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캔디의 항산화활성과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C. boreale M., and C. zawadskii K. Flowers Cand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0, 2009년, pp.1406 - 1413  

이상훈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인국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하규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신소림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장영득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이철희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국, 산국구절초 열수추출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캔디를 제조하고 이들의 품질특성과 항산화특성 및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색도의 경우 추출물의 첨가량의 증가와 함께 L값(명도)은 감소하였고,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은 증가하였다. pH의 경우 감국, 산국 및 구절초 캔디는 각각 5.81$\sim$5.92, 5.77$\sim$5.85 및 5.83$\sim$5.94로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수분함량도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용해도는 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경도는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총 항산화력은 추출물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구절초 캔디가 각각 0.815$\sim$2.706 mg/g, 0.147$\sim$0.856 mg/g, 15.217$\sim$76.236% 및 0.514$\sim$3.167 mg AA eq/g으로 감국 및 산국 캔디보다 높았다. 관능평가 결과 색은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향의 경우 감국 캔디는 15% 첨가구, 구절초 캔디는 10% 첨가구에서 각각 5.20과 5.35로 높게 평가되었다. 맛의 경우 산국 캔디는 추출물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감국과 구절초 캔디의 경우는 10% 첨가구에서 각각 5.30과 5.60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직감은 경도가 낮을수록 낮은 점수를 얻었다.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감국과 구절초 캔디의 경우 10% 첨가구에서 각각 5.75와 6.00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점수를 받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ndies prepared with Compositae species flower extracts, the samples of Chrysanthemum indicum Linne (CI), C. boreale Makino (CB), and C.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CZ)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concentrated, and then add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화과 식물의 부가가치와 이용범위를 증대시키고, 보다 다양한 가공제품 개발의 일환으로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추출물을 이용한 캔디를 제조하고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른 캔디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Each sensory evaluation score was 1 for dislike extremely and 7 for like extremely.
  • See the Table 2.

    2)The concentrations of extracts and candies are 1 and 50 mg/mL, respectivel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국, 산국 및 구절초 열수추출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캔디를 제조하고 이들의 품질특성과 항산화특성 및 관능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감국, 산국 및 구절초 열수추출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캔디를 제조하고 이들의 품질특성과 항산화특성 및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색도의 경우 추출물의 첨가량의 증가와 함께 L값(명도)은 감소하였고,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은 증가하였다. pH의 경우 감국, 산국 및 구절초 캔디는 각각 5.81~5.92, 5.77~5.85 및 5.83~5.94로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수분함량도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용해도는 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경도는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총 항산화력은 추출물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구절초 캔디가 각각 0.815~2.706 mg/g, 0.147~0.856 mg/g, 15.217~ 76.236% 및 0.514~3.167 mg AA eq/g으로 감국 및 산국 캔디보다 높았다. 관능평가 결과 색은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 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향의 경우 감국 캔디는 15% 첨가구, 구절초 캔디는 10% 첨가구에서 각각 5.20과 5.35로 높게 평가되었다. 맛의 경우 산국 캔디는 추출물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감국과 구절초 캔디의 경우는 10% 첨가구에서 각각 5.30과 5.60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직감은 경도가 낮을수록 낮은 점수를 얻었다.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감국과 구절초 캔디의 경우 10% 첨가구에서 각각 5.75와 6.00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점수를 받았다.
구절초는 예로부터 어떤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는가? ) Kitam)는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로 꽃이 단아하고 아름다워 경관 조성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생약의 전초는 구절초의 줄기와 잎을 말린 것을 말하며 예로부터 월경불순, 자궁냉증, 불임증, 위냉 등의 부인병과 치풍, 위장병 등에 사용되어왔다(11). 또한 최근에는 구절초의 ethylacetate, water 분획물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보고되었고(12), 물 추출물에서도 비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보고된 바 있다(13).
감국 꽃은 한의학에서 어떤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가? 감국(Chrysnathemum indicum linne)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의 산간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야생국화로 예로부터 국화 주로 제조하여 궁중에서는 국화주로 마셔왔고 민가에서는 고혈압 환자들이 약술로 애용하여 왔다(1). 한의학에서는 감국 꽃이 해열, 소염 및 혈압 저하작용이 있으며(2), 신경쇠약에 의해서 일어나는 두통과 결핵균 및 각종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효과 등의 약효가 알려져 있다(3,4). 감국의 주요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인 luteolin, apigenin 및 acacetin, sesquiterpene lactone 화합물인 cumambrin A 및 B, arteglasin A, angeloyljadin 등이 알려져 있으며(5), luteolin에 대한 항염증 및 항암활성(6), sesquiterpene lactone류 화합물에 대한 항균활성이 연구되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an SM. 2005. Studies on the functional components and cooking aptitude for medicinal tea of Chrysanthemum indicum L. Ph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p 1. 

  2. Shin GC, Shin YC. 1992. New our talk large a dictionary. Samsung publishing company, Seoul, Korea. p 68. 

  3. Choi YJ. 1992. Korea folk vegetation. Academy books, Seoul, Korea. p 53. 

  4. You TJ. 1995. Food a handbook. Seowoo, Seoul, Korea. p 58. 

  5. Ryu SY, Choi SU, Lee SH, Ahn JW, Zee OP. 1994. Antitumor activity of some phenolic components in plants. Arch Pharm Res 17: 42-44. 

