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김치 재료 methanol 추출물이 식품유해 미생물에 미치는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Kimchi ingredients of methanol extract on pathogenic microorganisms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1 no.1 = no.85, 2005년, pp.53 - 63  

신선미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주연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영숙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종류의 식품 위해 세균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Esherichia coli과 김치 부패에 관여하는 곰팡이 Aspergillus sp. Penicillium sp.에 대하여 김치 재료에 의한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Paper disc method로 측정한 생육저해환 결과 4 종류의 세균에 대하여 각 재료의 methanol 추출물들은 E. coli에 대해서 재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약 20.00 mm에 가까운 항균성을 보이는 경향을 알 수 있었으며 생강과 양파는 다른 재료와 비교해볼 때 형성된 clear zone의 크기가 작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곰팡이에 대한 결과 Aspergillus sp.과 Penicillium sp.에 대하여 마늘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고, 생강 추출물과 무 추출물도 우수한 항균 작용을 나타내었다. S. typhimurium에 대하여 농도별 생육저해는 무, 양파 추출물이 균의 중식이 활발히 일어나는 대수중식기인 4$\~$12시간 사이에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춧가루 추출물도 1,000 ppm의 농도에서 S. typhimurium의 생육을 크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 monocytogene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S. typhimurium에 대한 결과 유사하였으며 paper disc로 조사한 생육 저해환의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전체적으로 김치 재료 methanol 추출물은 S. aureus 생육 저해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특별히 1,000 ppm 농도의 마늘 추출물이 S. aureus 생육에 있어서 유도기를 8시간까지 상당히 연장시켰다. Esherichia coli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paper disc method로 측정한 생육저해환의 결과에서 대부분의 김치 재료 methanol 추출물이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낸 것과 같이 농도별 생육 곡선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미약하지만 모든 추출물에서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최소저해농도(MIC)는 고춧가루 추출물이 L. monocytogenes에 대하여 500 $\mu$g/mL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kimchi ingredients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and Esherichia coli which are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Aspergillus sp. Penicillium sp. Antimicrobial activ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Malt agar배지에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추출물을 혼합하여 만든 평판 배지에 미리 배양해둔각 공시균의 균사선단부를 직경 8mm의 cork borer로 떼어내어 접종하였다. 20℃에서 소정기간 배양한 후 자란 균사환의 직경을 측정하여 균사생장 억제율(hyphal growth inhibition ratio)로 항균 활성을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 생육 저해 농도는 Turbidimetric assay를 사용하였으며 cacteria에 대해서만 측정하였다. 4종의 균이 활성화된 10 mL의 TSB배지에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고 37 ℃에서 배양하면서 0, 4, 8, 12, 24시간이 되는 때에 650nm에서 microplate reader(Biolog Inc.,USA)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을 이용하였다. Malt agar배지에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추출물을 혼합하여 만든 평판 배지에 미리 배양해둔각 공시균의 균사선단부를 직경 8mm의 cork borer로 떼어내어 접종하였다. 20℃에서 소정기간 배양한 후 자란 균사환의 직경을 측정하여 균사생장 억제율(hyphal growth inhibition ratio)로 항균 활성을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 0 mg/disc의 농도로 각 추출물을 흡수시켜 추출용매를 휘발시키고 난 후 plate 표면 위에 놓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그 후 disc 주위의 clear zone의 직경(mm)을 생육저해환으로 서 비교하였다.
