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요법은 소아치과에서 사용하는 보상, 속박, 체계적 탈감작법(말-시범-시행), 친밀감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는 환자의 반응이 개선되지 않아 일반적인 치과치료가 불가능할 때 사용하는 행동조절법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진정요법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그 기준이나 방법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미국소아치과학회의 진정요법에 관한 기준이 있기는 하지만 국내의 상황이 미국과 다르므로 한국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소아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국내 소아치과에서의 진정요법 현황에 대한 실태를 조사, 그 결과를 정리하여 향후 소아치과 임상에서의 진정요법에 대한 임상 기준을 정하는데 기여하고자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대한소아치과학회 회원 573명을 대상으로 진정요법 사용 실태에 관한 설문지를 발송하여 이 중 회신을 한 220명의 설문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응답자의 약 66%가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진정요법에 관한 이전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국내 소아치과에서 진정요법의 사용빈도가 증가하였다. 2. 진정요법으로 치료를 결정하게 된 요인은 행동조절, 치료내용과 양, 보호자의 요구, 내원횟수, 전신질환의 순서이었다. 3. 진정요법으로 치료받는 환자의 연령은 만 3세가 가장 많았고, 만 4-5세, 만 2세 미만, 만 6-10세, 만 10세 이상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4. 진정요법 시 chloral hydrate는 60-70mg/kg, hydroxyzine은 10-40mg/kg(25mg/kg)을 사용하고 있었고, 경구 투여가 가장 선호하는 약물투여 경로였다. 5. 진정요법 시 사용하는 환자감시 방법은 피부나 손톱색 등의 관찰을 포함한 환자 평가와 맥박 산소측정기(pulse oximeter)를 통한 환자감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약 56%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진정요법은 소아치과에서 사용하는 보상, 속박, 체계적 탈감작법(말-시범-시행), 친밀감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는 환자의 반응이 개선되지 않아 일반적인 치과치료가 불가능할 때 사용하는 행동조절법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진정요법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그 기준이나 방법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미국소아치과학회의 진정요법에 관한 기준이 있기는 하지만 국내의 상황이 미국과 다르므로 한국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소아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국내 소아치과에서의 진정요법 현황에 대한 실태를 조사, 그 결과를 정리하여 향후 소아치과 임상에서의 진정요법에 대한 임상 기준을 정하는데 기여하고자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대한소아치과학회 회원 573명을 대상으로 진정요법 사용 실태에 관한 설문지를 발송하여 이 중 회신을 한 220명의 설문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응답자의 약 66%가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진정요법에 관한 이전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국내 소아치과에서 진정요법의 사용빈도가 증가하였다. 2. 진정요법으로 치료를 결정하게 된 요인은 행동조절, 치료내용과 양, 보호자의 요구, 내원횟수, 전신질환의 순서이었다. 3. 진정요법으로 치료받는 환자의 연령은 만 3세가 가장 많았고, 만 4-5세, 만 2세 미만, 만 6-10세, 만 10세 이상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4. 진정요법 시 chloral hydrate는 60-70mg/kg, hydroxyzine은 10-40mg/kg(25mg/kg)을 사용하고 있었고, 경구 투여가 가장 선호하는 약물투여 경로였다. 5. 진정요법 시 사용하는 환자감시 방법은 피부나 손톱색 등의 관찰을 포함한 환자 평가와 맥박 산소측정기(pulse oximeter)를 통한 환자감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약 56%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Sometimes the dentists encounter a child who can not be treated with traditional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s (for example, reward, restraint, Tell-Show-Do, familialization). In such a case, the dentists use sedation technique. Recently, in Korea, the use of sedation by pediatric dentists is incre...
Sometimes the dentists encounter a child who can not be treated with traditional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s (for example, reward, restraint, Tell-Show-Do, familialization). In such a case, the dentists use sedation technique. Recently, in Korea, the use of sedation by pediatric dentists is increased. But, the guideline and survey of sedation is very insufficient. Now, we need a survey of sedation practice in Korea. We carried out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bout sedation with a questionaire to pediatric dentists in Korea.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1. Sixty six percent of pediatric dentists use sedative agents in their practice. In this study, using sedation shows an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past. 2. Determinative factors of using sedation were orderly behavior management, number of visiting, guidian's opinion, amount of treatment, general condition. 3. Distribution of ages in patients sedated with agents was orderly 3 years, 4-5 years, under 2 years, 6-10 years, more than 10 years. 4. Particular sedative drugs were chloral hydrate 60-70mg/kg, hydroxyzine 10-40mg/kg(25mg/kg), and oral route was the most favorable route. 5. Observation of skin and nail color, pulse oximeter were the most frequently utillized monitoring method during sedation. 6. Only fifty six percent of pediatric dentists complete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urse.