  6. Yoshikawa M, Morikawa T, Toguchida I, Harima S, Matsuda H. 2000. Medicinal flowers. Ⅱ. Inhibitors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absolute stereostructures of five new germacrane-type swsquiterpenes, Kikkanols D, D monoacetate, E, F and F monoacetate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indicum L.. Chem Pharm Bull 48: 651-656. 

  7. Mladenova K, Tsankova E, Stoianova-ivanova B. 1985. Sesquiterpene lactones from Chrysanthemum indicum. Planta Med 51: 248-285. 

  8. Kim JW. 1978. In a study of Chrysanthemum sinense sabine. Korean J Pharmacog 9: 52-53. 

  9. Choi YJ. 1992. Korean Popular Customs Plants. Academic Press Int., Seoul, Korea. p 53. 

  10. Danbensky R, Andrew G. 1986. Chinese herbal medicine . Eastland Press, Seattle, USA. p 59. 

  11. Woo JH, Lee CH. 2008. Effects of harvest date on antioxidant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and D. zawadskii var. yezoense (Maek.). Korean J Plant Res 21: 128-133. 

  12. Son JC, Park NK, Hur HS, Bang MH, Baek NI. 2000. Examination and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nats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 Crop Sci 8: 94-101. 

  13. Lee SH, Lee JS. 2007.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tidandruffy compound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5: 220-225. 

  14. Shin YJ. 1999. Chemical composition of gamku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mkugsulgie-dduk. PhD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gsan, Korea. 

  15. Park NY, Lee GD, Jeong YJ, Kim HK, Kwon JH. 1998. Optimization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petal. Korean J Soc Food Sci Technol 30: 523-528. 

  16. Konta F. 1991. Flowers as food and flower-eating culture. Nippon Shokuhim Kogyo Gakkaishi 38: 874-877. 

  17. Kwon JH, Woon HS. 1992. Nutritive value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protein concentrates fractionated from acacia flower (Robinia psseudo-acacia). Foods Biotechnol 1: 50-53. 

  18. Park NY, Lee KD, Jeong YJ, Kwon JH. 1998.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borea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585-590. 

  19. Choi SH, Im SI, Bae JE. 2006. Analysis of aroma components from flower tea of German chamomile and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768-773. 

  20. Yu JS, Hwang IG, Woo KS, Chang YD, Lee CH, Jeong JH, Jeong HS.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ry santhemum indicum L. flower tea according to different pan-firing ti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97-302. 

  21. Kim JY, Yi YH. 2008. pH, acidity, color, reducing sugar, total sugar, alcoho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ffed rice powder added wheat flour Takju during fermentation. Food Engineering Progress 12: 71-77. 

  22. Lee NJ, Lee SJ, Shin YM. 2006. Effect of heating conditions on physical properties of model hard candy. Food Engineering Progress 10: 125-130. 

  23. Dewanto V, Xianzhong,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24.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2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3. 

  26. Jeong JS, Kim ML. 2008. Quality evaluation of citrus jelly prepared using concentrated citrus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174-181. 

  27. Lee ST, Lee YH, Choi YJ, Son GM, Shim KH, Heo JS. 2001.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andy using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Korean J Posthavest Sci Technol 8: 146-150. 

  28. Mo EK, Kim HH, Kim SM, Jo HH, Sung CK. 2007. Production of Sedum extract adding jelly and assessment of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19-624. 

  29. Kim JH, Kim JK.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ndy products added with hot-water extracts of Korean mountain ginsengs. Korean J Food Preserv 12: 336-343. 

  30. Sung JY, Joe WA, Kim YH, Cheon SJ, Jang MJ, Lee JS, Choi EY, Lee HS, Kim DI, Kim JO, An BJ, Lee JT. 2007.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Chrysanthemum indicum L. J Applied Oriental Medicine 7: 1-5. 

  31. Lee SH, Hwang IG, Nho JW, Jang YD, Lee CH, Woo KS, Jeong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C. boreale M. and C. zawadskii K. powdered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824-831. 

  32. Hwang IG, Woo KS, Kim TM, Kim DJ, Yang MH, Jeong HS. 2006.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42-347. 

  33. Woo KS, Jang KI, Kim KY, Lee HB, Jeong HS.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eat treated licorice (Glycyrrhiz uralensis Fisch)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55-360. 

  34. Yang SJ, Woo KS, Yoo JS, Kang TS, Noh YH, Lee JS, Jeong HS. 2006. Change of Korean ginseng components with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21-525. 

  35. Kwon OC, Woo KS, Kim TM, Kim DJ, Hong JT, Jeong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31-336. 

  36. Kim HY, Woo KS, Hwang IG, Lee YR, Jeong HS. 2008.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66-170. 

  37. Lee SH, Hwang IG, Lee YR, Joung EM, Jeong HS, Lee HB.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490-4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