, Meyers SP, Prinyawiwatkul W, Xu Z. 2001. Applications of chitosan for improvement of quality and shelf life of foods: a review. J Food Sci 72: R87-R100. 

  3. Park YJ, Biswas R, Phillips RD, Chen J. 2011. Antibacterial activities of blueberry and muscadine phenolic extracts. J Food Sci 76: M101-M105. 

  4. Saidi M, Ghafourian S, Zarin-Abaadi M, Movahedi K, Sadeghifard N. 2012. In vitro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thyme (Thymbra spicata L.) essential oils. Roum Arch Microbiol Immunol 71: 61-69. 

  5. Schirmer BC, Langsrud S. 2010. Evalu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s on typical meat spoilage bacteria in vitro and in vacuum-packed pork meat. J Food Sci 75: M98-M102. 

  6. Lee YT. 2008. Effects of malt modification on ${\beta}$ -glucan solubility and beer viscos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360-363. 

  7. Cha MN, Jun Hl, Song GS, Kim YS. 2012. The effects of germination conditions on GABA and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1-47. 

  8. Kim YS, Lee YT, Seong HM. 199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from waxy and non-waxy hull-less barley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240-245. 

  9. Lee YT. 2001. Dietary fiber composition and viscosity of extracts form domestic barley, wheat, oat and rye. Korean J. Food & Nutr 14: 233-238. 

  10. Klopfenstein CF. 1988. The role of cereal ${\beta}$ -glucans in nutrition and health. Cereal Foods World 33: 865-866. 

  11. Bauer AW, Kirby WM, Sherris JC, Turck M. 1966.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by a standardized single disk method. Am J Clin Pathol 45: 493-496. 

  12. Kurihara H, Fukami H, Asami S, Toyoda Y, Nakai M, Shibata H, Yao XS. 2004. Effects of oolong tea on plasma antioxidative capacity in mice loaded with restraint stress assessed using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 Biol Pharm Bull 27: 1093-1098. 

  13. Tomoskozi-Farkas R, Daood HG. 2004. Modification of chromatograph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benzoquinones in cereal products. Chromatographia 60: S227-S230. 

  14. Shetty K, Curtis OF, Levin R, Wikowsky R, Ang W. 1995. Prevention of verification associated with in vitro shoot culture of oregano (Origanum vulgare) by Pseudomonas spp. J Plant Physiol 147: 447-451. 

  15. Meganathan R. 2001. Biosynthesis of menaquinone (vitamin K2) and ubiquinone (coenzyme Q): a perspective on enzymatic mechanisms. Vitam Horm 61: 173-218. 

  16. Drewes SE, Khan F, van Vuuren SF, Viljoen AM. 2005. Simple 1,4-benzoquinones with antibacterial activity from stems and leaves of Gunnera perpensa. Phytochemistry 66:1812-1816. 

  17. Kim MH, Jo SH, Ha KY, Song JH, Jang HD, Kwon YI. 2010. Antimicrobial activities of 1,4-benzoquinones and wheat germ extract. J Microbiol Biotechnol 20: 1204-1209. 

  18. Lana EJ, Carazza F, Takahashi JA. 2006. Antibacterial evaluation of 1,4-benzoquinone derivatives. J Agric Food Chem 54: 2053-2056. 

  19. Goupy P, Hugues M, Boivin P, Amiot MJ. 1999. Antioxidant composition and activity of barley (Hordeum vulgare) and malt extracts and of isolated phenolic compounds. J Sci Food Agric 79: 1625-1634. 

  20. Liu Q, Yao H.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ley seeds extracts. Food Chem 102: 732-737. 

  21. Adom KK, Sorrells ME, Liu RH. 2003. Phytochemical profil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heat varieties. J Agric Food Chem 51: 7825-7834. 

  22. Onyeneho SN, Hettiarachchy NS. 1992. Antioxidant activity of durum wheat bran. J Agric Food Chem 40: 1496-15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