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캐모마일(Martricaria chamomilla L.)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Chamomile (Matricaria chamomilla L.)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4, 2005년, pp.446 - 450  

조영제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윤소정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정환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천성숙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 L.)을 성인병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phenol 함량은 열수추출물이 $23.64{\pm}0.35\;mg/g$이었으며, $60\%$ 알콜추출물은 $24.98{\pm}0.20\;mg/g$으로 $60\%$ 알콜추출물의 phenol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캐모마일의 HPLC 분석 결과 생리활성 효과가 높은 rosemarinic acid, quercetin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보아 생리활성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각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DPPH가 열수추출물과 $60\%$ 알콜추출물이 각각 $91.05\%$$95.49\%$로 높게 나타났고,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는 열수추출물이 $0.71\pm0.02$로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 화력은 낮았으나, $50\%$ 알콜추출물은 $1.48\pm0.03$으로 높은 PF를 나타내어 열수추출물보다는 $60\%$ 알콜추출물이 지용성에 대한 항산화력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elicobater pylori에 대한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열추추출물의 경우 clear zone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60\%$ 알콜추출물의 경우 $200{\mu}g/mL$ mL의 농도일 때 9.42 mm의 clear zone이 관찰되어 $60\%$ 알콜추출물에서만 낮은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CE 저해효과는 열수추출물이 $87.98\%,\;60\%$ 알콜추출물이 $91.36\%$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높은 고혈압 효과를 나타내었다. XOase에 대한 억제효과는 열수추출물이 $73.48\%,\;60\%$ 알콜추출물이 $81.96\%$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XOase에 대한 높은 저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캐모마일의 $60\%$ 알콜추출물이 항산화제, 고혈압 및 항관절염 소재로의 개발이 기대되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iological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Chamomaile for functional food source were examined. Total phenol contents in the $60\%$ ethanol extracts $(24.98\pm0.20\;mg/g)$ from Chamomaile leaf was higher than those of water extracts $(23.64\pm0.35\;mg/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assay systems를 사용하여 캐모마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함과 동시에 만성퇴행 성질 환의 예방과 노화 억제를 위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페놀성 화합물은 식품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 산물의 하나로서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지며 , 이 들은 phenolic hydroxyl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백질 등의 거대 분자들과 결합하는 성질을 가지며, 항산화, 항균 생물 활성 효과 등의 생리 활성 기능(14)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추출물에 함유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캐모마일 추출물의 phenol 함량을 측정 한 결과 Table 1과 같이 열수 추출물은 23.
  • 캐모마일(Me?成oaria chamomilla L.)을 성인병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마 l enol 함량은 열수 추출물이 2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iquel J, Quintaniha AT, Weber H. 1989. Handbook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biomedicine. CRC Press, Boca Raton, USA. Vol I, p 223 

  2. Aruoma OI. 1998. Free radical,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wease. J Am Oil Chem Soc 75: 199-212 

  3. Brieskom CH, Fuch A, Bredenberg JB, McChensney JD, Wenkert E. 1964. The structure of carnosol. J Org Chem 29: 2293-2297 

  4.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5. Choi U, Shin DH, Chang YS, Shin JI. 1992.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s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42-148 

  6. Mamm C, Staba E. 1986. Herbs, spices and medical plants. ?In Recent advances in botany, horticulture and pharmacology. Food Products Press, New York, USA. Vol 1, p 235-280 

  7. Lawrence MB, Tobacco RJR. 1996. Progress in essential oil. Perfumer and Flavorist 21: 55-68 

  8. Villegas LF, Marcalo A, Martin J, Fernadez ID, Maldonade H, Vaisberg AJ, Hammond GB. 2001. (+)-epi- $\alpha$ -Bisabolol is the wound-healing principle of Peperomia galioides: investigation of the in vivo wound-healing activity of related terpenoids. J Nat Prod 64: 1357-1359 

  9.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1. Andarwulan N, Fariaz D, Wattimena GA, Shetty K. 1999. Antioxidant activity associated with lipid and phenolic mobilization during seed germination of Pangium edule Reinw. J Agric Food Chem 47: 3158-3163 

  12. Cushman DW, Cheung HS, Sabo EF, Ondetti MA. 1977. Design of potent competitive inhibitors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Carboxylalkanoyl and mercaptoalka noyl amino acids. Biochem 16: 5484-5492 

  13. Stirpe F, Corte D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58 

  14. Cuvelier ME, Richahard H, Berset C. 1998.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composition of pilot plant and commercial extracts of sage and rosemary. J Am Oil Chem Soc 73: 645-652 

  15. Clark AM, El-Feraly FS, Li WS. 1981. Antimicrobial activity of phenolic constituents of Magnolia grandiflora L. J Pharm Sci 70: 951-952 

  16. Shetty K. 2001. Biosynthesis and medical applications of Rosmarinic acid. J Herbs Spices & Medicinal Plants 8: 161-181 

  17. Hertong MCL, Feskens EJM, Hoffman PCH, Katan MB, Kromhout D. 1993.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Zutphen Elderly Study. Lancet 342: 1007-1011 

  18. Torel J, Gillard J, Gillard P. 1986.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Phytochemistry 25: 383-385 

  19.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20. Soffer RL. 1976.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nd the rela gulation of vasoactive peptides. Ann Rev Biochem 45: 73-78 

  21. Stewart JM, Ferreira SH, Greene LJ, 1971. Bradykinin potentiating peptide PCA-Lys-Trp-Ala-Pro. An inhibitors of the pulmonary inactivation of bradykinin and convertion of angiotensin I to II. Biochem Pharmacol 20: 1557-1567 

  22. Petrillo EW, Ondetti MA. 1982.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Medicinal chemistry and bioloical actions. Med Chem and Biol Act Med Res Rev 2: 1-6 

  23. Funayama S, Hikono H. 1979. Hypotensive principles of Diospyros kaki leaves. Chem Pharm Bull 27: 2865-2868 

  24. Storch J, Feber E. 1988. Detergent-amplified chemiluminescence of lucigenin for determination of superoxide anion production by NADPH oxidase and xanthine oxidase. Anal Biochem 169: 262-2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