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톨 페스큐의 성숙종자로부터 효율적인 캘러스 배양 및 식물체 재분화
Efficient Callus Culture and Plant Regeneration from Mature Seed of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원문보기

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32 no.3, 2005년, pp.187 - 193  

김도현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이동기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이상훈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우현숙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이기원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최명석 (경상대학교 산림자원과학부) ,  이병현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톨 페스큐의 최적 조직배양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성숙종자로부터 최적 배발생 캘러스유도조건 및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 체계를 확립하였다. 배발생 캘러스는 6 mg/L 2,4-D와 0.1 mg/L BA가 첨가된 MS배지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유도되었으며, 식물체 재분화율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체 재분화는 배발생 캘러스를 1 mg/L 2,4-D와 3 mg/L BA가 첨가된 N6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50% 이상의 재분화율을 나타내었다. 기본배지의 종류에 따른 배양효율의 차이는 캘러스유도에는 MS배지가, 식물체 재분화에는 N6배지가 효과적이었다. 품종간 배발생 캘러스의 형성율과 식물체 재분화율은 Kentucky-31 품종이 각각 58.3%와 52%로서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내어 품종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탄소원으로는 sucrose를 첨가해주었을 때 식물체 재분화율이 55%로 증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단기간 고효율 재분화 시스템은 분자육종을 통한 신품종 톨 페스큐의 개발에 유용하게 응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n effort to optimize tissue culture conditions for genetic transformation of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an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system from seed-derived calli was established. MS medium containing 6 mg/L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4-D) and 0.1 mg/L benzyladeni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톨 페스큐의 성숙종자로부터 캘러 스유도 조건 및 고효율 재분화 조건을 확립함으로써 외 래 의 유용유전자 도입에 의한 고품질 신품종 톨 페스큐를 생 산할 수 있는 기반을 확립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i Y, Qu R (2000) An evaluation on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of 25 turf-type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cultivars. Grass Forage Sci 55: 326-330 

  2. Buckner RC, Powell JB, Frakes RV (1979) Historical development. In: Buckner RC and Bush LP (eds), Tall Fescue. Agronomy 20, Am Soc of Agronomy, Madison, pp 1-8 

  3. Chaudhury A Rongda Q (2000)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of turf-type Bermuda grass: effect of 6-benzyladenine in callus induction medium. Plant Cell Tiss Org Cult 60: 113-120 

  4. Chu CC, Wang CS, Sun CC, Hsu C, Yin KC, Chu CY, Bi FY (1975)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medium for anther culture of rice through comparative experiments on the nitrogen sources. Scienta Sinic 18: 659-668 

  5. Eizanga G C. Dahleen LS (1990) Callus production, regeneration and evaluation of plants from cultured inflorescences of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Plant Cell Tiss Org Cult 22: 7-15 

  6. Fieser BG Vanzant ES (2004) Interactions between supplement energy source and tall fescue hay maturity on forage utilization by beef steers. J Animal Sci 82: 307-318 

  7. Forster JW, Spangenberg G (1999) Forage and turf grass biotechnology: principles, methods and prospects. In: Setlow JK (ed), Genetic engineering: principles and methods, Vol 21,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w York, pp 191-237 

  8. Griffin JD, Dibble MS (1995)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from seed-derived callus cultures of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Plant Cell Rep 14: 721-724 

  9. Lee SH, Lee DG, Kim JS, Lee BH (2003) High-frequency plant regeneration from mature seed-derived callus culture of orchardgrass. Kor J Plant Biotech 30: 341-346 

  10. Lowe KW, Conger BV (1979) Root and shoot formation from callus cultures of tall fescue. Crop Sci 19: 397-400 

  11. McKersie BD (1997) Improving forage production systems using biotechnolgy. In: McKersie BD and Brown DCW (eds), Biotechnology in Agriculture Series, No. 17,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pp 3-21 

  12. Murashige T, Skoog F (1962) A revise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 15: 473-497 

  13. Schenk RU, Hildebrandt AC (1972) Medium and techniques for induction and growth of monocotyledonous and dicotyledonous plant cell cultures. Can J Bot 50: 199-204 

  14. Sleper DA (1985) Breeding tall fescue. J Plant Breeding Rev 3: 313-342 

  15. Spangenberg G, Wang ZY, Potrykus (1998) Biotechnology in forage and turf grass improvement. In: Frankel et al (eds), Monographs on theoretical and applied genetics, Vol. 23, Springer Verlag, Heidelberg, pp 192-210 

  16. Van Wijk AJP, Boonman JG, Rumball W (1993) Achievements and prospectives in the breeding of forage grasses and legumes. In: Baker MJ (ed), Grasslands for our world, SIR, Wellington, pp 116-120 

  17. Vasil V, Vasil IK (1984) Induction and maintanance of embryogenic callus cultures of Gramineae. In: Vasil IK (ed), Cell culture and somatic cell genetics of plants, Vol 1, Academic Press, Orlando, pp 36-42 

  18. Wang ZY, Nagel J, Potrykus I, Spangenberg G (1993) Plants from cell suspension-derived protoplasts in Lolium species. Plant Sci 94: 179-1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