Sometimes the dentists encounter a child who can not be treated with traditional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s (for example, reward, restraint, Tell-Show-Do, familialization). In such a case, the dentists use sedation technique. Recently, in Korea, the use of sedation by pediatric dentists is increased. But, the guideline and survey of sedation is very insufficient. Now, we need a survey of sedation practice in Korea. We carried out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bout sedation with a questionaire to pediatric dentists in Korea.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1. Sixty six percent of pediatric dentists use sedative agents in their practice. In this study, using sedation shows an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past. 2. Determinative factors of using sedation were orderly behavior management, number of visiting, guidian's opinion, amount of treatment, general condition. 3. Distribution of ages in patients sedated with agents was orderly 3 years, 4-5 years, under 2 years, 6-10 years, more than 10 years. 4. Particular sedative drugs were chloral hydrate 60-70mg/kg, hydroxyzine 10-40mg/kg(25mg/kg), and oral route was the most favorable route. 5. Observation of skin and nail color, pulse oximeter were the most frequently utillized monitoring method during sedation. 6. Only fifty six percent of pediatric dentists complete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urs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저자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소아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국내 소아치과에서의 진정요법 현황에 대한 실태를 조사, 그 결과를 정리하여 향후 소아치과 임상에서의 진정요법에 대한 임상 기준을 정하는데 기여하고자 본 조사를 시도하였다.
조사의 목적을 밝힌 편지를 동봉한 설문지를 발송하여 회신된 설문지를 대상으로 진정요법 사용 유무를 조사하였고, 이 중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145명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다음 항목에 관하여 정리하였다.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소아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진정요법의 시행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여 국내 소아치과에서의 진정요법 현황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여 앞으로의 연구와 임상 기준을 정하는데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제안 방법
10. 심폐소생술 교육과 응급 상황에 대한 대비책 등을 조사하였다.
N2O/O2 흡입 단독으로 행동조절을 했던 경우를 제외하고, 최근 3개월간 약물을 사용한 진정요법으로 치료한 환자의 비율을 조사하였다.
진정요법으로 치료한 환자를 연령대별로 순위를 매기도록 하여 환자의 연령별 분포를 조사하였다. 중복응답을 허용하여 순위값으로 정리한 결과, 환자의 연령군은 만 3세가 가장 많았고, 만 4-5세, 만 2세 미만, 만 6-10세, 만 10세 이상의 순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대상 데이터
2004년 7월에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573명의 대한소아치과 학회 회원에게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대한소아치과학회에 등록되어 있는 주소를 이용하여 우편물을 발송하였고, 회신이 있었던 220명의 설문지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2004년 7월에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573명의 대한소아치과 학회 회원에게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대한소아치과학회에 등록되어 있는 주소를 이용하여 우편물을 발송하였고, 회신이 있었던 220명의 설문지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진정요법을 사용하여 진료하고 있다고 응답한 145명의 설문지를 각 설문 항목별로 분석하였다.
대한소아치과학회에 등록되어 있는 주소를 이용하여 우편물을 발송하였고, 회신이 있었던 220명의 설문지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진정요법을 사용하여 진료하고 있다고 응답한 145명의 설문지를 각 설문 항목별로 분석하였다.
설문 발송 573명 중 220명에게서 회신이 있었고, 그 중에서 진정요법을 사용하여 진료하고 있는 사람은 145명이었다.
소아치과 수련은 대부분 대학병원에서 받았고, 기타로 대학원, 병의원, 해외 등이 있었다. 진료연차는 1-3년이 61명, 7-10년이 32명, 4-6년이 30명, 11-15년이 12명이었다. 현재 진료하고 있는 환경을 조사한 결과, 진정요법을 사용하는 경우 대학병원이나 개인 소아치과 등 소아만 진료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구비하고 있는 장비는 43명이 산소마스크와 Ambu bag, 25명이 epinephrine, flumazenil, ammonia 등의 응급약물, 그 외 후두마스크(LMA; laryngeal mask airway), 응급 구급함, 청진기 등을 언급했고, 아무런 장비를 갖추고 있지 않은 경우도 14명이 있었다. 구비하고 싶은 장비로는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측정기(capnograph), 응급구급함, 후두마스크 등이 있었다.
진정요법으로 치료 중 치료를 종료하지 못하고 실패하게 된 경험이 있다고 답한 사람이 124명이었고, 실패경험이 없다고 답한 사람이 12명, 답을 안한 사람이 11명이었다.
