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DT작업 은행원들의 피로자각증상 조사
Fatigue Subjective Symptoms and Risk Factors in Bank Workers with VDT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38 no.1, 2005년, pp.45 - 52  

이경재 (순천향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  김주자 (순천향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fatigue subjective symptoms and VDT related risk factors in bank workers. Methods : A total of 2178 workers (62.8% male, 37.2% female) were surveyed with a self-administered and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30 fatigue symptoms and other VDT related factors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I증상군 '졸립고 나른함', II 증상 군, 주의집중의 곤란, , 皿증상군, 신체 부위의 피로'룰 내용으로 구성된 피로 자각증상 조사표룰 이용하여 은행원둘울 대상으로 西T작업에 따른 위 험요인과 피로 자각증상과의 관계룰 살펴본 것이다. 본 조사표는 일본 산업위생학회 산업 피로 연구회 同에서 제시한 피로 자각 증상조사표로서 많은 연구에서 유용한 도구로 권장되고 있다.
  • 본 연구는 VDT 작업자의 피로도룰 알아보기 위하여 위에서 정의된 피로의 요소 [1] 중 고단하다는 주관적 느낌울 중심으로 은행 근로자둘울 대상으로 피로 자각증상설문지룰 이용하여 컴퓨터 작업으로 인한 피로 상태룰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위 험요인둘 즉, 업무관련 인적 요인, 작업 특성에 따른 요인, 작업 자세에 따른 요인, 작업환경 에 따른 요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요인 등과의 관련성울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조규상 산업보건학. 수문사; 1991 p.107-114 

  2. 대한예방의학회. 예방의학과공중보건. 계축문화사; 2001 p.206-211 

  3. Dainoff MJ, Happ A, Crane P. Visual fatigue and occupational stress in VDT operators. Human Factors 1981; 23(4): 421-437 

  4. Saito K. Measurement of fatigue in industries. Ind Health 1999; 37(2): 134-142 

  5. Grandjean E. Fatigue in industry. Br J Ind Med. 1979; 36(3): 175-186 

  6. 日本産業衛生學會. 産業疲勞?究曾. 産業疲勞ハントフシク東京. 勞動基準調査曾. 1988 pp164-175 

  7. 館正知, 土屋健三?, 野村茂, 高田?. 産業醫學叢論.臨床産業醫學全書1.??葉出版 株式曾社; 1988 p.195-199 

  8. Park KY, Bak KJ, Lee JG, Lee YS, Roh JH. Factors affecting the complaints of subjective symptoms in VDT operators. Korean J Occup Med 1997; 9(1): 156-169 (Korean) 

  9. Lee HJ, Kim TJ, Chum CI, Koo JW, Chung CK.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in pharmacists. Korean J Occup Med 1997; 9 (1): 26-39 (Korean) 

  10. Koo JW, Lee SH. Industrial fatigue due to banking operations with VDT. Korean J Prev Med 1991; 24(3): 305-313 (Korean) 

  11. Nakazawa T, Okubo Y, Suwazono Y, Kobayshi E, Komine S, Kato N, Nogawa K. Asoociation between duration of daily VDT use and subjective symptoms. Am J Ind med 2002; 42(5): 421-726 

  12. Knave BGa, Wibom RI, Voss M, Hedstrom LD, Bergqvist UO. Work with video display terminals among office employees. I. Subjective symptoms and discomfort.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85; 11(6): 457-466 

  13. Kim JJ, Lee KJ. Screening for the VDT workers in a bank: A baseline study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for VDT syndrome. Soonchunhyang J Ind Med 2003; 9(1): 73-86 

  14. Boos SR, Calissendorff BM, Knave BG, Nyman KG, Voss M. Work with video display terminals among office employees. III. Ophthalmologic facto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85; 11(6): 475-481 

  15. Bergqvist UO, Knave BG. Eye discomfort and work with visual display terminal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4; 20(1): 27-33 

  16. Travers PH, Stanton BA. Office workers and video display terminals: physical, psychological and ergonomic factors. AAOHN J 2002; 50(11): 489-493 

  17. Gobba FM, Broglia A, Sarti R, Luberto F, Cavalleri A. Visual fatigue in video display terminal operators: objective measure and relation to environmental conditions. Int ArchOccup Environ Health 1988; 60(2): 81-87 

  18. Lie I, Watten RG. VDT work, oculomotor strain, and subjective complaints: an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y. Ergonomics 1994; 37(8): 1419-1433 

  19. Takahashi K, Sasaki H, Saito T, Hosokawa T, Kurasaki M, Saito K. Combined effects of work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VDT work. Ergonomics. 2001; 44(5): 562-570 

  20. OSHA. Working Safely with Video Display Terminals. U.S. Dept. of Labor. OSHA 3092,1997(revised) 

  21. Knave BG, Wibom RI, Bergqvist UO, Carlsson LL, Levin MI, Nylen PR. Work with video display terminals among office employees. II. Physical exposure facto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85; 11(6): 467-474 

  22. Wolska A, Switula M. Luminance of the surround and visual fatigue of VDT operators. Int J Occup Saf Ergon 1999; 5(4): 553-581 

  23. Lim SY, Sauter SL, Schnorr TM. Occupational health aspect of work with video display terminals. In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Medicine 3rd ed. edited by WN Rom. Lippincott-Raven Publishers. Philadelphia, 1998 

  24. Seghers J, Jochem A, Spaepen A. Posture, muscle activity and muscle fatigue in prolonged VDT work at different screen height settings. Ergonomics 2003; 46(7): 714-730 

  25. 노동부. '영상표시단말기(VDT)취급근로자 작업관리지침' 고시 저12000-71호 노동부 2001 

  26. Balci R, Aghazadeh F. The effect of work-rest schedules and type of task on the discomfort and performance of VDT users. Ergonomics. 2003; 46(5): 455-465 

  27. Fenety A, Walker JM. Short-term effects of workstation exercises on musculoskeletal discomfort and postural changes in seated video display unit workers. Phys Ther 2002; 82(6): 578-5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