  • 김치 재료 methanol 추출물이 4종의 bacteria에 미치는 생육 저해율은 TSB 배지 10mL에 각 재료의 추출물을 1,000 ppm 농도로 주입하고, 각 균주의 활성액을 0.1mL 접종하여 37℃에서 12시간 배양하여 측정하였다. 배양 후 microplate reader(Biolog Inc.
  • 김치 재료 추출물 조제는 각각 준비된 시료와 methanol을 l:10(w/v)의 비율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6시간 동안 3회 반복하여 교반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여과지(Whatman No.
  • 1mL 접종하여 37℃에서 12시간 배양하여 측정하였다. 배양 후 microplate reader(Biolog Inc.U.S.A.)를 이용하여 6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다음식으로 생육 저해율(%)을 확인하였다. 생육 저해율은 균의 대수 중식기 중 생육이 가장 억제된 12시간에서 그 값을 측정하였다.
  • )를 이용하여 6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다음식으로 생육 저해율(%)을 확인하였다. 생육 저해율은 균의 대수 중식기 중 생육이 가장 억제된 12시간에서 그 값을 측정하였다.
  • , Penicillium sp.에 대하여 김치 재료에 의한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Paper disc method로 측정한 생육 저해환 결과 4종류의 세균에 대하여 각 재료의 methanol 추출물들은 E.
  • Penicillium sp.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ATCC 20253), Penicillium sp.(KCTC 26191)는 한국 종균협회에서 분양받아 배양 온도 20℃에서 소정기간 배양한 후 사용하였다(Table 1).
  • 본 실험에서 사용한 항균성 시험 대상 김치 재료는 고춧가루, 무, 생강, 양파, 마늘, 갓, 배추로 실험 당일 백화점에서 유기농 제품으로 구입하였다. 갓과 열무는 증류수로 2~3회 수세한 뒤 물기를 제거한 후 7일간 음건하였고 분쇄기(HMF-340, Hanil, Korea) 로 분쇄한 후 50mesh standard sieve를 통과시켜 추출용 시료로 사용하였고, 무, 생강, 양파, 마늘은 중류수로 2~3회 수세한 뒤 음건하지 않고 그대로 분쇄하였으며, 고춧가루는 전처리 없이 구입한 그대로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 배지는 Tryptic soybean agar(TSA), Tryptic soybean broth(TSB), Malt agar는 Difco(MD)사의 제품을 사용하였고, 사용된 균주는 gram음성균인 E. coli(ATCC 9637), S. typhimurium(ATCC 19115)과 gram 양성균인 S. aureus(ATCC 25923), L monocytogenes(AJTCC 14028)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으로부터 분양받아 계대하여 37℃에서 24~48시간 배양하여 활성화시켜 사용하였다. 김치 발효 중 부패 및 품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진균류 Aspergillus sp.
  • 본 실험에서 사용한 항균성 시험 대상 김치 재료는 고춧가루, 무, 생강, 양파, 마늘, 갓, 배추로 실험 당일 백화점에서 유기농 제품으로 구입하였다. 갓과 열무는 증류수로 2~3회 수세한 뒤 물기를 제거한 후 7일간 음건하였고 분쇄기(HMF-340, Hanil, Korea) 로 분쇄한 후 50mesh standard sieve를 통과시켜 추출용 시료로 사용하였고, 무, 생강, 양파, 마늘은 중류수로 2~3회 수세한 뒤 음건하지 않고 그대로 분쇄하였으며, 고춧가루는 전처리 없이 구입한 그대로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 실험 재료를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는데 사용된 methanole Tedia(OH)사의 순도 99.9% 특급품을 사용하였고 paper disc는 Whatman(England)사의 제품을, 96 well microplate는 Becton Dickinson(NJ)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4종의 bacteria 에 대한 최소 저해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broth microdilutionmethod14)에 의해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즉, well plate에 TSB를 100㎕씩 분주하고 추출물 100㎕을 two-fold dilution하여 농도를 조절한 후 균의 농도를 2x105c.
  • Bacteria 에 대한 항균성 측정은 Paper disc method14* 를 이용하였다. 즉, 각 균주 1백금이를 취하여 10 mL의 broth에 접종하였고,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여 활성화시켰다.
  • Fungi에 대한항진균 활성검정 방법으로는 배지 점적법15)을 이용하였다. Malt agar배지에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추출물을 혼합하여 만든 평판 배지에 미리 배양해둔각 공시균의 균사선단부를 직경 8mm의 cork borer로 떼어내어 접종하였다.
  • 생육 저해 농도는 Turbidimetric assay를 사용하였으며 cacteria에 대해서만 측정하였다. 4종의 균이 활성화된 10 mL의 TSB배지에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고 37 ℃에서 배양하면서 0, 4, 8, 12, 24시간이 되는 때에 650nm에서 microplate reader(Biolog In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Yang, JH, Park, SH, Yoo, JH, Lim, HS, Jo, JS, Hwang, SJ : Effect of Freezing Methods for Kimchi Storage Stability on Physical Properties of Chinese Cabbage. Korean J. Food Culture. 18(2): 105, 2003 