진정요법으로 치료한 환자를 연령대별로 순위를 매기도록 하여 환자의 연령별 분포를 조사하였다. 중복응답을 허용하여 순위값으로 정리한 결과, 환자의 연령군은 만 3세가 가장 많았고, 만 4-5세, 만 2세 미만, 만 6-10세, 만 10세 이상의 순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1. 응답자의 약 66%가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진정요법에 관한 이전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국내 소아치과에서 진정요법의 사용빈도가 증가하였다.
2. 진정요법으로 치료를 결정하게 된 요인은 행동조절, 치료내용과 양, 보호자의 요구, 내원횟수, 전신질환의 순서이었다.
3. 진정요법으로 치료받는 환자의 연령은 만 3세가 가장 많았고, 만 4-5세, 만 2세 미만, 만 6-10세, 만 10세 이상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4. 진정요법 시 chloral hydrate는 60-70mg/kg, hydroxyzine은 10-40mg/kg(25mg/kg)을 사용하고 있었고, 경구 투여가 가장 선호하는 약물투여 경로였다.
5. 진정요법 시 사용하는 환자감시 방법은 피부나 손톱색 등의 관찰을 포함한 환자 평가와 맥박 산소측정기(pulse oximeter)를 통한 환자감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약 56%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8%에서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나타났듯이 국내 진정요법의 사용이 미국 내 사용율과 유사할 정도로 증가하였다.
최와 심13)의 연구에서는 진정요법 시 chloral hydrate, hydroxyzine, midazolam, propofol 의 약물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 약물의 조합 시 선호하는 chloral hydrate 용량은 60-70mg/kg, hydroxyzine은 10-40mg/kg(25mg/ kg)였다. Midazolam은 근육 내 투여 시 0.
설문 결과를 정리해 보았을 때, 최근 들어 소아치과영역에서 약물을 이용한 진정요법의 사용이 증가하였다. 국내 소아치과 의사들의 진정요법 시 사용하는 약물과 약물의 투여 경로 등은 미국소아치과학회 및 대한소아치과학회 기준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시행되고 있다.
국내의 최와 심13)의 연구에서는 60%가 감시장치를 사용하고 있었고, 맥박 산소측정기, 전흉부 청진 등의 방법이 이용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이번 조사 결과 국내 소아치과의사들은 진정요법 시 피부색이나 손톱색 등의 관찰을 포함한 환자 평가와 맥박 산소측정기를 통한 환자감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 현재 국내의 진정요법 사용은 과거보다 증가하였으나, 안전한 진정요법 사용에 필요한 환자감시 방법이나 장비의 사용은 잘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응급상황에 대비한 심폐소생술 교육 등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기준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본 조사에서 부족하나마 국내 현황을 파악하는 계기가 되었으므로, 미국 내에서 이루어졌던 Houpt11) 연구와 유사하게 이를 토대로 하여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는 소아치과의사들만을 대상으로 한 2차 연구가 바로 연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결과 약물을 사용한 진정요법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비율이 1-10%인 경우가 67명으로 응답자의 약 50%정도를 차지하였으며, 11-25%의 범위에서는 47명으로 약 33%의 비율을 보였다.
진정요법으로 치료한 환자 중 비장애아와 장애아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비장애아와 장애아의 진료 비율은 87%와 13%였다. 개원의들에서 장애아 진료 비율은 5%였고, 대학병원에 소속된 의사들의 장애아 진료 비율은 21%였다.
진정요법 시 사용하는 약물 투여 경로를 순위를 매기도록 하였다. 중복응답을 허용하여 순위값으로 정리한 결과 경구투여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흡입, 비강 내, 근육 내, 정맥 내의 순서로 사용하고 있었다(Table 5).
진정요법 시 사용하는 약물을 조사한 결과,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을 병용투여한 후 N2O를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약 60%였고, N2O를 추가하지 않고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만 사용하는 경우가 약 34%이었다. 단독 투여 시 midazolam을 근육내로 투여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약 26%였고, 같은 비율로 midazolam투여 후 N2O를 추가하여 사용하거나,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 병용투여 후 midazolam과 N2O를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었다(Table 6).
진정요법 시 술자가 평가한 약물 효과는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을 병용투여한 후 N2O를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는 경우 약 75%에서‘매우 좋음’, ‘좋음’이었고, N2O를 추가하지 않고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만 사용하는 경우 약 80%가‘좋음’, ‘보통’이었다. Midazolam 사용 시 단독투여나 N2O 병용투여 시 과반수가 효과를‘보통’으로 표현하였으나,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 병용투여 후 midazolam과 N2O를 추가하여 사용한 경우‘매우 좋음’, ‘좋음’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O를 추가하지 않고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만 사용하는 경우 약 80%가‘좋음’, ‘보통’이었다. Midazolam 사용 시 단독투여나 N2O 병용투여 시 과반수가 효과를‘보통’으로 표현하였으나,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 병용투여 후 midazolam과 N2O를 추가하여 사용한 경우‘매우 좋음’, ‘좋음’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진정요법 시 사용하는 모든 환자감시 방법을 조사한 결과, 피부색과 손톱색 등을 포함하는 환자 관찰과 맥박 산소측정기를 응답자의 약 90%이상이 사용하고 있었다(Table 7). 누가 환자 감시를 하는지에 관해 술자, 보조자, 다른 전문인 중에서 중복 응답을 허용하여 조사한 문항에 대하여, 술자가 직접하는 경우가 109명으로 응답자의 약 75%, 보조자가 하는 경우가 83명으로 약 57%로 조사되었다.
