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학관련 선 그래프를 해석하는 고등학생들의 발성사고 과정 분석
Analysis of Interpretation Processes Through Readers' Thinking Aloud in Science-Related Line Graph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5 no.2, 2005년, pp.122 - 132  

김태선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  김범기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선 그래프는 막대그래프와 달리 각 변인들의 변화에 기인한 경향을 보여준다. 따라서 선 그래프로부터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 그래프 도식을 지닌 학생들이 선 그래프를 읽고 해석할 때 선 그래프 도식을 지니지 못한 학생들과 비교하여 어떠한 사고과정을 거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발성사고를 통하여 고등학생틀의 선 그래프 이해 수준과 선 그래프 유형에 따라 선 그래프를 읽는 사고 과정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동일하게 주어진 시간 동안에 상위 그룹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하위 그룹에 속하는 학생들보다 더 많은 문장을 발성사고하였으며, 하위 그룹의 학생들과 달리 적응단계에서 선 그래프의 유형, 경향, 라벨 등을 파악하는데 오랜 시간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위그룹의 학생들은 하위그룹의 학생들보다 초인지적인 문장을 발성사고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선 그래프 도식을 지닌 학생들과 단순히 일반적인 그래프 도식을 지닌 학생들을 구별하고 그에 따라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달리하는 융통성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aphing abilities are critical to understand and convey information in science. And then, to what extent are secondary students in science courses able to understand line graphs? To find clues about the students' interpretation processes of the information in science-related line graphs, this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선 그래프로부터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 은선 그래프 도식을 지닌 학생들이 선 그래프를 읽고 해석할 때 선 그래프 도식을 지니지 못한 학생들과 비교하여 어떠한 사고과정을 거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발성 사고를 통하여 고등학생들의 선 그래프 이해 수준과 선 그래프 유형에 따라 선 그래프를 읽는 사고 과정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동일하게 주어진 시간 동안에 상위 그룹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하위 그룹에 속하는 학생들보다 더 많은 문장을 발성사고하였으며, 하위 그룹의 학생들과 달리 적응단계에서 선 그래프의 유형 경향, 라벨 등을 파악하는데 오랜 시간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언주(1991). 인지심리학. 정음사 

  2. 김영채 역(1997). 인지심리학-이론과 적용-. 박영사 

  3. 김태선(1998). 고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그래프 해석 능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태선, 김범기(2002). 중고등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 및 해석 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68-778 

  5. 김태선, 배덕진, 김범기(2002).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25-739 

  6. 문충식, 김범기(1998). 선 그래프 해석과 이해의 지각.인지 과정에 관한 모형-힘과 운동 관련 선 그래프를 중심으로-. 물리교육, 16(2), 72-82 

  7. 성태제(1995). 타탕도와 신뢰도. 양서원 

  8. Beichner, R. J.(1990). The effect of simultaneous motion presentation and graph generation in a kinematics lab,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8), 803-815 

  9. Berg, C. A., & Phillips, D. G.(1994).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ogical thinking structures and the ability to construct and interpret line graph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4), 323-344 

  10. Berg, C. A. & Smith, P.(1994). Assessing students' abilities to construct and interpret line graphs: Disparities between multiple-choice and free - response instruments. Science Education, 78(6), 527-554 

  11. Bertin, J.(1983). Semiology of graphics: Diagrams networks maps(W. Berg, Trans.).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Madison, WI. (Original work published 1973) 

  12. Brasell, H. M.(1990). Graphs, Graphing, and Graphers. In M. B. Rowe(Ed.),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6, 69-85. D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Washington 

  13. Brasell, H. M., & Rowe, M. B.(1993). Graphing skills among high school physics student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2), 63-70 

  14. Breit, F.(1987). Graphing is elementary. Science and Children, May, 20-22 

  15. Clement, J., Mokros, J. R., & Schultz, K.(1986, April). Adolescents' graphing skills: A descriptive analysi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ED 264127 

  16. Cohen, D.(1984). Graphing as a problem-solving strategy. Mathematics and Computer Education, 18, 21-29 

  17. Fisher, M. A.(1992). Categorization, or schema selection in graph comprehension. 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a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ED 347176 

  18. Jones, R. W., Warner, J. W., & Fankhauser, S. G.(1999). Investingating Student Understanding of Graphs: A Successful Methodology and Results of a Study,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Boston 

  19. Kim, Tae-Sun & Kim, Beom-Ki.(2002a). Posing students cognitive processes for the line graph. An oral presented at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s Teachers(125th) 

  20. Kim, Tae-Sun & Kim, Beom-Ki.(2002b). Secondary students cognitive processes for the line graph from graph components. Paper presented at the Physics Education Research of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s Teachers(125th) 

  21. Kim, Tae-Sun, Kim, Eun-Mi, & Kim, Beom-Ki.(2002). Students' reading order and viewing time in the line graph. Proceedings of selected research papers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hysics Education in Cultural Contexts 

  22. Lohse, G. L.(1993). A cognitive model for understanding graphical perception. Human-Computer Interaction, 8, 353-388 

  23. McDermott, L. C., Rosenquist, M. L., & van Zee, E. H.(1987). Student difficulties in connection graphs and physics: Examples from kinematic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55(6), 503-513 

  24. McKenzie, D. L., & Padilla, M. J.(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Test of Graphing in Science(TOG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Dallas 

  25. McKenzie D., Padilla, M., & Shaw, E. L.(1986). An examination of the line graphing ability of students in grades seven through twelv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6(1), 20-26 

  26. Mokros, J. R., & Tinker, R. F.(1987). The impact of microcomputer - based labs on children's ability to interpret graph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4(4), 369-383 

  27. Nachmias, R., & Linn, M. C.(1987). Evaluations of science laboratory data: The role of computer-presented inform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4(5), 491-506 

  28. Pinker, S.(1983). Pattern Perception and the Comprehension of Graphs,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Rept. 1-46 

  29. Pinker, S.(1991). Rules of language. Science, 253, 530-535 

  30. Reynolds, R. E., & Baker, D. R.(1987). The utility of graphing representations in text: Some theoretical and Empirical issu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4(2), 161-173 

  31. Roth, W-M., Bowen, G. M., & McGinn, M. K.(1999). Differences in Graph-Related Practices betwee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and Scientific Ecology Journa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977-1019 

  32. Schuotz, W., & Kulhary, R. W.(1994). Comprehension of Graphics. North-Holland Elsevier Science B. V. The Netherlands 

  33. Shah, P.(1995). Cognitive processes in graph comprehension. Doctoral dissertation, Carnegie - mellon university (UMI Dissertation services NO. 9622441) 

  34. Shavelson, R. J., Webb, N. M., Shemesh, M., & Yang, J.(1988). Translation among symbolic representations in problem-solving. Revision of 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in Washington, D. C. ED 301451 

  35. Wavering, M. J.(1989). Logical reasoning necessary to make line graph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5), 373-379 

  36. Winn, W.(1980). The effect of block-word diagrams on the structuring of science concepts as a function of general abil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7(3), 201-2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