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들의 피로,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관계
The relation of fatigue, stress with quality of sleep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4, 2020년, pp.311 - 316  

정은자 (호산대학교 간호학과) ,  이유미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수면의 질을 조사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설문도구는 피로증상척도, 한글판 스트레스 자각척도, 한국판 피처버그 수면의 질 평가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면의 질 도구에서 제시한 절단점 점수를 기준으로 비숙면군과 숙면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수면의 질은 비숙면군 30.5%, 숙면군 69.5%이며, 피로는 4.39점 vs. 4.27점(t=577, p=.564), 스트레스는 22.2점 vs. 19.0점(t=3.565, p=.000), 수면의 질은 11.2점 vs. 5.7점(t=20.375, p=.000)이었다. 두 군간 수면의 질의 하위 영역 7개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비숙면군이 숙면군보다 피로가 높고, 수면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잠자리에 드는 시간과 스트레스로 설명력은 22.1%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들의 적절한 수면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계획시 잠자리에 드는 시간과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fatigue, stress and quality of sleep between good sleep quality and poor sleep quality. Fatigue, stress and quality of sleep were assessed using three questionnaires; fatigue severity scale(FSS), Perceived stress scale(PSS), and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적절한 수면 유형을 개선해야 하지만, 수면 유형에 따른 피로와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제시한 연구를 찾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비숙면 발생률과 피로, 스트레스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잠자리에 드는 시간과 스트레스가 수면의 질에 영향을 나타내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tatistics Korea. Results of social survey in 2016(Family, Education, Health, Safety, Environment). Available at: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57457.Accessed0714,2020. 

  2. Cho E, Kim JA, Kim J, Kim H, Ra E, Lee H. The Factors Influencing Employment Stres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2016;2(1):35-43. DOI: https://doi.org/10.17703/JCCT.2019.5.2.287 

  3. Kim J.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Stress Coping and Life Goals for College Freshmen.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2020;8(2):85-95.DOI: https://doi.org/10.17703/IJACT.2020.8.2.85 

  4. Yang YK.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8;25(1):58-67. DOI: https://doi.org/10.7739/jkafn.2018.25.1.58 

  5. Hong H, Kim H. Effect of academic stress, clinical practice stress, resilience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6;6:221-234. 

  6. Park H. Analysis of the fatigue concept of nurse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9;9(6):467-477. 

  7. Elflein J. U.S. college students that had felt fatigued as of fall 2019. 2020; Available at: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827009/fatigue-symptoms-among-us-college-students/.Accessed0715,2020. 

  8. Park S, Choi JY. Factors affecting Clinical Practice-related Fatigu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2):456-466.DOI: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456 

  9. Kim SJ. Recent Advances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20 Jan-1;59(1):1. DOI: https://doi.org/10.4306/jknpa.2020.59.1.2 

  10. Lee CW, Jeon S, Cho S, Kim SJ. Insufficient Sleep and Visuospatial Memory Decline during Adolescence.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19;26(1):16-22.DOI: https://doi.org/10.14401/KASMED.2019.26.1.16 

  11. Park MJ, Ryu SY, Park J, Han MA.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leeping Time and Sleep Deprivation among Som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5;40(1). 

  12. Kim KH, Kang SB.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llege Life Adjustment Scale for University Freshme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2016;10(3):253. 

  13. Jung S, Park J. Effect of Life Stress on the Sleeping Disorder of University Student.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2013;8(2):345-353.DOI: https://doi.org/10.13067/JKIECS.2013.8.2.345 

  14. Lee J, Jeong H, Lim SM, Cho HB, Ma J, Ko E,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atigue Severity Scale among University Student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biology psychiatry 2013;20(1):6-11. 

  15. Lee J, Shin C, Ko Y, Lim J, Joe S, Kim S, et a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2012;20(2):127-134. 

  16. Sohn SI, Kim DH, Lee MY, Cho Y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and Breathing 2012;16(3):803-812.DOI: 10.1007/s11325-011-0579-9 

  17. Kim G, Yoon HS.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in Nursing Students and no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13;22(4). DOI: http://dx.doi.org/10.12934/jkpmhn.2013.22.4.320 

  18. Kang S, Yong J. Effects of a Spirituality Promotion Program on Spirituality, Empathy and Stress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9;26(4):240-247. DOI: https://doi.org/10.7739/jkafn.2019.26.4.240 

  19. Kim D, Sung H, Lee J, Cho 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Scale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Using Ultrasonography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2017;49(3):308-315. DOI: https://doi.org/10.15324/kjcls.2017.49.3.308 

  20. Park M, Chung MY. Quality of Sleep and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8;16(9):187-195. DOI: https://doi.org/10.14400/JDC.2018.16.9.187 

  21. Byun J. The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with Combined Exercise on the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 in Older Women. The Korean Journal of Sport 2018;16(3):363-373. 

  22. Kim Y, Joo H, Jung S, Lee K. A Study of Early Bird Effects in Adolescents' Academic School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2013;44(3):271-290. 

  23. Kim JA, Kang SW. Relationship among Sleep Quality, Heart Rate Variability, Fatigue, Depression, and Anxiety in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7;29(1):87-97. DOI: https://doi.org/10.7475/kjan.2017.29.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