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명품 광고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의미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Socio-cultural Meanings in Advertisement of Fashion Luxury Products -Focused on Women`s Image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29 no.2, 2005년, pp.267 - 278  

양숙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한수연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shion luxury products, which used to mean high-quality, handcrafted not-so-trendy items, are nowadays regarded as expensive fashion merchandise produced under the name of imported well-known brands. People cunsuming fashion luxury products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people according to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최근의 패션 명품은 중산층의 고급 소비 경향에 발맞추어 명품의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신명품주의 'Masstige' 전방위로 확산, 2004). 다원주의 사회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추구와 고급욕구 충족의 소비문화 속에서 패션 명품 광고도 상반된 소비가치에 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를 제시한다. 이에 2000년대 이후 패션 명품 광고에 나타난 이미지를 본고에서는, 지위차별화와 관련되는 우아 한 이미지의 (1) 엘레강스, 통속적이고도 포스트모던 가치를 지닌 (2) 키치, 현대 패션의 성상품화와 관련된 (3) 페티시의 이미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Table 1).
  • 즉, 상품의 미적인 효과가 상품과 자신을 동일화하는 효과를 더욱 크게 만드는 것이다(이동연, 2002). 따라서 명품과 소비자를 동일화하는 패션 명품 광고의 이미지를 살펴봄으로써 그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 광고는 즉각적으로 사회의 존재방식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소통시키는 중요한 문화적 상징의 전달체 로 작용하며 문화지형을 드러내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패션 명품의 기호가치는 패션 명품 광고에 의해 의미를 지니게 되고 소비자 존재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전환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거 소수를 위한 진품으로 여겨지던 명품이 수입 브랜드의 상품을 뜻하는 말로 변질되면서 그 소비의 의미도 변화되었음을 밝히고, 패션 명품 광고에 나타난 이미지를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미적 가상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 베이비붐 세대, 여피, 엑스세대, 에코 부머, 노브라우, 보보스 등은 자신의 일에서 보람을 찾기보다 물건을 사들임으로써 만족감을 누리며 각자의 사회적 계층을 상징하는 명품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2002/2003). 본 고에서는 패션분야에서 소비 행태로 주목을 받아온 80년대의 여피족과 90년대 이후 보보스족을 중심으로 소비공동체를 살펴보고자 한다(Table 2).
  • 광고에서 여성 이 미지는 종종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실질적 용도와는 상관없이 자극적이고 섹시한 이미지로 사용되어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다(이영 자, 2000; 노성숙, 2000; 원용진, 2000). 이에 고품격의 패션 명품 광고에서도 여성 이미지를 다양하게 사 용하였으리라고 간주하고 이를 자세히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준만. (2003). 대중문화의 겉과 속 II. 서울: 인물과 사상사 

  2. 고현진. (2003). 복식에 표현된 엘레강스에 관한 연구. 서울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김덕자. (1989). 광고와 에로티시즘. 서울: 미진 

  4. 김민수. (1997a). 광고 이미지에 나타난 키치적 속성과 문화석 상징성의 해석. 광고학 연구, 6(2), 52-80 

  5. 김민수. (1997b). 21세기 디자인 문화탐사. 서울: 솔 

  6. 김용숙. (2003).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물질주의 성향과 의복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복식, 53(8), 11-20 

  7. 김은희. (2002). 복식에 표현된 여성의 몸 이미지.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김홍탁. (2000). 광고, 대중운화외 제 1원소. 서울: 나남 

  9. 노성숙. (2000). 문화산업의 지구화와 성불평등. 여성학논집, 18. 3-24 

  10. 로셰크, 잉그리트. 여성들은 다시 가슴을 높이기 시작했다: 20세기 패션문화사. 이재원 옮김 (2002) 서울: 한길아트 

  11. 미술비평연구회 대중시각매체연구분과 (1992). 상품미학과 문화이론. 서울: 눈빛 

  12. 맥로비, 안젤라. (1996). 모어!: 소녀 및 여성잡지에서의 새로운 섹슈얼리티. 제임스 커런 외 편. 대중문화와 문화 연구. (1999). 서울: 한울. 316-358 

  13. 몰르. 아브라함. (1971). 키치란 무엇인가. 염광현 옮김 (1995). 서울: 시각과 언어 

  14. 박수진, 박길순. (2003). 남성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내용특성 및 소비 가치 분석. 분석 53(8), 53-63 

  15. 신명품주의 'Masstige' 전방위로 확산. (2004, 1). 패션비즈, 116-120 

  16. 원용진. (2000). 성에 대한 편견과 왜곡된 재현, 그 상징적 폭력의 폭로. 광고정보, 230, 74-79 

  17. 원용진 (2002) 신자유주의 시대의 광고전략. 디자인문화비평.05. 서울 안그라픽스. 108-123 

  18. 유난희. (2003). 명품 골라주는 여자. 서울: 중앙 M&B 

  19. 이동연. (2002). 상품미학 비판과 감수성의 정치. 문화과학, 29, 73-88 

  20. 이의정, 양숙희. (1998) 페티시즘. 서울: 경춘사 

  21. 이영자. (1996). 소비사회와 여성문화. 한국여성학, 12(2), 43-77 

  22. 이영자. (2000). 소비자본주의사회의 여정과 남성. 서울: 나남 

  23. 정은숙, 김선우. (2002). 히피 패션이 보보스 패션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 52(2), 45-57 

  24. 조진애. (2002). 이것이 명품이다. 서울: 시지락 

  25. 최선형. (2001).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9(6), 842-854 

  26. 하수진. (2003). 해외명품 소비자의 세분화 및 양면적 소비 행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황지영. (1999). 패션과 패션광고의 의미분석-바르뜨의 패션의복의 구조개념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신문방송과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Baudriard, Jean. (1998). 소비의 사회. 임은영 옮김.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29. Brooks, David. (2000). 디지털 시대의 보보스. 형선호 옮김 (2001). 서울: 동방미디어 

  30. Hebdige, Dick. (1993). Subculture: The meaning of style. 이 동연 옮김 (1998). 서울: 현실문화연구 

  31.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1989). 2nd Ed., Oxford Clarendon Press 

  32. Twitchell, James B. (2002). Living it up: Our love affair with luxury. 최기철 옮김 (2003). 서울: 미래의 창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