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초의 부위별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Anti-oxidation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Salicornia herbacea L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4 no.3, 2016년, pp.311 - 316  

이정남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선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득회 (파이토코퍼레이션) ,  손호용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함초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음료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성숙한 함초의 잎, 줄기, 씨를 대상으로 ethanol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잎 > 줄기 > 씨의 순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 > 씨 = 줄기 순으로 나타났다.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 잎과 줄기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씨 추출물은 잎 추출물의 1/10 정도의 낮은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RC50로 계산한 결과, DPPH 음이온 소거능, 환원력nitrite 소거능은 잎 > 씨 > 줄기, ABTS 양이온 소거능은 잎 = 씨 > 줄기 순으로 나타났다. 항응고 활성 평가결과, 씨 추출물에서 우수한 트롬빈 저해, 혈액응고인자 저해가 나타났으며, 모든 추출물에서 혈소판 응집저해활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함초 잎과 씨를 이용한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the functional beverage using Salicornia herbacea L (SH). To evaluate the anti-oxidation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SH, the ethanol extracts of leaf (LF), stem (ST) and seed (SD) of SH were prepared. Components analysis showed the total polyphenol of L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물의 경우, 통상 그 구성성분과 유용 생리활성은 재배환경, 수확시기는 물론 부위별로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는 것[2, 17] 이 일반적임에도 불구하고, 함초의 경우 부위별 연구는 잎줄기, 뿌리의 영양성분 및 미네랄 분석 보고[19]가 있을 뿐 현재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함초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음료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성숙한함초의 잎, 줄기, 씨를 대상으로 ethanol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유용성분 함량과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함초는 2015년 9월말 전남 신안군에서 재배한 함초를 사용하였으며, 구입직후 잎, 줄기, 씨로 구분하였다(Fig.
  • 항응고 활성 평가결과, 씨 추출물에서 우수한 트롬빈 저해, 혈액응고인자 저해가 나타났으며, 모든 추출물에서 혈소판 응집저해활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함초 잎과 씨를 이용한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가설 설정

  • 1)Values are mean±SD (n=3). Means with different letter in each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p<0.
  • 3)Values are mean±SD (n = 3). Means with different letter in each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a JY, Jeon BS, Kim BK, Kang HY, Cho YS. 2005. Physiological effect of hamcho yogurt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Life Sci. 15: 619-625. 

  2. Cha JY, Jeong JJ, Kim YT, Seo WS, Yang HJ. Kim JS, et al. 2006. Detec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J. Life Sci. 16: 683-690. 

  3. Cho HD, Lee JH, Jeong JH, Kim JY, Yee ST, Park SK, et al. 2014. Production of novel vinegar having antioxidant and anti-fatigue activities from Salicornia herbacea L. J. Sci. Food Agric. 96: 1085-1092. 

  4. Cho JY, Park SY, Shin MJ, Gao TC, Moon JH, Ham KS. 201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in fermented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137-1142. 

  5. Cho YS, Kim SI, Han YS. 2008. Effects of slander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 on improvements in bowel function and constipation relief.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326-331. 

  6. Chung YC, Chun HK, Yang JY, Kim JY, Han EH, Kho YH, et al. 2005. Tungtungmadic acid, a novel antioxidant, from Salicornia herbacea. Arch Pharm Res. 28: 1122-1126. 

  7. Han EH, Kim JY, Kim HG, Chun HK, Chung YC, Jeong HG. 2010. Inhibitory effect of 3-caffeoyl-4-dicaffeoylquinic acid from Salicornia herbacea against phorbol ester-induced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macrophages. Chem. Biol. Interact. 183: 397-404. 

  8. Han SK. 2004. Antioxidant effect of fermented Salicornia herbacea L. liquid with EM (Effective Microorganism) on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 289-302. 

  9. Jang HS, Kim KR, Choi SW, Woo MH, Choi JH. 2007 Antioxidant and antithrombus activities of enzyme-treated Salicornia herbacea extracts. Ann. Nutr. Metab. 51: 119-125. 

  10. Jo YC, Ahn JH, Chon SM, Lee KS, Bae TJ, Kang DS. 2002. Studies on pharmacological effect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Med. Crop Sci. 10: 93-99. 

  11. Karadeniz F, Kim JA, Ahn BN, Kwon MS, Kong CS. 2014.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on osteoblastogenesis and adipogenesis in vitro. Mar. Drugs 12: 5132-5147. 

  12. Kim HS, Park JW, Lee YJ, Shin GW, Park IB, Jo YC. 2009. The amino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Food Preserv. 16: 427-434. 

  13. Kim MJ, Jun HY, Kim JH. 2015. Anti-obesity effect of Korean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on high-fat diet-induced obese rats. J. Nutr. Health 48: 123-132. 

  14. Kim MS, Seong HJ, Sohn HY. 2016. In-vitro anti-thrombosis activity of different parts of Sorbus commixta from Ulleung island. J. Life Sci. 26: 289-295. 

  15. Kim MS, Shin WC, Kang DK, Sohn HY. 2016. Anti-thrombosis activity of sinapic acid isolated from the lees of bokbunja wine. J. Microbiol. Biotechnol. 26: 61-65. 

  16. Kim YA, Kong CS, Lee JI, Kim H, Park HY, Lee HS, et al. 2012. Evaluation of novel antioxidant triterpenoid saponins from the halophyte Salicornia herbacea. Bioorg. Med. Chem. Lett. 22: 4318-4322. 

  17. Kong CS, Kim YA, Kim MM, Park JS, Kim JA, Kim SK, et al. 2008. Flavonoid glycosides isolated from Salicornia herbacea inhibit matrix metalloproteinase in HT1080 cells. Toxicol. In Vitro. 22: 1742-1748. 

  18. Lee KB, Kim JM, Kim MJ, Kang SA. 2014. Antioxidant effect of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ttitoes (jokbal) added with hamcho.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 383-391. 

  19. Park SY, Cho JY, Chung DO, Ham KS.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naturally fermented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493-1500. 

  20. Pichiah PT, Cha YS. 2014. Salicornia herbacea prevents weight gain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obese ICR mice fed a high-fat diet. J. Sci. Food Agric. 95: 3150-3159. 

  21. Ryu DS, Kim SH, Lee DS. 2008.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extract.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135-141. 

  22. Ryu DS, Kim SH, Lee DS. 2009. Anti-proliferative effect of polysaccharides from Salicornia herbacea on induction of G2/M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s. J. Microbiol. Biotechnol. 19: 1482-1489. 

  23. Shin MG, Lee GH. 2013. Spherical granule production from micronized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powder as salt substitute. Prev. Nutr. Food Sci. 18: 60-66. 

  24.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eau reagent. Methods Enzymol. 299:152-178. 

  25. Sweeney JD, Hoerning LA, Behrens AN, Novak E, Swank RT. 1990. Thrombocytopenia after desmopressin but absence of in-vitro hypersensitivity to ristocetin. Am. J. Clin. Path. 93: 522-525. 

  26. Valentina U, Fabcic J, Stampar F. 2007. Sugars, organic acids,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weet cherry (Prunus avium L.). Food Chem. 107: 185-192. 

  27. Wang X, Zhang M, Zhao Y, Wang H, Liu T, Xin Z. 2013. Pentadecyl ferulate, a potent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gent from the halophyte Salicornia herbacea. Food Chem. 141: 2066-20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