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뇌삼 열수추출액 함유 캔디제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ndy Products Added with Hot-Water Extracts of Korean Mountain Ginseng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2 no.4, 2005년, pp.336 - 343  

김준한 (상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종국 (상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뇌삼의 효능 및 품질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장뇌삼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캔디제품을 제조하고 그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캔디제품의 수분함량은 $0.41-0.88\%$ 수준이고, $15\%$ 장뇌삼추출물첨가구는 조단백질 $0.89\%$, 조지방 $0.97\%$, 조섬유 $0.18\%$, 조회분 $0.12\%$로 높은 함량이었다. 당도는 $5\%$ 장뇌삼추출물첨가제품이 $87.5\%$로 가장 높았고, pH는 $5.50{\sim}5.56$ 수준이었다. 색도는 L값의 경우는 $15\%$ 장뇌삼추출물첨가제품이 56.40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a값과 b값 경우는 $15\%$ 장뇌삼추출물첨가제품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Sucrose의 경우는 $5\%$ 장뇌삼추출물첨가구가 224.3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Malic acid는 $5\%$ 장뇌삼추출물첨가구가 51.1 mg/100 g으로 가장 많았고, tartaric acid의 함량은 $15\%$ 장뇌삼추출물첨가구가 40.3 mg/100 g으로 가장 많았다. 주된 유리아미노산으로는 arginine, serine, aspartic acidproline 등의 순으로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K의 경우는 $15\%$ 장뇌삼추출물첨가구에 209.14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EDA($\%$)는 합성항산화제인 BHA 200 ppm의 $96.81\%$이었고 캔디제품은 약 $64.28-70.88\%$항산화활성을 보였다.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기호도의 경우 $10\%$ 장뇌삼추출물제품이 3.5로 가장 높은 관능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장뇌삼추출물의 첨가는 식품학적 특성이 우수한 캔디제품을 개발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ndy products added with hot-water extract of korean mountain ginsengs as the useful food materials. Water content of the products were $0.41{\sim}0.88\%$. Candy product with $5\%$ addition showed the hig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장뇌삼에 관한 연구로서는 인삼과 장뇌삼의 생리활성물질 비교 및 세포배양 연구(4), 고려인삼과 장뇌삼의 페놀성 성분 비교 연구(5), 고려인삼과 장뇌삼의 유리 아미노산 비교(6), 추출조건이 장뇌삼추출물의 화학성분조성에 미치는 영향(7) 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뇌삼의 부가가치 증대와 농업인 및 지역 산업체의 소득증대에 기여하고, 장뇌삼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개발을 통한 기존의 인삼제품과 함께 세계적 상품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장뇌삼추출물을 함유한 캔디제품의 제조와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 장뇌삼의 효능 및 품질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장뇌삼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캔디제품을 제조하고 그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캔디제품의 수분함량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oja S., Attele, W.u. J.A. and Yuan, C.S. (1999) Ginseng pharmacology. Biochemical Pharmacology, 58, 1685-1693 

  2. Hu, S.Y. (1976) The genus panax(ginseng) in chinese medicine. Economy Botany, 30, 11-28 

  3. Lee, T.H., Kim, S.H. and Kim, D.H. (1999) Herbal and pharmacological effects of ginseng radix and strategy for future research. Korean J. Ginseng Sci., 23, 21-37 

  4. Lee, H.J. (2000) Studies on the comparis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cell cultures of panax ginseng C.A. Meyer and mountain ginseng. MS Thesis, Ajou University, Korea 

  5. Yoo, B.S., Lee, H.J. and Byun, S.Y. (2000) Differences in phenolic compounds between korean ginseng and mountain ginseng. Korean J.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15, 120-124 

  6. Lee, H.J., Yoo, B.S. and Byun, S.Y. (2000) Differences in free amino acids between korean ginsengs and mountain ginsengs. Korean J.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15, 323-328 

  7. Kim, J.H. and Kim, J.K. (2005) Effect of extracting conditions on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mountain ginseng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i., 34, 862-868 

  8. Son, M.J., Whang, K. and Lee, S.P. (2005) Development of Jelly Fortified with Lactic Acid Fermented Prickly Pea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i., 34, 408-413 

  9. Kang, M.H. (2004) Sensory Evalu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Jellies Made by Adding Different Jelling Agent Ratio in Sypjeondaebo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i., 33, 1685-1688 

  10. Lee, S.T., Lee, Y.H., Choi, Y.J., Son, G.M., Shim, K.H. and Heo, J.S. (2001)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andy using Doraji(Platycodon grandiflorum(Jacq.)). Korean J Posthavest Sci. Technol., 8, 146-150 

  1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2. Park, M.H., Sung, H.S. and Lee, C.H. (1981) Studies on the changes in the carbohydrates and color of ginseng extract during the processing and storage. Korean J. Ginseng Sci., 5, 155-162 

  13. Kim, K.C., Kim, J.S. and Park, M.H. (1993)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nseng by roasting. Korean J. Ginseng Sci., 17, 228-231 

  14. Choi, K.J., Kim, M.W., Sung, H.S. and Hong, S.K. (1980) Effect of extraction on chemical composition of red ginseng extract. Korean J. Ginseng Sci., 4, 88-95 

  15. Lee, J.H. and Lee, S.R. (1994) Anayl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in korea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16. Lee, J.H. and Lee, S.R. (1994) Anayl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in korea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17. Kim, H.J. and Joo, H.K. (1989) Change in sugar composition of ginseng extract during heat treatment. Korean J. Ginseng Sci., 13, 56-59 

  18. Oh, S.L., Kim, S.S., Min, B.Y. and Chung, D.H. (1990)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flonmm 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6-81 

  19. Lee, M.K. and Park, H. (1987) Free amino acids of xylem-pith in panax ginseng root. Korean J. Ginseng Sci., 11, 32-38 

  20. Byen, J.S., Jo, J.S., Ahn, D.J. and Lee, J.C (1998) Relationships between growth characteristics as well as mineral contents of ginseng seedlings and yield of ginseng roots. Korean J. Ginseng Sci., 22, 294-298 

  21. Lee, C.H., Shim, S.C., Park, H. and Han, K.W. (1980) Distribution and relation of mineral nutrients in various parts of korea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 Ginseng Sci., 4, 55-64 

  22. Park, H., Han, K.W., Shim, S.C. and Lee, C.H. (1980) Distribution and relation of mineral nutrients in various parts of korea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J. Ginseng Sci., 4, 49-55 

  23. Kim, H.J., Jun, B.S., Kim, S.K., Cha, J.Y. and. Cho, Y.S. (2000)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o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i., 29, 1127-1132 

  24. Zhang, H.L., Nagatsu, A., Watanabe, T., Sakakibara, J. and Okuyarna, H. (1997) Antioxidative compounds isolated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oil cake. Chem. Pharm. Bul., 45, 1910-1914 

  25. Torel, J., Cillard, J. and Cillard, P. (1988)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Phytochem., 25, 383-386 

  26. Byun MW, Ahn HJ, Yook HS, Lee JW, Kim DJ. 2000. Quaility evaluation of jellies prepared with refined dietary fiber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64-67 

  27. Heo HY, Joo NM, Han YS. 2004. Optimization of jelly with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112-118 

  28. Kim, I.C. (1999) Manufacture of Citron Jelly Using the Citron-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i., 28, 396-4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