부작용을 경험했을 때 사용했던 약물과 부작용의 내용을 정리한 결과,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 병용투여 후 N2O를 추가하여 사용 시 오심과 구토, 호흡 저하 및 호흡 곤란, 치료 종료 후 환아가 깨어나지 않는 과진정, 고열 등의 부작용 경험 사례가 조사되었다. Midazolam사용 시 과흥분, 어지러움, 비틀거림, 전신부종, 분당 40회 이하의 맥박저하 등이 조사되었다.
후속연구
이 후 지금까지 행해진 국내 연구는 약물을 이용한 진정방법이나 성공률에 국한되어 왔으며, 국내의 진정요법 사용에 관한 실제적인 조사는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미국의 예를 비추어 볼 때 Houpt8,11)의 USAP도 5년 정도의 간격으로 변화되는 의료계상황을 파악하여 현실적인 지침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던 바, 국내에서 설문이 이루어진 시기가 1990년대 후반이었고 2000년대 중반으로 접어드는 현 시기에 본 조사는 반드시 필요한 연구라 사료된다.
3mg/kg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응답자의 수가 많지 않고 약물 단위 등이 일관성 있는 답이 아니어서 통계화 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 후 연구에서 통계 자료로 사용 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진행되어야 할 것 같다.
이번 조사 결과, 현재 국내의 진정요법 사용은 과거보다 증가하였으나, 안전한 진정요법 사용에 필요한 환자감시 방법이나 장비의 사용은 잘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응급상황에 대비한 심폐소생술 교육 등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기준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본 조사에서 부족하나마 국내 현황을 파악하는 계기가 되었으므로, 미국 내에서 이루어졌던 Houpt11) 연구와 유사하게 이를 토대로 하여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는 소아치과의사들만을 대상으로 한 2차 연구가 바로 연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약물사용에 대한 부분 중 약물 용량, 사용빈도, 치료과정과 연관한 세부적인 진정요법 사용 등에 대한 부분이 좀 더 심도 있게 조사되어야 할 것이며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방안에 강구도 함께 고민되어야 할 것이다.
본 조사에서 부족하나마 국내 현황을 파악하는 계기가 되었으므로, 미국 내에서 이루어졌던 Houpt11) 연구와 유사하게 이를 토대로 하여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는 소아치과의사들만을 대상으로 한 2차 연구가 바로 연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약물사용에 대한 부분 중 약물 용량, 사용빈도, 치료과정과 연관한 세부적인 진정요법 사용 등에 대한 부분이 좀 더 심도 있게 조사되어야 할 것이며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방안에 강구도 함께 고민되어야 할 것이다.
이번 조사는 서론에 언급하였듯이 국내 소아치과에서의 진정요법 현황에 대한 하나의 자료로 활용되기를 원하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토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정요법은 무엇인가?
진정요법은 소아치과에서 사용하는 보상, 속박, 체계적 탈감작법(말-시범-시행), 친밀감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는 환자의 반응이 개선되지 않아 일반적인 치과치료가 불가능할 때 사용하는 행동조절법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진정요법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그 기준이나 방법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진정요법에 사용되는 약물은 어디를 통해 투여되고 있는가?
진정요법에 사용되는 약물은 진정최면제인 chloral hydrate와 barbiturates, 항불안제인 diazepam, 항히스타민제인 hydroxyzine과 promethazine, 마약성 진통제인 morphine과 meperidine 그리고 흡입진정제로 N2O/O2 등과 같은 다양한 약제들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3). 이 약물들은 경구, 직장, 흡입, 설하, 정맥 내, 근육 내, 비강 내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되고 있다4).
소아치과에서는 어떤 행동조절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가?
현재 소아치과에서는 음성조절, 체계적 탈감작법(TellShow-Do), 분산, 강화, 모방 등의 심리적인 방법과 물리적 속박, 입가리기(HOME) 등의 다양한 행동조절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치과치료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어린이들과 매일 부딪히며 이들 개개인의 심리상태와 행동양상에 적합한 행동조절 원리와 기법을 적절히 구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