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웨덴과 한국 보육시설의 질과 어머니 만족도
Quality of Childcare Centers in Sweden and Korea and mothers'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3 no.1 = no.73, 2005년, pp.139 - 149  

한유미 (호서대학교 아동학과) ,  권정윤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quality of child care centers in Sweden and Korea and the mothers' satisfaction of each center. In this study, the quality of 27 preschools in Sweden and 24 child care centers was evaluated by external evaluator using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EC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웨덴과 우리나라 보육의 구조적, 과 정적 질은 어느 정도인지를 직접 관찰, 조사하여 연구하고자 하며, 서비스 측면의 보육의 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스웨덴과 우리나라 어머니의 만족도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공보육 화가 이루어진 스웨덴의 보육시설을 평가하고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보육시설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 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웨덴과 우리나라 보육의 구조적, 과 정적 질은 어느 정도인지를 직접 관찰, 조사하여 연구하고자 하며, 서비스 측면의 보육의 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스웨덴과 우리나라 어머니의 만족도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공보육 화가 이루어진 스웨덴의 보육시설을 평가하고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보육시설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 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스웨덴과 우리나라의 보육시설의 질과 보육시 설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를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보육에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스웨덴 프리스쿨 27곳과 우리나라 어린이집 24곳을 대상으로 ECERS 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총 633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 건강 . 안전관리 측면 등 포괄적 측면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 소근육 운동 활동, 창의성 활동, 사회성 발달, 교사배려와 부모 참여 등이 있다. 이러한 구성은 ECERS를 통해 보육시설의 물 리적, 사회적, 그리고 교육적인 측면이 얼마나 아동 중심적으로 실행되고 있는지와 아동 중심적인 환경을 구성하는 것에 대해 교사들이 얼마나 인식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고경필(2003). 보육시설 실내. 외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성의 인식정도- 학부모와 보육교사의 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2), 141-153 

  2. 권혜진. 이순형(2001). 보육시설 집단크기에 따른 영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 아동학회지, 22(4), 201-212 

  3. 김지은(1999). 취학 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보육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충청북도 충주지역을 중심으로. 중원인문논집, 20 집, 81-98 

  4. 남희정(1997). 영유아보육시설에 대한 부모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서울시 강북구에 소재하는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서문희(2001). 국공립 유아교육 시설 경영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공청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양옥승. 김영옥. 김현희. 박경자. 위영희. 이옥. 이차숙. 정미라. 지성애. 홍혜경(1998). 세계의 유아교육 제도. 서울 : 양서원 

  7. 양옥승. 신현문. 신은미. 장선혜(1996). 남북한 유치원과 보육시설 프로그램 비교. 사회과학연구, 3, 183-203 

  8. 유희정 (1997).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른 질적 수준 분석. 한국영유아보육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 발표논문집. 323 -345 

  9. 유희정. 강정희(2002). 영유아 보육서비스 다양화 및 보육인프라 확충 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0. 유희정. 이옥. 서문희. 윤선영. 최영신. 강정희. 주재선. 이미화(2003). 보육사업의 공공화 및 다양화 질행방안 연구. 여성부 

  11. 이기숙(2004). 보육시설의 질과 경험이 영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결과를 중심으로. 삼성복지재단 제 12회 국제 학술대회: 영유아보육과 파트너쉽, 215-246 

  12. 이숙. 오선영(1998). 보육시설의 질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대한가정학회지 , 36(4), 189-198 

  13. 이순형. 이옥경(2000). 한국보육시설의 영아기 프로그램 운영평가. 한국 아동학회, 20(1), 121-140 

  14. 이영. 이기숙. 박경자. 정미라. 김춘경(1995) 세계의 영유아보육.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5. 이옥(1996). 스웨덴의 아동유아교육 제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187-202 

  16. 이옥(2000). 한국 영유아 보육 사업의 이념적 방향과 과제. 영유아보육학 23집, 1-24 

  17. 이옥(2002).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도입과 보육시설의 질. 사회과학연구, 8, 213-229 

  18. 장미경(1999). 유아교육 시설의 양적 확대를 위한 정책 대안 모색-미국, 일본, 스웨덴의 사례에 비추어. 여성과 사회, 89-110 

  19. 전춘애. 이미숙(2002). 보육시설의 구조적. 과정적 변인 및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15-124 

  20. 정옥분. 김숙령. 권민균(2004).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적 특성 평가에 기초한 보육의 질 제고. 대한가정학회지, 42(6), 123-136 

  21. 정채옥(2000). 유아교육 제도의 발달 과정 고찰(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스웨덴, 북한,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광신대학교 광신논총, 9(1),427-464 