  2. Lee, NJ, Jeon, JG : Studies on the Kimchi Pasteurization -Part 2 Effects of Kimchi Pasteurization Conditions on the Shelf-life of Kimchi. J. Korean Soc. Appl. Biol. Chem. 25(4): 197, 1982 

  3. Kang, SS, Lim, JM, Byun, MW : Preservation of Kimchi by Ionizing Radiation. Kor. J. Food Hygiene. 3(4): 225, 1988 

  4. Lee, JS, Lee, HJ : Effects of Chitosan and Organic Acid Salts on the Shelf - life and Pectin Fraction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and Nutr. 13(4): 319, 2000 

  5. Kim, WJ, Kang, KO, Hyung, KH, Shin JI : Addition of Salts and Their Mixtures for Improvement of Storage Stability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3(2): 188, 1991 

  6. Lee, CH, Hwang, SY, Hwang, IJ, Yoon, EH : Effects of K-Sorbate, Salt-Fermented Fish and $CaCl_2$ Addition on the Texture Changes of Chinese Cabbage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Culture. 3(3): 309, 1988 

  7. Ahn, SJ : The effect of Salt and Food Preservative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Cookery Sci. 4(2): 39, 1988 

  8. Na, YA, Park, JN : Effect of Dried Powders of Pine Needle, Pine Pollen, Green Tea and Horseradish on Preservation of Kimchi-yangnyum. Korean J. Food Cookery Sci. 9(4): 179, 2003 

  9. Park, UP, Jang, DG : Kimchi Quality Affecred by the Addition of Grapefruit Seed Extract Powder. Korean J. Food Preservation. 10(3): 288, 2003 

  10. Sheo, HJ : The Antibacterial action of garlic, onion, ginger and red pepper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 94, 1999 

  11. Gandhi, DN, Ghodekar, DR : Antibacter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 against lactic acid bacteria and contaminants of fermented milk. Indian J. Dairy Science, 41(3): 511, 1988 

  12. Al-Delaimy, KS, Ali, SH : Antibacterial action of vegetable extracts on the growth of pathogenic bacteria. J. Sci. Fd Agric. 21: 110, 1970 

  13. Sheo, HJ, Seo, YS : The Antibacterial Ac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Juice on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and Enterobacter cloaca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8): 1351, 2003 

  14. Conner, DE, Beuchat LR : Effect of essential oils from plants on growth of spoilage yeast. J. Food Sci. 49: 429, 1984 

  15. Lee, SS, Choi, DH, Lee, HJ, Kang, HY :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 -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ive compound isolated from heartwood of Zelkova serrata -. Mokchae Konghak 28(2): 32, 2000 

  16. Klindworth, KJ, Davidson, DM, Breke, CJ, Brekke, AL, Branen, AL : Inhibition of Clostridium perfringens by Butylated Hydroxy Anisole. J. Food Sci. 44(2): 564, 1979 

  17. Tabak, M, Armom, R, Potasman, I, Neeman, I : In vitro inhibition of Helicobacter pylori by extracts of thyme. J. Appl. Bacteriol. 80: 667, 1996 

  18. Lee, JJ, Kim, SH, Chang, BS, Lee, Tb, Huh, CS, Kim, TJ, Bae, YJ :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s extract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Korean J. Food Sci. Technol. 31(5): 764,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