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미래덩굴 잎(Smilax china L.)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Smilax china L.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0, 2014년, pp.1614 - 1618  

김주영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성기운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정신교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 널리 자생하는 청미래덩굴 잎을 천연 보존료로써 활용하기 위하여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을 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로 분획하고 항산화 활성과 식중독 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활성 성분을 TLC와 HPLC로 분석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활성은 ethyl acetate, n-butanol, n-hexane 분획물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역시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높았다(P<0.05).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보다 월등히 높았다. 청미래덩굴 잎의 용매 분획물은 시험균주인 S. aureus에 대하여 12.4~8.5 mm의 생육 저해환을 나타내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항균 활성이 가장 강하였다(P<0.05). 항균 활성과 항산화 활성이 강하게 나타난 청미래덩굴의 ethyl acetate 분획물을 TLC로 확인 후 다른 분획물들과 HPLC로 분석하여 caffeic acid, ferulic acid, quercetin, kaempferol을 확인하고 그 함량을 측정하였다. Ethyl acetate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에 비해 높은 phenolic compounds 함량을 나타냈고, ferulic acid가 그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청미래덩굴 잎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활성 물질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tilize Smilax china L. leaves as a natural preservatives, solvent fractions from crude methanol extract were prepared and investigated their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xamined by 1,1-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청미래덩굴 잎의 메탄올 조추출물을 용매의 극성에 따라 분획하여 이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성분을 조사하고 한국인의 주요 식중독 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활성이 강하게 나타난 ethyl acetate 분획물을 TLC와 HPLC로 분석하여 활성물질을 규명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청미래덩굴 잎의 메탄올 조추출물을 용매의 극성에 따라 분획하여 이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성분을 조사하고 한국인의 주요 식중독 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활성이 강하게 나타난 ethyl acetate 분획물을 TLC와 HPLC로 분석하여 활성물질을 규명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3)Values followed by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미래덩굴의 이명은?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은 백합과에 속하는 덩굴성 관목으로 명감나무 또는 망개나무라 불리며 우리나라 중남부와 중국 및 일본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4,5). 청미래덩굴의 잎은 두껍고 넓은 타원형이며, 예로부터 상하기 쉬운 음식의 보존과 포장에 이용되었으며(6), 청미래덩굴의 잎으로 싼 망개떡은 경남 의령 지역의 전통식품으로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유통되고 있다.
청미래덩굴이란 무엇인가?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은 백합과에 속하는 덩굴성 관목으로 명감나무 또는 망개나무라 불리며 우리나라 중남부와 중국 및 일본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4,5). 청미래덩굴의 잎은 두껍고 넓은 타원형이며, 예로부터 상하기 쉬운 음식의 보존과 포장에 이용되었으며(6), 청미래덩굴의 잎으로 싼 망개떡은 경남 의령 지역의 전통식품으로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유통되고 있다.
천연 보존료로써 활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을 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로 분획하여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관찰한 결과,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낸 분획물을? 우리나라에 널리 자생하는 청미래덩굴 잎을 천연 보존료로써 활용하기 위하여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을 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로 분획하고 항산화 활성과 식중독 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활성 성분을 TLC와 HPLC로 분석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활성은 ethyl acetate, n-butanol, n-hexane 분획물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역시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높았다(P<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ung SK, Osawa T, Kawakishi K. 1997. Hydroxyl radicalscavenging effects of spices and scavengers from brown mustard (Brassica nigra). Biosci Biotech Biochem 61: 118-123. 

  2.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3. Lee BW, Shin DH. 1991. Antimicrobial effect of some plant extract and their fractionates for food spoilage microorganism.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05-211. 

  4. Kim TJ. 1993. Alpine flowers of Korea. Kyohaksa, Seoul, Korea. p 542. 

  5. Cha BC, Lee EH.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Smilax china Linee. Kor J Pharmacogn 38: 31-36. 

  6. Choi HY.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Smilax china leaf. Korean J Sanitation 19: 22-30. 

  7. Park JH, Kim JM, Do WI. 2002. Pharmacognostical study on the To Bog Ryung. Kor J Pharmacogn 33: 169-172. 

  8. Son KH, Seo JH, Lee JM, Kwon SJ, Chang SY, Lee KS. 2001.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dioscin from Smilacis Chinae Radix. Kor J Pharmacogn 32: 153-156. 

  9. Jin TY, Park JR, Kim JH. 2004. Electron donating abilities, nitrite scavenging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milax chin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621-625. 

  10. Lee SY, Kim JH, Park JM, Lee IC, Lee JY. 2014.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of Smilax china L. Korean J Food Preserv 21: 254-263. 

  11. Kim MJ, Park EJ. 2011. Feature analysis of different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assays and their application to fruit and vegetable samp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53-1062. 

  1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3.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4. Shahrokh K, Rong T, Djamila R, Raymond Y, Rupasinghe HPV. 2008. Polyphenol composition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selected apple genotypes for processing. J Food Compos Anal 21: 396-401. 

  15.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ic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 Enzymol 299: 152-178. 

  16.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1999.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7. Davidson PM, Parish ME. 1989. Methods of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 43: 148-155. 

  18. Park SW, Woo CJ, Chung SK, Chung KT. 1994.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 from Humulus japonic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464-470. 

  19. Kang SJ, Chung SK. 2011.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extract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Korean J Food Preserv 19: 919-924. 

  20.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21. Proteggente AR, Pannala AS, Paganga G, Van Buren L, Wagner E, Wiseman S, Van De Put F, Dacombe C, Rice- Evans CA. 2002.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egularly consumed fruit and vegetables reflects their phenolic and vitamin C composition. Free Radic Res 36: 217-233. 

  22.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23. Kim JY, Lee JA, Yoon WJ, Oh DJ, Jung YH, Lee WJ, Park SY. 2006.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uphorbia jolkini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99-706. 

  24. Wee JJ. 198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nstituents from antioxidant and hematopoietic fractions of Panax ginseng C.A. Meyer. PhD Dissertation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5. Xing YM, White PJ. 1997. Identification and function of antioxidants from oat groats and hulls. J Am Oil Chem Soc 74: 303-307. 

  26. Cho JY, Moon JH, Park KH. 200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3-methoxy-4-hydroxybenzoic acid and 3-methoxy- 4-hydroxycinnamic acid from hot water extracts of Hovenia dulcis Thunb and confirmation of their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03-14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