  22. 최보가. 문영경(2004). 가정보육시설과 기관보육시설의 질적 특성과 영아의 사회, 정서 발달. 대한가정학회지, 42(1), 39-51 

  23. 표갑수(2004). 공보육 구현을 위한 영유아보육법령의 개선방안. 공보육발전협의회 6.24일 토론회 자료 

  24. 현온강. 태진(2000). 보육환경의 질과 영유아의 적응 - 인천시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3), 25-42 

  25. Alcock, S. (1996). Quality systems in early childhood centres. Blackwell travel study fellowship 

  26. Arsbok for Sveriges Kornrnuner. (2004). Statistika Centralbyran. Sweden 

  27. Cryer, D., Tietze, W.. & Wessels, H. (2002). Parents' perceptions of their children's child care: a cross-national comparis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7, 259-277 

  28. Donabedian, A. (1980). The definition of quality and approaches to its assessment. In A. Arbor, (Ed), Explorations in quality assessment and monitoring. Vol. 1, Michigan: Health Administration Press 

  29. Gunnarsson, L., Korpi, B.M., & Nordenstam, U. (1999). Early Childhood Eduation and Care Policy in Sweden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Stockholm: Sweden 

  30. Harms, T., & Clifford, R.M. (1980).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ale. NY: Teachers College Press 

  31. Harms, T., & Clifford, R.M., & Cryer, D. (1998). Early Chldhood Environment Rating Sale Revised Edi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32. Hofferth, S.L., & Deich, S.G. (1994). Recent U.S. child care and family legislation in comparative perspective. Journal of Family Issues, 15(3), 424-448 

  33. Howes. C. & Smith. E.W. (1995). Relationships among child care quality, teacher behavior, children's play activities, emotional security, and cognitive activity in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 381-404 

  34. Ka'rrby. G. (1999). Conceptions of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ation-An analysis of rationales for the rating of quality with the ECERS. Paper presented at the EECERA 9th Europwn conference in Helsinki, Finland, September 1-4 

  35. Ka'rrby, G. & Giota, J. (1994). Dimensions of quality in Swedish day care centers-An analysis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Early Cluld Development and Care, 104, 1-22 

  36. Ka'rrby, G. & Giota, J. (1995). Parental conceptions of quality in daycare centers in relation to quality measured by the ECER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10, 1-18 

  37. McCartney, K. (2034). The importance of child-care quality: What does the research tell us? 삼성복지재단 제 12회 국제학술대회: 영유아보육과 파트너쉽. 7-31 

  38. Munton, A. G., Mooney, A,, & Rowland, L. (1995). Deconstrutting Quality: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new paradigm in daycare provision for the under eight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14, 11-23 

  39. Phillipsen, L., Burchinal, M., Howes, C., & Cryer, D. (1997). The prediction of process quality from structural features of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 281-303 

  40. Peisner-Feinberg, E.S., & Burchinal, M. (1997). Relations between preschool children's child-care experiences and concurrent development: The cost, quality, and outcomes study. Merrill-Palmer Quarterly, 43(3), 451-477 

  41. Pestoff, V., 8: Strandbrink, P. (2002). The politics of Swedish childcure. National report 2002 

  42. Sheridan, S. (1997). Evaluations of quality with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ale- A comparison behueen external evaluations and preschool teachers self-evaluations of quality with the ECERS. Gothenburg university: Institution for pedagogik 

  43. Sheridan, S. (2002). A comparison of external and selfevaluations of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64, 63-78 

  44. Sheridan, S., & Schuster, K-M. (2001). Evaluations of &agogical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action: A crossn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Eclry Childhood Eduation, 1-25 

  45. Skolverket(2003). Childcare in Sweden 

  46. The Sweden Institute (2002). Fact Sheets on Sweden 

  47. Tietze, W., Cryer, D., Banio, J., Palacios, J., & Wetzel, G. (1996). Comparisons of observed process quality in early child care and educational programs in five countri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1, 447-475 

  48. Vandell, D. L. (2004). Child care effects on children's socioemotional functioning: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and youth development. 삼성복지재단 제 12회 국제학술대회: 영유아보육과 파트너쉽. 121-145 

  49. Whitebook, M., Howes, C., & Phillips, D. (19%). Who cares? Child are teachers and the quality of are in Americam (Final report of the National Child Care Staffing Study), Okland:CA. Child care employee project 

  50. Utbildningsdepartmentet(1999). OECD-country note. Early childhood eduation and are policy in Sweden. Stockholm: Utbildningsdepartmente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