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산가공 부산물인 fish frame을 기능성 지질 추출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6종의 fish frame(붉은메기, 연어. 삼치, 고등어, 붕장어, 가다랑어 등)에 대한 지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Fish frame에 대한 어류 뼈의 수율은 가다랑어가 64.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연어(57.9%), 붕장어(54.6%), 붉은 메기(42.0%), 삼치(41.7%)등의 순이었으며, 고등어가 32.6%로 가장 낮았다. 어류 뼈 유래 총 지질 중 중성 지질의 함량은 삼치가 23.3g/100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붕장어 (21.5 g/100 g), 연어 (16.0 g/100 g), 고등어 (15.5 g/100 g)의 순이었으며, 가다랑어와 붉은 메기의 경우 다른 4종의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낮았다. 붉은 메기를 제외한 5종 어류의 중성지질 모두가 근육 및 뼈 지방에 관계없이 TG가 주성분(근육지방, 71.9-83.2%; 뼈지방, 74.2-86.9%)이었고, 다음으로 근육지방의 경우, FFA(8.1-19.2%), 뼈지방의 경우 FS(5.5-l5.5%)이었다. 붉은 메기의 경우, 중성지질의 주성분인 TG의 조성비(근육지방, 48.6%; 뼈지방, 45.3%)가 다른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낮았고, FFA의 조성비 또한 근육지방(41.6%) 및 뼈지방 (43.4%)에 관계없이 모두 5종의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높았다. 어류 뼈의 중성 지질의 EPA+DHA 조성은 연어 가 2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가다랑어(27.1%), 붉은 메기(27.0%), 고등어(25.7%), 삼치(21.6%)의 순이었고, 붕장어의 경우 14.9%에 불과하였다. 이상의 수율, 중성지질 함량, 유리지방산 조성 및 EPA+DHA 조성 비율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기능성 지질 추출원으로는 연어가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삼치, 붕장어, 고등어, 가다랑어 등의 순이었으며, 붉은 메기의 경우 부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pid characteristics of 6 species of fish frame (armored weasel-fish, AW; chum salmon, CS; spanish mackerel, SM; common mackerel, CM; conger eel, CE and skipjack tuna, ST) were studied by determining total lipid (TL) contents, lipid class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highest yield of bone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근년에 집단급식 소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연안산 삼치 , 고등어 및 붕장어의 frame, fillet 원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원양산 붉은 메기 frame, 훈제품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는 원양산 연어 frame 및 통조림의 원료로 이용 되고 있는 가다랑어 frame과 같은 6종의 fish frame으로부터 기능성 지질을 추출하여 고도 이용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 으로서 이들의 지질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고, 아울러 근육 지질과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im SK, Park PJ, Kim GH. 2000. Preparation of sauce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cod frame prote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635-641 

  2. Wendel AP. 1999. Recovery and utilization of Pacific whiting frame meat for surimi production. PhD Dissert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USA 

  3. Kim JS, Choi JD, Koo JG. 1998.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fish bone as a food source. Agric Chem Biotechnol 41: 67-72 

  4. Kim JS, Yang SK, Heu MS. 2000.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ooking tuna bone as a food resource. J Korean Fish Soc 33: 38-42 

  5. Shizuki O. 1981. Fish bone. New Food Industry 23: 66-72 

  6. Lee CK, Choi JS, Jeon YJ. Byun HG, Kim SK. 1997. The properties of natural hydroxyapatite isolated from tuna bone. J Korean Fish Soc 30: 652-659 

  7. Watanabe H, Takewa M, Takai R, Sakai Y. 1985. Cooking rate of fish bone. Bull Japan Soc Fish 54: 2047-2050 

  8. Tsutagawa Y, Hosogai Y, Kawai H. 1994. Comparison of mineral and phosphorus contents of muscle and bone in the wild and cultured horse mackerel. J Food Hyg Soc Japan 34: 315-318 

  9. Kim JS, Cho ML, Heu MS. 2000. Preparation of calcium powder from cooking skipjack tuna bone and its characteristics. J Korean Fish Soc 33: 158-163 

  10. Kim JS, Park JW. 2004. Characterization of acid-soluble collagen from Pacific whiting surimi processing byproducts. J Food Sci 69: C637-642 

  11. Carpo C, Himelbloom B. 1994. Quality of mince from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rnrna) frames. J Aqua Food Prod Tech 3: 7-17 

  12. Benjakul S. 1997. Utilization of wastes from Pacific whiting surimi manufacturing-proteinase and protein hydrolysate. PhD Dissert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USA 

  13.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4. Bligh EG,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siol 37: 911-917 

  15. Juaneda P, Rocquelin G. 1985. Rapid and convient separation of phospholipid and nonphosphorus lipids from rat heart using silica cartridge. Lipids 20: 40-41 

  16. 藤野安彦. 1980. 脂質分析法入門. 學會出版センタ一. 東京. p 108 

  17. Kim JS, Yeum DM, Kang HG, Kim IS, Kong CS, Lee TG, Heu MS. 2002.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for canned foods. 2nd ed. Hyoil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76-277 

  18. Zama K. 1970. Oxidation of the phospholipids of aquatic animals, in symposium on oxidation of marine animal lipids. Bull japan Soc Sci Fish 36: 867-868 

  19. Bosund I, Granrot B. 1969. Lipid hydrolysis in frozen baltic herring. J Food Sci 34: 13-17 

  20. Kim JS, Ha JH, Lee EH. 1997. Refining of squid viscera oil. Agric Chem Biotechnol 40: 294-300 

  21. Oh KS, Lee EH. 1988.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powdered Katsuobushi and its flavor constituents. 2. Lipid components of powdered Katsuobushi. Bull Korean Fish Soc 22: 19-24 

  22. Jeong BY, Moon SK, Choi BD, Lee JS. 1999. Seasonal variation in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12 species of Korean fish. J Korean Fish Soc 32: 30-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